KR200226054Y1 - 합체인형 - Google Patents

합체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054Y1
KR200226054Y1 KR2020000036404U KR20000036404U KR200226054Y1 KR 200226054 Y1 KR200226054 Y1 KR 200226054Y1 KR 2020000036404 U KR2020000036404 U KR 2020000036404U KR 20000036404 U KR20000036404 U KR 20000036404U KR 200226054 Y1 KR200226054 Y1 KR 2002260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l
magnet
present
separating
sepa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4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아이디어 오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아이디어 오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아이디어 오케이
Priority to KR20200000364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0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0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054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체인형에 관한 것으로, 인형몸체가 분리되어 복수개의 분리몸체(1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분리몸체(10)에는 자석(30)이 각각 내장설치된 구조로 되어, 인형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고, 자석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재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물체에 쉽게 부착할 수 있어 인형을 다양하게 전시할 수 있어 재미를 더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합체인형{ United dol }
본 고안은 인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몸체를 분리하고 분리된 각 몸체에 자석과 같은 결합수단을 설치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합체인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형은 다양한 형상을 본 따 만든 장난감으로 그 재질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인형은 캐릭터에 따라 그 인기도가 좌우되는 경향이 많고, 소리나 음악이 나도록 하여 흥미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소형마이크로칩을 내장하여 말을 하거나 간단한 동작을 하는 인형까지 등장하였다.
이와 같이 인형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와 캐릭터만 있다면 아이들 뿐만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관심을 끌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인형은 일체형으로 되어 분리하여 두 사람이 가지고 놀거나 다양한 전시효과를 가져오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형의 몸체를 분리하고 그 분리된 몸체에 자석과 같은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다시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전시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합체인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인형몸체가 분리되어 복수개의 분리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분리몸체에는 자석이 각각 내장설치된 구조이다.
따라서, 자력을 이용하여 분리몸체를 직접적으로 결합하거나, 다른 물체를 사이에 두고 분리몸체를 결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합체인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분리몸체 11 : 상체
12 : 하체 20 : 접촉면
30, 30' : 자석 40 : 유리면
51 : 상부차체 52 : 하부차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합체인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한 본 고안은, 인형몸체가 분리되어 복수개의 분리몸체(1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분리몸체(10)에는 자석(30)이 각각 내장설치된 구조이다.
상기의 구조로 된 본 고안의 특징은 인형몸체가 분리되고 그 분리몸체(10)에 자석(30)이 각각 설치된 것에 있는 바, 각각의 분리몸체(10)를 금속재질의 다른 물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하거나 다른 물체를 사이에 두고 자력에 의해 두 분리몸체(10)를 고정시킬 수 있어 다양한 시각적 효과와 재미를 더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인형몸체는 사람형상을 본 딴 인형으로 상체(11)와 하체(12)의 두개의 분리몸체(10)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분리몸체(10)는 상체(11)와 하체(12)로 이루어지되, 상체(11)와 하체(12)의 각각에는 접촉면(20)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각각의 접촉면(20)에는 자석(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자석(30)은 상기 상체(11)와 하체(12)의 접촉면(20)에 설치되되, 상체(11)와 하체(12)를 결합시 자석(30)의 극성에 의해 임의적으로 결합되지 않도록 자석(30)을 설치할 때 결합방향을 고려하여 고정시켜야 한다.
한편, 원하는 방향으로 상체(11)와 하체(12)를 결합할 수 있도록 자석(30)을 고정시키지 않고 회동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과 같은 유리면(40)의 일측에 상체(11)를 배치하고, 유리면(40)의 타측에 하체(12)를 배치한 다음 서로 접촉면(20)을 대응시키게 되면 유리면(40)상에 인형이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인형이 유리창을 뚫고 지나가는 것과 같은 착각을 일으켜 미관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일측에 인형몸체의 상체(11)와 하체(12)를 각각 분리하여 부착시킴으로써 특이한 미관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형태의 인형을 상부차체(51)와 하부차체(52)로 분리하여 제작하고, 상기 상부차체(51)와 하부차체(52)에 서로 대응되게 복수개의 자석(30')을 내장설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부차체(51)를 유리면의 일측에 배치하고, 하부차체(52)를 유리면의 타측에 배치하여 서로 대응시키게 되면 자력에 의해 서로 달라붙게 되어 유리면상에 고정된다.
즉, 자동차가 창문과 같은 유리면을 따라 진행하는 것과 같은 착각을 일으킬 수 있게 되어 미관상 전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결합수단으로서 자석(30) 대신 벨크로테잎 등을 각 분리몸체(10)에 고정설치하여 각 분리몸체(10)를 탈착가능하게 결합하거나, 각각의 분리몸체(10)를 천으로 된 다른 물체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인형의 각 부위를 결합수단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분리함으로써 복수개의 분리몸체(10)로 분리제작하여 인형을 다양한 형태로 결합하거나 보다 많은 조각으로 분리하여 다른 물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시킴으로써 더욱 다양한 시각적 효과 와 재미를 더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합체인형에 의하면, 인형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고, 자석과 같은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재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물체에 쉽게 부착할 수 있어 인형을 다양하게 전시할 수 있어 재미를 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인형몸체가 분리되어 복수개의 분리몸체(1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분리몸체(10)에는 결합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각 분리몸체(10)들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합체인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자석(30)으로, 상기 자석(30)이 상기 각 분리몸체(10)에 각각 내장설치되어 서로 결합되거나, 각각의 분리몸체(10)가 금속물체에 각각 분리되어 탈착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체인형.
KR2020000036404U 2000-12-26 2000-12-26 합체인형 KR2002260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404U KR200226054Y1 (ko) 2000-12-26 2000-12-26 합체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404U KR200226054Y1 (ko) 2000-12-26 2000-12-26 합체인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054Y1 true KR200226054Y1 (ko) 2001-06-01

Family

ID=7309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404U KR200226054Y1 (ko) 2000-12-26 2000-12-26 합체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0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973A (ko) 2020-04-13 2021-10-21 신동민 분리 부착형 악세사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973A (ko) 2020-04-13 2021-10-21 신동민 분리 부착형 악세사리
KR102374402B1 (ko) * 2020-04-13 2022-03-14 신동민 분리 부착형 악세사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6054Y1 (ko) 합체인형
KR200404353Y1 (ko) 유아 교육용 의복
KR20210109398A (ko) 조립식 블록완구 소자 및 그 소자를 이용한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CN215232118U (zh) 能够摆动的积木结构
KR101028966B1 (ko) 유아용 자석블록
Hamre Affective education through the art of animation theatre
CN210583600U (zh) 一种自由组合拼图玩具
CN209934078U (zh) 一种带敲琴的轨道玩具
KR101004887B1 (ko) 유아용 자석블록
CN208389393U (zh) 森林感官积木
KR101146008B1 (ko) 학습용 조립블록
CN211383804U (zh) 一种磁性玩具
Okagbue When the dead return: Play and seriousness in African masked performances
CN215025994U (zh) 一种积木系统
CN110064209B (zh) 一种凹凸拆拼功能玩具摇铃
KR20100036608A (ko) 유아용 자석블록
KR20170008107A (ko) 교육용 블록 퍼즐 완구
CN113082737A (zh) 一种基于搭建与互动相结合的提高儿童创造力的故事平台
KR101824381B1 (ko) 길 찾기 학습도구
JP2894685B1 (ja) 回転移動玩具
KR200341192Y1 (ko) 자석모양판놀이
KR200377216Y1 (ko) 오뚜기 기능이 있는 글자블럭완구
KR20080037356A (ko) 조립식 교육·완구용 놀이 집
JPS642791Y2 (ko)
King Models as metaph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