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083Y1 - 접속부재들을 선택할 수 있는 110/220v겸용 일체형 플러그 - Google Patents
접속부재들을 선택할 수 있는 110/220v겸용 일체형 플러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25083Y1 KR200225083Y1 KR2020000034283U KR20000034283U KR200225083Y1 KR 200225083 Y1 KR200225083 Y1 KR 200225083Y1 KR 2020000034283 U KR2020000034283 U KR 2020000034283U KR 20000034283 U KR20000034283 U KR 20000034283U KR 200225083 Y1 KR200225083 Y1 KR 20022508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circular
- connection member
- straight
-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일자형접속부재와 원형접속부재들을 내부에 수납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전방으로 출수되게 함으로써 110V전원 및 220V전원의 접속수단들을 일체화하여 크기를 소형화하고 단순화하는 한편 분리탈착으로 인한 사용의 번거로움을 제거한 접속부재들을 선택할 수 있는 110/220V겸용 일체형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일체형 플러그는 110V전원 및 220V전원의 접속수단들을 일체화하여 크기를 소형화하고 단순화함에 의하여 접속사용시 전원콘센트가 있는 벽체로부터 많이 튀어나오지 않으므로 외부물체에 걸리거나 사람들에게 걸리적거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의 분리이체형 플러그의 110/220V교체사용시 110V용 어댑터를 분리하거나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효과를 지니고 있다. 특히, 본 플러그는 일체형이므로 기존 이체형에서의 어댑터를 분리보관해야 하는 불편함과 이에 따른 분실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단순화에 따른 제작비용의 절감이 기대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전원콘센트에 접속되어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자형접속부재와 원형접속부재들을 내부에 수납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전방으로 출수되게 함으로써 110V전원 및 220V전원의 접속수단들을 일체화하여 크기를 소형화하고 단순화하는 한편 분리탈착으로 인한 사용의 번거로움을 해소한 접속부재들을 선택할 수 있는 110/220V겸용 일체형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기기나 전기제품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가 전원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 플러그는 통상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원에 맞게 110V용이나 220V용이 다르게 형상화되어 있다. 대체로 110V전원용은 일자형의 접속부재를 갖고 있고, 220V전원용은 원형의 접속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정에 따라 110V 혹은 220V의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표준화되어 출시되는 전기기기나 전기제품을 이들 양전압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전원용 플러그에 어댑터를 장착하여 다른 전원용에서 사용하게 하고 있다. 이에 대한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110/220V겸용 분리형 플러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220V를 사용하는 가정이 늘어나면서부터 기존의 플러그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이 연결된 220V용 플러그(10)에 110V용 어댑터(20)를 장착하여 110V에서 사용하고 있다. 즉, 220V의 콘센트(미도시)에는 원형접속부재(12)를 갖는 220V용 플러그(10)를 그대로 접속하여 사용하고, 110V용 콘센트에는 110V용 어댑터(20)를 플러그(10)의 전부에 장착하여 어댑터(20)에 마련된 일자형접속부재(22)를 콘센트에 삽입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때, 플러그(10)의 원형접속부재(12)를 어댑터(20)의 후면부에 형성된 삽입공(24)에 삽입시킴에 의하여 원형접속부재(12)와 어댑터(20)의 일자형접속부재(22)는 전기적으로 연결접속되게 된다. 보편적으로, 220V용의 접속부재는 원형기둥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10V용 접속부재는 일자형의 판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반대로 전선이 연결된 110V용 플러그에 220V용 어댑터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제품도 있다.
위와 같이 기존의 분리형 플러그는 110V나 220V를 교체하여 사용할 때 어댑터를 장착하거나 분리해야 하므로 사용상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탈착분리된 어댑터를 보관해야 하므로 어댑터의 분실우려가 높았다. 게다가, 어댑터를 플러그 앞에 장착하므로 전원콘센트가 있는 벽체로부터 많이 돌출되어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걸려 플러그가 자주 빠지는 경우가 발생함은 물론, 좁은 틈새공간에서는 접속이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두개의 부품으로 제작되므로 부피가 크고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일자형접속부재와 원형접속부재들을 내부에 수납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전방으로 출수되게 함으로써 110V전원 및 220V전원의 접속수단들을 일체화하여 크기를 소형화하고 단순화하는 한편 분리탈착으로 인한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해소한 접속부재들을 선택할 수 있는 110/220V겸용 일체형 플러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110/220V겸용 분리형 플러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부재들을 선택할 수 있는 110/220V겸용 일체형 플러그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속부재들을 선택할 수 있는 110/220V겸용 일체형 플러그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일자형접속부재와 원형접속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부분상세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플러그를 110V 및 220V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작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40 : 일자형접속부재 41 : 일자형접속판
42 : 제 1연결판 43 : 제 1조작돌기
50 : 원형접속부재 51 : 원형접속봉
52 : 제 2연결판 53 : 제 2조작돌기
54 : 접촉단 60 : 케이스
60a : 상판부 60b : 하판부
61 : 제 1안내홈 62 : 제 2안내홈
63 : 원형출입공 64 : 일자형출입공
65 : 전면판부 66 : 접점판
70 : 전선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접속부재들을 선택할 수 있는 110/220V겸용 일체형 플러그는 콘센트에 접속하여 전기기기 및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에 있어서, 양측면에 제 1,제 2안내홈과 전면으로 각각 한쌍씩의 원형출입공 및 일자형출입공을 갖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한편 전선과 연결되는 좌우한쌍의 접점판들을 내측면에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접점판들과 전기적으로 접촉되게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수납되어 상기 일자형출입공을 통해 출몰되며, 상기 제 1안내홈으로 돌출한 제 1조작돌기를 구비한 일자형접속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수납되어 상기 일자형접속부재와 접촉되면서 상기 원형출입공을 통해 출수되며, 상기 제 2안내홈으로 돌출한 제 2조작돌기를 갖는 원형접속부재를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부재들을 선택할 수 있는 110/220V겸용 일체형 플러그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속부재들을 선택할 수 있는 110/220V겸용 일체형 플러그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일자형접속부재와 원형접속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부분상세사시도이다.
본 일체형 플러그는 일자형접속부재(40)와 원형접속부재(50)를 수납하고 해당 콘센트(미도시)의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몰시켜 접속할 수 있게 하는 케이스(6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스(60)는 상판부(60a)와 하판부(60b)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부에 원형접속부재(50)와 일자형접속부재(40)를 장착하고 이들을 결합시켜 수용하게 된다. 특히, 상판부(60a)와 하판부(60b)에는 각각 제 1,제 2안내홈들(61,62)이 길이방향을 따라 천공되어 있으며, 상판부(60a)와 하판부(60b)의 전방부는 개구되어 이곳에 원형출입공(63)들과 일자형출입공(64)들이 형성된 전면판부(65)가 장착고정된다. 물론, 이 전면판부(65)는 상하반쪽으로 분할하여 상하판부(60a,60b)에 반쪽씩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원형출입공(63)들과 일자형출입공(64)들을 상하판부(60a,60b)에 각각 반쪽씩 형성되게 하여 합체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 원형출입공(63)들과 일자형출입공(64)들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한쌍으로 쌍을 이루고 형성되어 있으며, 원형출입공(63)들의 내측에 인접하여 일자형출입공(64)들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상하판부(60a,60b)는 합체되어 내부에 일자형접속부재(40)와 원형접속부재(5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는 데, 특히 하판부(60b)의 내측에는 제 1안내홈(61)의 양측으로 그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접점판(66)들이 고정되어 있고, 이 접점판(66)들은 전선(70)들과 연결된다.
케이스(60)에 수용되어 있는 일자형접속부재(40)는 좌우한쌍의 일자형접속판(41)들을 제 1연결판(42)으로 연결하고, 이 제 1연결판(42)에서 외측으로 제 1조작돌기(43)가 돌출하고 있다. 이 제 1조작돌기(43)는 제 1안내홈(61)으로 삽입되어 케이스(60)외부로 일정부분 돌출하게 되며, 이 돌출된 제 1조작돌기(43)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밀면 제 1안내홈(61)상을 따라서 이동하며 케이스(60) 내부에 위치한 일자형접속판(41)들을 케이스(60)의 전방에 형성된 일자형출입공(64)들을 통해 외부로 전진출몰시키게 된다. 이때, 일자형접속판(41)들은 케이스(60)내부에 고정된 접점판(66)들과 밀착되어 접촉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60)외부로 출몰후에도 접점판(66)들과 접촉되어 있어 전원콘센트에서의 전류는 일자형접속판(41)들과 접점판(66)들을 통해 전선(70)으로 공급하게 된다. 물론, 한쌍의 일자형접속판(41)들을 연결하는 제 1연결판(42)은 절연체로 구성되어 두개의 일자형접속판(41)들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결합되게 된다.
또한, 케이스(60)의 내부에 수납되어 원형출입공(63)을 통해 전방으로 출몰하는 원형접속부재(50)는 한쌍의 원형접속봉(51)들을 절연체의 제 2연결판(52)으로 연결하고, 그 제 2연결판(52)의 상부에 케이스(60)의 제 2안내홈(62)으로 돌출하는 제 2조작돌기(53)를 마련하고 있다. 이 제 2조작돌기(53)가 제 2안내홈(62)을 따라 직선이동함에 따라서 한쌍의 원형접속봉(51)들이 원형출입공(63)들을 통해 케이스(60)의 전방부로 돌출하게 된다. 특히, 원형접속봉(51)들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자형접속판(41)들의 외측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데, 이때 그 내단부에는 각각의 원형접속봉(51)들이 그와 인접한 일자형접속판(41)들과 이동시에도 항시 접촉되게 하는 접촉단(5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60)의 전방으로 출몰된 후에도 원형접속봉(51)들은 그와 접촉된 일자형접속판(41)들을 통해 접점판(66)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콘센트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전선(70)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플러그를 110V 및 220V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작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들로, 특히 도 5A는 220V용 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해 원형접속부재를 케이스외부로 돌출시킨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5B는 도 2를 아래에서 보아 도시한 것으로 110V용 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해 일자형접속부재를 케이스외부로 출몰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제, 전술한 모든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일체형 플러그를 110V와 220V의 콘센트에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220V용 콘센트에 본 플러그를 접속시켜 전원을 전기기기 및 전기제품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조작돌기(53)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전방으로 밀면 된다. 그러면, 제 2안내홈(62)을 따라 제 2조작돌기(53)가 전진하면서 케이스(60)내부에 수용된 한쌍의 원형접속봉(51)들이 원형출입공(63)을 통과하여 케이스(60)의 전방으로 출몰하게 된다. 이렇게 원형접속봉(51)들이 돌출된 상태에서 원형의 삽입구들이 형성된 콘센트에 삽입시켜 사용하면 된다.
한편, 본 플러그를 110V용의 일자형 삽입구가 있는 콘센트에 꽂아 사용하기 위해서는 돌출되어 있는 원형접속부재(50)를 케이스(60)내부로 수납하고 일자형접속부재(40)를 케이스(60)외부로 출몰시켜 사용하면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위에서 케이스(60)외부로 돌출된 원형접속봉(51)들을 제 2조작돌기(53)를 손가락으로 밀어 후퇴시킴으로써 케이스(60)내부로 수납시킨다. 그런 다음, 케이스(60)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 1조작돌기(43)를 전진시켜 도 5B와 같이 케이스(60)외부로 일자형접속판(41)들을 돌출시킨 후, 콘센트에 접속시키면 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접속부재들을 선택할 수 있는 110/220V겸용 일체형 플러그는 일자형접속부재와 원형접속부재들을 내부에 수납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전방으로 출수되게 함으로써 110V전원 및 220V전원의 접속수단들을 일체화하여 크기를 소형화하고 단순화한 효과를 갖는다. 이에 따라서, 접속사용시 전원콘센트가 있는 벽체로부터 많이 튀어나오지 않으므로 외부물체에 걸리거나 사람들에게 걸리적거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의 일체형 플러그는 기존의 분리이체형 플러그의 110/220V교체사용시 110V용 어댑터를 분리하거나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효과를 가지고 있다. 특히, 본 플러그는 어댑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기존 이체형에서의 어댑터를 분리보관해야 하는 불편함과 이에 따른 분실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단순화에 따른 제작비용의 절감이 기대된다.
Claims (5)
- 콘센트에 접속하여 전기기기 및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에 있어서,양측면에 제 1,제 2안내홈과 전면으로 각각 한쌍씩의 원형출입공 및 일자형출입공을 갖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한편 전선과 연결되는 좌우한쌍의 접점판들을 내측면에 구비하는 케이스;상기 접점판들과 전기적으로 접촉되게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수납되어 상기 일자형출입공을 통해 출몰되며, 상기 제 1안내홈으로 돌출한 제 1조작돌기를 구비한 일자형접속부재; 및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수납되어 상기 일자형접속부재와 접촉되면서 상기 원형출입공을 통해 출수되며, 상기 제 2안내홈으로 돌출한 제 2조작돌기를 갖는 원형접속부재를 포함하는 접속부재들을 선택할 수 있는 110/220V겸용 일체형 플러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자형접속부재는 좌우한쌍의 일자형접속판들을 제 1연결판으로 연결구성되고, 상기 제 1연결판의 중심상에 상기 제 1조작돌기가 수직하게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들을 선택할 수 있는 110/220V겸용 일체형 플러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접속부재는 좌우한쌍의 원형접속봉들을 제 2연결판으로 연결구성되고, 상기 제 2연결판의 중심상에 상기 제 2조작돌기가 수직하게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들을 선택할 수 있는 110/220V겸용 일체형 플러그.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접속봉들은 상기 일자형접속판들의 외측에 인접되게 위치되며, 그 단부에 상기 일자형접속판들과 항시 접속되는 접촉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들을 선택할 수 있는 110/220V겸용 일체형 플러그.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제 2연결판은 절연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부재들을 선택할 수 있는 110/220V겸용 일체형 플러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4283U KR200225083Y1 (ko) | 2000-12-07 | 2000-12-07 | 접속부재들을 선택할 수 있는 110/220v겸용 일체형 플러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4283U KR200225083Y1 (ko) | 2000-12-07 | 2000-12-07 | 접속부재들을 선택할 수 있는 110/220v겸용 일체형 플러그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74090A Division KR20020044857A (ko) | 2000-12-07 | 2000-12-07 | 접속부재들을 선택할 수 있는 110/220v겸용 일체형 플러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25083Y1 true KR200225083Y1 (ko) | 2001-05-15 |
Family
ID=7309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34283U KR200225083Y1 (ko) | 2000-12-07 | 2000-12-07 | 접속부재들을 선택할 수 있는 110/220v겸용 일체형 플러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25083Y1 (ko) |
-
2000
- 2000-12-07 KR KR2020000034283U patent/KR20022508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156076B1 (en) | Adaptor comprising sliding pin carriers | |
US5540596A (en) | Electric plug for supplying current to electric appliances | |
CN103887087B (zh) | 具有可翻转的受保护接线端子的通用安装接触块 | |
US3754205A (en) | Protected connector plug | |
JPH01304674A (ja) | 電気分配システム用接続装置 | |
US5626495A (en) | Screwless connector | |
US4593960A (en) | Power entry connector | |
KR100246270B1 (ko) | 후방홀더를 구비한 코넥터 | |
EP0338001B1 (en) | Connection device | |
CN114899640A (zh) | 插座装置 | |
KR200225083Y1 (ko) | 접속부재들을 선택할 수 있는 110/220v겸용 일체형 플러그 | |
US5513998A (en) | Electrical plug assembly which accommodates multiple voltage | |
KR20020044857A (ko) | 접속부재들을 선택할 수 있는 110/220v겸용 일체형 플러그 | |
US5161990A (en) | Universal plug for replacement rechargeable battery for telephones | |
US4489300A (en) | Fuse holder for use with different line voltages | |
CN110731540A (zh) | 电子烟 | |
GB2100528A (en) | Power supply connector | |
KR100384341B1 (ko) | 전자기계식 컨택터 | |
JP3272248B2 (ja) | サービスプラグのレバー保持機構 | |
JPH06296773A (ja) | 電気器具 | |
KR200263495Y1 (ko) | 전선 수용 공간이 구비된 멀티 콘센트 | |
JP4075832B2 (ja) | テーブルタップ | |
CN217788812U (zh) | 一种接线器 | |
US6448519B1 (en) | Contact system arrangement for plug-in circuit breakers and base | |
JP3002804B2 (ja) | Acアダプタの電源プラグ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314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