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843Y1 - 회중전등 - Google Patents

회중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843Y1
KR200225843Y1 KR2019980028148U KR19980028148U KR200225843Y1 KR 200225843 Y1 KR200225843 Y1 KR 200225843Y1 KR 2019980028148 U KR2019980028148 U KR 2019980028148U KR 19980028148 U KR19980028148 U KR 19980028148U KR 200225843 Y1 KR200225843 Y1 KR 2002258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unit
unit
power supply
circuit member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1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816U (ko
Inventor
석찬복
Original Assignee
석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찬복 filed Critical 석찬복
Priority to KR20199800281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843Y1/ko
Publication of KR200000148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8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8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84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인 전원부와 전구가 설치된 조명부를 분리 형성시키되 이들을 축으로 연결하여 구성시키므로서 전원부로 부터 조명부를 열면 점등되고 닫으면 소등되며, 전원부에 걸이구를 설치하여 주머니에 꽂아 걸 수 있도록 하여서된 회중전등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본체의 전원부와 조명부의 전구를 연결시킴에 있어서 그 연결부를 피복전선으로 구성시켰기 때문에 조명부가 작은 범위에서만 회동될 수 있어 조명 범위의 조정에 제한을 받게 되고 특히, 걸이구를 이용하여 주머니에 꽂을 경우 무거운 전원부가 주머니 밖에 노출되기 때문에 쳐질 수 밖에 없어 안정성이 불량한 결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전원부와 조명부 전구를 연결함에 있어서, 이들의 연결부재를 분할시키고, 분할부위를 회동 스라이드식 접점부로 형성시키므로서 조명부를 360도로 회전시킬 수 있게하여 조명방향의 조정을 임의롭게 하고, 그리하여 본 고안의 회중전등을 주머니에 꽂을 경우 몸체를 주머니에 꽂고 조명부를 180도 회전시켜 조명할 수 있게 하므로서, 본고안의 회중전등을 주머니에 설치할 경우에 있어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임.

Description

회중전등
본 고안은 회중 전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인 전원부와 전구가 설치된 조명부를 분리형성시키되 이들 사이에 연결구를 개재시켜 축으로 연결하여 구성시키므로서, 조명부를 전원부에 절첩하여 그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하여 휴대를 편리하게 하며, 본체에 걸이구를 설치하여 주머니에 꽂아 걸 수 있도록 하여서된 회중전등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종래의 회중전등은 전원부와 조명부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절첩이 가능하여 휴대가 편리할 뿐 아니라, 조명부를 사용자의 몸에 부착하고 조명부를 회동시켜 원하는 위치를 조명할 수 있어, 밤낚시를 하는 도중 미끼를 끼우는 작업을 위하여 특정 부위를 조명하는 경우 등에서와 같이 임의의 위치를 조명코자 하는 경우 매우 편리하게 사용되어 오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위와 같은 회중전등은 본체의 전원부와 조명부의 전구를 연결시킴에 있어서 그 연결부를 피복전선으로 구성시켰기 때문에, 전원부와 조명부가 수평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되면 피복전선이 꼬여져 손상되고, 그리하면 전원의 도통상태가 불량하게되는 결점이 있을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조명부가 수평방향으로는 일정의 작은 범위에서만 회동될 수 있도록 조명부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턱이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조명부가 수평방향으로의 회전에 제한을 받게 되고, 그리하여 조명 범위의 조정에 제한을 받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특히, 이와 같은 결점으로 인하여, 종래에는 이와같은 회중전등을 주머니에 꽂아 사용할 경우, 첨부된 도면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거운 전원부가 주머니의 밖으로 노출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주머니에 꽂은 상태에서 조명을 함에 있어서는 회중전등이 쳐져 안정성이 불량한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본체의 전원부와 조명부의 전구를 연결하는 회로부재를 피복전선으로 형성시키므로서 본체인 전원부로부터 조명부를 회동시킴에 제한을 받던 종래에 있어서의 결점을 해소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즉, 전원부로 부터 조명부를 적어도 수평방향으로는 임의로 회동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전원부와 전구를 연결하는 회로 부재를 종래에 있어서와 같이 단순히 유연성있는 피복전선으로 구성시킬 것이 아니라, 전원부와 조명부의 수평방향 회동부위에서 회로부재를 분할시키고, 분할된 회로부재의 연결부위를 슬라이드식회동접점부로 구성시키므써, 회로부재로 인하여 조명부의 수평방향으로의 회동에 제한을 받지 아니하도록 하고, 그리하여 조명부를 몸체로 부터 임의의 각도 회동시킬 수 있게 하여, 회중전등의 전원부를 주머니에 넣은 후 조명부만을 노출시키고 노출된 조명부의 조명방향을 조명할 방향으로 향하게 180도 회전시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는 바,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의 회중전등의 사용상태 설명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3 은 도 2 에 도시된 실시예의 가-가선 단면도
도 4 는 도 2 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상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전원부 10............걸이구 11...............축수부
12.............전원부회로부재
2..............조명부 20............전구
22.............조명부회로부재
3,4, 5, 6 .....접촉단자
7..............절연부
8..............축
9..............연결구
걸이구(10)를 가진 전원부(1)와 조명부(2) 및 전원부(1)와 조명부(2)사이에 개재된 연결구(9)로 구성되고, 전원부(1)와 연결구(9) 및 조명부(2)가 축으로 연결되며, 전원부(1)의 축수부(11)에 연결구(9)의 회동축(91)이 연결되며, 조명부(2)의 축수부(21)와 연결구(9)가 축(8)으로 연결되어 전원부(1)와 조명부(2)가 수평방향으로 또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며, 전원부(1)와 조명부(2)의 전구(20)가 회로부재에 의하여 연결된 것에 있어서, 회로부재는 이를 본체의 전원부(1)로 부터 조명부(2)로 향하는 회로부재인 전원부회로부재(12)와, 조명부(2)의 전구(20)로 부터 본체의 전원부(1)로 향하는 회로부재인 조명부회로부재(22)로 분할 형성시킨다.
전원부회로부재(12)의 일측은 건전지접촉단자(121)에 연결되며, 타측은 조명부회로부재(22)와의 접촉단자(3, 4)를 이룬다.
조명부회로부재(22)의 일측은 전구(20)와 연결되며, 타측은 전원회로부재(12)와의 접촉단자(5, 6)에 연결되어 있다.
전원회로부재(12)의 접촉단자(3, 4)는 조명부회로부재(22)측의 접촉단자(5, 6)와 슬라이딩접촉상태를 가진다. 이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명부회로부재(22)측의 접촉단자(5, 6)를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반트랙(半Track)형의 평활접촉부(51, 61)로 형성시키며, 각 평활접촉부(51, 61)는 전원부회로부재(12)의 접촉단자(3, 4)의 폭(W1)보다 큰폭(W)을 가지는 절연부(7)를 가진다. 이러한 절연부(7)는 두개의 전원부 접촉단자(3, 4)가 동일한 접촉단자(5, 6)에 접하여 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절연부(7)의 폭(W)은 전원부회로부재(12)의 접촉단자(3, 4)의 폭(W1)보다 1mm 내외 정도가 크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부회로부재(12)의 접촉단자(3, 4)는 조명부회로부재(22)측의 접촉단자(5, 6)에 탄력적으로 접하여지도록 탄동편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원회로부재(12)와 조명부회로부재(12)가 그 수평방향의 회동부위에서 분할되어 있고, 분할부위가 미끄럼접촉되어 있어 전원부와 조명부는 그 전기적 연결을 끊음이 없이 서로 제한 없이 수평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첨부된 도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1)를 주머니에 넣고 조명부(2)를 180도 회동시키어 원하는 부위에 조명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조명등의 설치에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어 사용이 보다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걸이구(10)를 가진 전원부(1)와 조명부(2) 및 전원부(1)와 조명부(2)사이에 개재된 연결구(9)로 구성되고, 전원부(1)와 연결구(9) 및 조명부(2)가 축으로 연결되며, 전원부(1)와 조명부(2)의 전구(20)가 회로부재에 의하여 연결된 것에 있어서, 회로부재는 이를 본체의 전원부(1)로 부터 조명부(2)로 향하는 회로부재인 전원부회로부재(12)와, 조명부(2)의 전구(20)로 부터 본체의 전원부(1)로 향하는 회로부재인 조명부회로부재(22)로 분할 형성시키고, 전원부회로부재(12)의 일측은 건전지접촉단자(121)에 연결시키며, 타측은 조명부회로부재(22)와의 접촉단자(3, 4)를 이루게 하고, 조명부회로부재(22)의 일측은 전구(20)와 연결시키며, 타측은 전원회로부재(12)와의 접촉단자(5, 6)에 연결되게 하며, 조명부회로부재(22)측의 접촉단자(5, 6)를 대략 반트랙(半Track)형의 평활접촉부(51, 61)로 형성시키며, 각 평활접촉부(51, 61)는 전원부회로부재(12)의 접촉단자(3, 4)의 폭(W1)보다 큰폭(W)을 가지는 절연부(7)를 가지게 구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중전등.
KR2019980028148U 1998-12-30 1998-12-30 회중전등 KR2002258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148U KR200225843Y1 (ko) 1998-12-30 1998-12-30 회중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148U KR200225843Y1 (ko) 1998-12-30 1998-12-30 회중전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816U KR20000014816U (ko) 2000-07-25
KR200225843Y1 true KR200225843Y1 (ko) 2001-06-01

Family

ID=69506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148U KR200225843Y1 (ko) 1998-12-30 1998-12-30 회중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84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816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4987C (en) Safety grounded tree
WO2002078129A1 (en) Multi directional swiveling outlet adaptor
AU684241B3 (en) Pivoting electrical plug
US20040175281A1 (en) Air circulation using a fan
US6579333B2 (en) Air purifier with a rotatable plug
CN212056838U (zh) 灯具的接头和灯带的串联结构
KR200225843Y1 (ko) 회중전등
US4858092A (en) Cordless conducting means for lamp
ATE362204T1 (de) Verbinder mit schwenkbarem anschluss
EP1016818A3 (de) Lampenfassung aus Isolierstoff für H 7-Lampen
CN212777244U (zh) 一种内置磁控开关的灯具
KR200412939Y1 (ko) 조명기기의 전원공급용 커넥터
ATE303006T1 (de)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S1257973A (en) Lighting-fixture.
JPS6322569Y2 (ko)
JP3217568U (ja) 吊り下げ灯アダプタ
KR20230159134A (ko) 회동유닛을 갖는 레일형 조명장치
JP4025466B2 (ja) ランプソケット
KR200150467Y1 (ko) 충전기의 플러그장치
US1231268A (en) Circuit-controller.
JP2002008800A (ja) ダクト取付用電気機器
KR930000625Y1 (ko) 휴대용 조명 장치
KR930000626Y1 (ko) 휴대용 조명 장치
JPS6025764Y2 (ja) 照明装置
KR200270751Y1 (ko) 레져용 플래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