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059Y1 -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 - Google Patents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059Y1
KR200225059Y1 KR2019980017231U KR19980017231U KR200225059Y1 KR 200225059 Y1 KR200225059 Y1 KR 200225059Y1 KR 2019980017231 U KR2019980017231 U KR 2019980017231U KR 19980017231 U KR19980017231 U KR 19980017231U KR 200225059 Y1 KR200225059 Y1 KR 2002250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reflector
case
scree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2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3876U (ko
Inventor
손희종
Original Assignee
배근화
주식회사탑-비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근화, 주식회사탑-비젼코리아 filed Critical 배근화
Priority to KR20199800172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059Y1/ko
Publication of KR199900038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8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0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059Y1/ko

Links

Landscapes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하여 좁은 통로로의 이동을 자유롭게하고, 표면에서 반사가 일어나는 표면반사경을 적용하여 2중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프로젝터와 반사경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프로젝터 위치조절기구 및 틸트기구를 갖춘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30)에 설치된 프로젝터(20)로부터 투사되는 빔(B)을 테두리부분이 각각 틀(41)(51)로 둘러싸여 있는 하부반사경(40)과 상부반사경(50)을 통해 반사시킨 후 스크린(60)을 통해 투과되어 보이도록 구성된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20)를 지지함과 동시에 이 프로젝터(20)의 위치를 조절하는 프로젝터 위치조절기구(70)와, 상기 하부반사경(40)과 상부반사경(50)의 기울어진 각도를 각각 조절하기 위한 틸트기구(45)(55)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
본 고안은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하여 좁은 통로로의 이동을 자유롭게하고, 표면에서 반사가 일어나는 표면반사경을 적용하여 2중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프로젝터와 반사경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프로젝터 위치조절기구 및 틸트기구를 갖춘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는 영상재생기 또는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화상신호를 기초로하여 영상을 재생하도록 되어 있는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빔을 여러개의 반사경을 통해 반사시킨 후 스크린을 통해 투과되어 보이도록 구성되어 있었는데, 이러한 종래의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본체가 일체형으로 만들어져 있었으므로, 분해조립이 불가능하여 좁은 통로로의 이동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빔이 입사되는 반대편인 투명유리의 이면에 반사막이 형성되어 있었으므로, 프로젝터로부터 방사되는 빔이 이 투명유리의 표면에서도 반사가 이루어지지만 이 투명유리를 투과하면서 굴절된 후 반사막도 반사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스크린에 나타나는 영상이 겹쳐서 보이는 2중상으로 되면서 선명도를 떨어뜨린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반사경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도록 되어 있었으므로, 스크린에 나타나는 영상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화면이 잘려서 나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스크린이 고정된 형태로 되어 있었으므로, 스크린이 다소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화상이 경사지게 보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다섯째, 스피커를 내장하지 않고 외부에서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주변이 지저분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스피커에 유효공간이 점유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여섯째, 프로젝터를 본체에 내장시키는 경우 프로젝터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브라켓을 제작하여야 되고, 렌즈의 위치가 다른 모델의 프로젝터로 교체하는 경우 그 위치조정이 어렵게 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일곱째, 본체의 전체적인 높이를 증대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보다 크게 제작된 본체를 구매하여야 되므로,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여덟째, 본체로 파워라인, 각종 신호라인을 접속할 때 선을 정렬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었으므로, 지저분한 선들에 의해 외관미를 떨어뜨리게 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첫 번째 목적은 본체보다 좁은 문을 통과시킬 수 있는 구조로하여 좁은통로의 이동이 자유롭게 될 수 있는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그 두 번째 목적은 프로젝터로부터 방사되는 빔을 반사시키는 반사경에 의해 2중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영상의 선명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수 있는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그 세 번째 목적은 반사경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스크린에 나타나는 영상의 위치를 보다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그 네 번째 목적은 스크린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하여 시청자의 눈높이에 따라 최적의 시청각을 유지할 수 있는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그 다섯 번째 목적은 스피커를 내장할 수 있는 구조로하여 스피커가밖에 설치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지저분한 외관, 유효공간의 점유를 방지할 수 있는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그 여섯 번째 목적은 프로젝터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렌즈의 위치가 서로 다른 프로젝터에의 적용을 보다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방사되는 빔의 광축이동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그 일곱 번째 목적은 본체의 전체적인 높이를 보다 간편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그 여덟 번째 목적은 본체의 측면에 파워라인, 각종 신호라인을 접속할 수 있는 구조로 함에 따라 선들이 정렬되어 외관이 미려하게 되도록 할 수 있고, 동시에 선의 관리가 보다 편리하게 될 수 있는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에 설치된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빔을 테두리부분이 각각 틀로 둘러싸여 있는 하부반사경과 상부반사경을 통해 반사시킨 후 스크린을 통해 투과되어 보이도록 구성된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를 지지함과 동시에 이 프로젝터의 위치를 조절하는 프로젝터 위치조절기구와, 상기 하부반사경과 상부반사경의 기울어진 각도를 각각 조절하기 위한 틸트기구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하부반사경과 상부반사경은 빔이 입사되는 표면에서만 반사가 이루어지도록 그 표면에 표면반사막을 형성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상기 프로젝터와 하부반사경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측이 개방되며 그 개방된 부분의 가장자리에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위에 얹혀지면서 이 하부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와 결합되도록 밑면과 후면이 개방되고, 그 개방된 부분의 가장자리에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 상기 스크린이 설치되는 스크린 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위에 얹혀짐과 동시에 상기 스크린 케이스의 후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밑면과 앞면 그리고 후면이 개방되고, 이 개방된 부분의 가장자리에 상기 하부케이스와 스크린 케이스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와 결합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상부반사경이 설치되는 후방케이스와, 상기 후방케이스의 후면을 개폐하도록 이 후방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후면덮개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틸트기구는 상기 하부반사경과 상부반사경이 각각 고정되어 있는 틀의 측면 중앙으로부터 수평하게 관통되어 양단이 상기 본체에 의해 지지되어 이들 틀을 각각 회동자재케 지지하는 샤프트와, 상기 하부반사경이 고정되어 있는 틀의 상부 좌·우양측에서 옆으로 돌출되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을 가지는 조절편 및 상기 상부반사경이 고정되어 있는 틀의 하부 좌·우양측에서 옆으로 돌출되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을 가지는 또 다른 조절편과, 상기 본체로부터 각각 횡설되어 상기 각각의 조절편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으로 관통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에 두 개씩 한조를 이루면서 각각 나사결합되어 이 고정볼트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조절편의 앞면과 후면을 동시에 압박하여 상기 하부반사경 및 상부반사경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로크너트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의 하단부에서 측면에서 옆으로 수평하게 설치되어 양단이 상기 본체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이 스크린을 회동자재케 지지하는 힌지축과, 상기 스크린의 상부 좌·우양측에서 옆으로 돌출되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을 가지는 조절편과, 상기 본체로부터 각각 횡설되어 상기 조절편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으로 관통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에 두 개씩 한조를 이루면서 각각 나사결합되어 이 고정볼트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조절편의 앞면과 후면을 동시에 압박하여 상기 스크린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로크너트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의 상단이 수직선상에서 앞쪽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설치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하부케이스의 앞면에 좌·우측에 스피커 그릴을 각각 형성하고, 각 스피커 그릴의 안쪽 후면에는 스피커를 지지하도록 양측에 측판이 절곡형성된 스피커 받침판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스피커가 상기 스피커 그릴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스피커 받침판에 형성된 측판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크로스빔을 각각 추가로 설치하여 구성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프로젝터 위치조절기구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입설되는 수직안내관과, 상기 수직안내관에 삽입되어 미끄러지면서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되는 승강봉과, 상기 수직안내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승강봉을 압박하는 고정볼트와, 핀볼트에 의해 상하측의 관절이 각각 전·후, 좌·우로 회동자재케 결합되어 있고, 그 하단부가 상기 승강봉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관절기구와, 상기 관절기구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상면 좌·우측에서 전·후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서 전·후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상면에 설치되는 전후위치조정판과, 상기 승강판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위치조정판의 저면에 압접되거나 이로부터 떨어지면서 이 전후위치조정판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거나 움직이도록 하는 세트볼트와, 상기 전후위치조정판의 상면 전·후측에서 좌·우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서 좌·우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상면에 설치되고, 좌·우 폭을 조절하기 위한 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측면가장자리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좌우위치조정판과, 상기 좌우위치조정판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위치조정판에 압접되거나 이로부터 떨어지면서 이 좌우위치조정판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거나 움직이도록 하는 세트볼트와, 상기 좌우위치조정판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으로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미끄러지는 핀볼트가 설치되어 있고, 그 측면가장자리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좌우폭조절판과, 상기 핀볼트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위치조정판의 저면에 압접되거나 이로부터 떨어지면서 상기 좌우폭조절판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거나 움직이도록 하는 고정너트와, 상기 좌우위치조정판의 절곡부와 상기 좌우폭조절판의 절곡부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가압볼트와, 상기 가압볼트의 선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프로젝터의 좌·우측 측면을 압박함에 따라 이 프로젝터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가압판으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 케이스 및 후방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에 결합되도록 상·하부가 개방되고 그 개방된 부분의 상·하단측 가장자리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높이증대용 보조케이스가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전체적인 높이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하부케이스의 좌·우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외부의 파워라인과 신호선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는 접속함을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한편, 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한 특징을 갖는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측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측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정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를 구성하는 프로젝터 위치조절기구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7a 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반사경의 경사각을 조정하기 위한 틸트기구의 구성을 보이는 확대단면도
도 7b 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반사경의 경사각을 조정하기 위한 틸트기구의 구성을 보이는 확대단면도
도 8a 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반사경의 구조를 보이는 확대단면도
도 8b 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반사경의 구조를 보이는 확대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증대용 보조케이스가 본체에 조립된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
도 10 은 본 고안에 따른 하부반사경과 틸트기구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11 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반사경과 틸트기구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12 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과 틸트기구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13 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를 고정하기 위한 하부케이스의 내부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30 : 본체 72 : 승강봉
20 : 프로젝터 80 : 관절기구
B : 빔 76 : 승강판
41,51 : 틀 90 : 전후위치조정판
40 : 하부반사경 91,97 : 세트볼트
50 : 상부반사경 96a,96b : 장공
60 : 스크린 96p,98p : 절곡부
45,55 : 틸트기구 96 : 좌우위치조정판
42,52 : 표면반사막 98 : 좌우폭조절판
31 : 하부케이스 99 : 고정너트
32 : 스크린 케이스 170,172 : 가압판
33 : 후방케이스 181,182 : 플랜지
34 : 후면덮개 120,122 : 스피커 그릴
46,56 : 샤프트 124,126 : 스피커
H2 : 높이 130,132,134,136 : 측판
31m,31n : 개구부 140,142 : 스피커 받침판
190 : 파워라인 77,78,92,93 : 가이드 레일
192 : 신호선 88,89,94,95 : 슬라이드 블록
194,196 : 커넥터 74,75,98a,98b,98c,98d : 핀볼트
200,202 : 접속함 160,161,162,163 : 가압볼트
210,212 : 도어 180 : 높이증대용 보조케이스
100 : 힌지축 70 : 프로젝터 위치조절기구
V : 수직선 31p,32p,32r,33p,33r,33s : 플랜지부
θ° : 소정각도 47h,48h,57h,58h,102a,104a : 장공
150,152 : 크로스빔 47,48,57,58,102,104 : 조절편
71 : 수직안내관 49a,49b,59a,59b,106,108,73 : 고정볼트
49c,49d,49e,49f,59c,59d,59e,59f,110,112,114,116 : 로크너트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측단면도이고,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정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에 설치된 프로젝터(20)로부터 투사되는 빔(B)을 테두리부분이 각각 틀(41)(51)로 둘러싸여 있는 하부반사경(40)과 상부반사경(50)을 통해 반사시킨 후 스크린(60)을 통해 투과되어 보이도록 구성된 통상의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20)를 지지함과 동시에 이 프로젝터(20)의 위치를 조절하는 프로젝터 위치조절기구(70)와, 상기 하부반사경(40)과 상부반사경(50)의 기울어진 각도를 각각 조절하기 위한 틸트기구(45)(55)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첨부도면 도8a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반사경의 구조를 보이는 확대단면도이고, 도8b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반사경의 구조를 보이는 확대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반사경(40)과 상부반사경(50)은 빔이 입사되는 표면에서만 반사가 이루어지도록 그 표면에 표면반사막(42)(52)을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첨부도면 도2 및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30)는 상기 프로젝터(20)와 하부반사경(40)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측이 개방되며 그 개방된 부분의 가장자리에 플랜지부(31p)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케이스(31)와, 상기 하부케이스(31)의 위에 얹혀지면서 이 하부케이스(31)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31p)와 결합되도록 밑면과 후면이 개방되고, 그 개방된 부분의 가장자리에 플랜지부(32p)(32r)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 상기 스크린(60)이 설치되는 스크린 케이스(32)와, 상기 하부케이스(31)의 위에 얹혀짐과 동시에 상기 스크린 케이스(32)의 후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밑면과 앞면 그리고 후면이 개방되고, 이 개방된 부분의 가장자리에 상기 하부케이스(31)와 스크린 케이스(32)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32p)(32r)와 결합되는 플랜지부(33p)(33r)(33s)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상부반사경(50)이 설치되는 후방케이스(33)와, 상기 후방케이스(33)의 후면을 개폐하도록 이 후방케이스(33)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33s)에 결합되는 후면덮개(34)로 구성하였다.
첨부도면 도7a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반사경의 경사각을 조정하기 위한 틸트기구의 구성을 보이는 확대단면도이고, 도7b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반사경의 경사각을 조정하기 위한 틸트기구의 구성을 보이는 확대단면도이며,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하부반사경과 틸트기구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11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반사경과 틸트기구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고, 상기 틸트기구(45)(55)는 상기 하부반사경(40)과 상부반사경(50)이 각각 고정되어 있는 틀(41)(51)의 측면 중앙으로부터 수평하게 관통되어 양단이 상기 본체(30)에 의해 지지되어 이들 틀(41)(51)을 각각 회동자재케 지지하는 샤프트(46)(56)와, 상기 하부반사경(40)이 고정되어 있는 틀(41)의 상부 좌·우양측에서 옆으로 돌출되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47h)(48h)을 가지는 조절편(47)(48) 및 상기 상부반사경(50)이 고정되어 있는 틀(51)의 하부 좌·우양측에서 옆으로 돌출되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57h)(58h)을 가지는 또 다른 조절편(57)(58)과, 상기 본체(30)로부터 각각 횡설되어 상기 각각의 조절편(47)(48)(57)(58)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47h)(48h)(57h)(58h)으로 관통되는 고정볼트(49a)(49b)(59a)(59b)와, 상기 고정볼트(49a)(49b)(59a)(59b)에 두 개씩 한조를 이루면서 각각 나사결합되어 이 고정볼트(49a)(49b)(59a)(59b)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조절편(47)(48)(57)(58)의 앞면과 후면을 동시에 압박하여 상기 하부반사경(40) 및 상부반사경(50)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로크너트(49c)(49d)(49e)(49f)(59c)(59d)(59e)(59f)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46)(56)의 양단은 상기 본체(30)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봉(400)(402)(404)(406)의 상단부에 형성된 반원형의 자리파기홈에 각각 지지되도록 구성하였다.
첨부도면 도1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과 틸트기구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60)의 하부에서 측면에서 옆으로 수평하게 설치되어 양단이 상기 본체(3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이 스크린(60)을 회동자재케 지지하는 힌지축(100)과, 상기 스크린(60)의 상부 좌·우양측에서 옆으로 돌출되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102a)(104a)을 가지는 조절편(102)(104)과, 상기 본체(30)로부터 각각 횡설되어 상기 조절편(102)(104)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102a)(104a)으로 관통되는 고정볼트(106)(108)와, 상기 고정볼트(106)(108)에 두 개씩 한조를 이루면서 각각 나사결합되어 이 고정볼트(106)(108)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조절편(102)(104)의 앞면과 후면을 동시에 압박하여 상기 스크린(60)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로크너트(110)(112)(114)(116)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하였다.
첨부도면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측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60)의 상단이 수직선(V)상에서 앞쪽으로 소정각도(θ°) 기울어지도록 설치하였다.
첨부도면 도1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를 고정하기 위한 하부케이스의 내부구조를 보이는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31)의 앞면에 좌·우측에 스피커 그릴(120)(122)을 각각 형성하고, 각 스피커 그릴(120)(122)의 안쪽 후면에는 스피커(124)(126)를 지지하도록 양측에 측판(130)(132)(134)(136)이 절곡형성된 스피커 받침판(140)(142)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스피커(124)(126)가 상기 스피커 그릴(120)(122)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스피커 받침판(140)(142)에 형성된 측판(130)(132)(134)(136)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크로스빔(150)(152)을 각각 추가로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첨부도면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를 구성하는 프로젝터 위치조절기구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젝터 위치조절기구(70)는 상기 본체(30)의 바닥면에서 밑판(71b)에 의해 지지되면서 입설되는 수직안내관(71)과, 상기 수직안내관(71)에 삽입되어 미끄러지면서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되는 승강봉(72)과, 상기 수직안내관(71)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승강봉(72)을 압박하는 고정볼트(73)와, 핀볼트(74)(75)에 의해 상하측의 관절이 각각 전·후, 좌·우로 회동자재케 결합되어 있고, 그 하단부가 상기 승강봉(72)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관절기구(80)와, 상기 관절기구(8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승강판(76)과, 상기 승강판(76)의 상면 좌·우측에서 전·후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77)(78)과, 상기 가이드 레일(77)(78)에서 전·후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슬라이드 블록(88)(89)과, 상기 슬라이드 블록(88)(89)의 상면에 설치되는 전후위치조정판(90)과, 상기 승강판(76)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위치조정판(90)의 저면에 압접되거나 이로부터 떨어지면서 이 전후위치조정판(90)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거나 움직이도록 하는 세트볼트(91)와, 상기 전후위치조정판(90)의 상면 전·후측에서 좌·우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92)(93)과, 상기 가이드 레일(92)(93)에서 좌·우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슬라이드 블록(94)(95)와, 상기 슬라이드 블록(94)(95)의 상면에 설치되고, 좌·우 폭을 조절하기 위한 장공(96a)(96b)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측면가장자리에는 절곡부(96p)가 형성되어 있는 좌우위치조정판(96)과, 상기 좌우위치조정판(96)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위치조정판(90)에 압접되거나 이로부터 떨어지면서 이 좌우위치조정판(96)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거나 움직이도록 하는 세트볼트(97)와, 상기 좌우위치조정판(96)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96a)(96b)으로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미끄러지는 핀볼트(98a)(98b)(98c)(98d)가 설치되어 있고, 그 측면가장자리에는 절곡부(98p)가 형성되어 있는 좌우폭조절판(98)과, 상기 핀볼트(98a)(98b)(98c)(98d)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위치조정판(96)의 저면에 압접되거나 이로부터 떨어지면서 상기 좌우폭조절판(98)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거나 움직이도록 하는 고정너트(99)와, 상기 좌우위치조정판(96)의 절곡부(96p)와 상기 좌우폭조절판(98)의 절곡부(98p)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가압볼트(160)(161)(162)(163)와, 상기 가압볼트(160)(161)(162)(163)의 선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프로젝터(20)의 좌·우측 측면을 압박함에 따라 이 프로젝터(2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가압판(170)(172)으로 구성하였다.
여기에서 상기 관절기구(80)는 상기 승강봉(72)의 상단부에서 상측으로 돌설된 하부암클레비스부(81)와, 상기 승강판(76)의 밑면에 고정된 체결편(82)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설된 상부암클레비스부(83)와, 상기 하부암클레비스부(81)와 상부암클레비스부(83)에 결합되는 수클레비스부(84)(85)로 구성하였으며, 상기 하부암클레비스부(81)에는 좌우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암클레비스부(83)에는 전후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클레비스부(84)(85)는 상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측의 수클레비스부(84)는 평평한 면이 전후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의 수클레비스부(85)는 평평한 면이 좌우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암클레비스부(81)와 상부암클레비스부(83) 및 수클레비스부(84)(85)에는 관통홀(81h)(83h)(84h)(85h)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핀볼트(74)(75)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첨부도면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증대용 보조케이스가 본체에 조립된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31)의 밑에 형성된 플랜지(181)에 결합되는 또 다른 플랜지(182)를 가지며, 하측에는 캐스터(300)가 설치되는 높이증대용 보조케이스(180)가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본체(30)의 전체적인 높이(H2)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첨부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31)의 좌·우측면에 개구부(31m)(31n)를 형성하고, 외부의 파워라인(190)과 신호선(192)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194)(196)가 설치되어 있는 접속함(200)(202)을 상기 개구부(31m)(31n)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한편, 이 개구부(31m)(31n)를 개폐하는 도어(210)(212)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00은 상기 하부케이스(31)에 설치되는 캐스터를 나타낸 것이고, 302는 방열팬을 나타낸 것이며, 306, 307, 308은 스크류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30)보다 큰 통로를 통해 본체(30)를 통과시켜 이동시켜야 되는 경우 본체(30)를 구성하고 있는 하부케이스(31), 스크린 케이스(32), 후방케이스(33)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31p)(32p)(32r)(33p)(33r)를 결합하고 있는 스크류(306)를 풀게 되면, 이들이 각기 분리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하부케이스(31), 스크린 케이스(32), 후방케이스(33)를 각기 통로로 통과시키게 되면, 모두 결합된 상태보다 작은 크기로 되므로, 통로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통과된 하부케이스(31), 스크린 케이스(32), 후방케이스(33)를 재조립하게 되면, 이동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31), 스크린 케이스(32), 후방케이스(33)는 서로 유선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분리후에 각기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수리하거나 정비할 때에는 후방케이스(33)에 조립되어 있는 후면덮개(34)를 분리하게 되면,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게 되므로, 수리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본체(30)의 하부케이스(31)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젝터(20)로부터 전방측으로 빔(B)이 방사되면, 이 빔(B)은 하부반사경(40)에서 반사되어 후방측을 향해 상향하게 되며, 상향하는 빔(B)은 다시 상부반사경(50)에서 반사되어 스크린(60)을 향해 진행하면서 스크린(60)을 투과하여 스크린(60)의 앞에 위치한 시청자의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반사경(40)과 상부반사경(50)은 빔(B)이 입사되는 표면에서만 반사가 이루어지도록 그 표면에 표면반사막(42)(5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2중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선명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반사경(40)과 상부반사경(50)을 통해 반사되는 빔(B)의 경로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틸트기구(45)(55)를 이용하여 하부반사경(40)과 상부반사경(50)의 기울기를 조정하면 되는데, 먼저 하부반사경(40)의 기울기 조정은 로크너트(49c)(49d)(49e)(49f)를 느슨하게 한 다음 하부반사경(40)의 테두리에 있는 틀(41)의 기울기를 조정하게 되면, 이 틀(41)이 샤프트(46)를 기점으로 회동되면서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조절편(47)(48)이 이 조절편(47)(48)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47h)(48h)에 의해 고정볼트(49a)(49b)와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각운동을 하게 되며, 하부반사경(40)의 기울기가 적정한 기울기로 되었을 때에 풀어져 있던 로크너트(49c)(49d)(49e)(49f)를 다시 조이게 되면, 이 로크너트(49c)(49d)(49e)(49f)가 조절편(47)(48)의 앞면과 후면을 동시에 압박하게 되어 틀(41)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하부반사경(40)이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부반사경(50)도 상기 하부반사경(40)과 마찬가지로, 상부반사경(50)을 고정하고 있는 로크너트(59c)(59d)(59e)(59f)를 느슨하게 한 다음 상부반사경(50)의 테두리에 있는 틀(51)의 기울기를 조정하게 되면, 이 틀(51)이 샤프트(56)를 기점으로 회동되면서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조절편(57)(58)이 이 조절편(57)(58)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57h)(58h)에 의해 고정볼트(59a)(59b)와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각운동을 하게 되며, 상부반사경(50)의 기울기가 적정한 기울기로 되었을 때에 풀어져 있던 로크너트(59c)(59d)(59e)(59f)를 다시 조이게 되면, 이 로크너트(59c)(59d)(59e)(59f)가 조절편(57)(58)의 앞면과 후면을 동시에 압박하게 되어 틀(51)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상부반사경(50)이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스크린(60)도 상기 하부반사경(40)과 마찬가지로, 이 스크린(60)을 고정하고 있는 로크너트(110)(112)(114)(116)를 느슨하게 한 다음 스크린(60)의 기울기를 조정하게 되면, 이 스크린(60)의 상단부가 힌지축(100)을 기점으로 회동되면서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스크린(6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조절편(102)(104)이 이 조절편(102)(104)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102a)(104a)에 의해 고정볼트(106)(108)와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각운동을 하게 되며, 스크린(60)의 기울기가 적정한 기울기로 되었을 때에 풀어져 있던 로크너트(110)(112)(114)(116)를 다시 조이게 되면, 이 로크너트(110)(112)(114)(116)가 조절편(102)(104)의 앞면과 후면을 동시에 압박하게 되어 스크린(60)이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된다.
또, 상기 스크린(60)이 수직선(V)으로부터 앞쪽으로 소정각도(θ°) 기울어져 있으므로, 이 스크린(60)보다 다소 낮은 위치에서 시청하게 되는 영상이 기울어져 보이는 현상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 스피커(124)(126)를 본체(30)의 하부케이스(31)에 내장시키는 경우 먼저, 스피커(124)(126)를 스피커 받침판(140)(142)에 올려놓은 다음 이 스피커 받침판(140)(142)에 형성되어 있는 측판(130)(132)(134)(136)을 가로질러서 크로스빔(150)(152)을 각각의 측판(130)(132)(134)(136)에 설치하게 되면, 스피커(124)(126)가 스피커 받침판(140)(14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됨과 동시에 하부케이스(31)에 형성되어 있는 스피커 그릴(120)(122)의 후면에 밀착된다.
한편, 프로젝터 위치조절기구(70)에 의해 전후수평위치, 좌우수평위치, 높이, 전후회전각도, 좌우회전각도로 프로젝터(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프로젝터(20)의 폭에 따라 이 프로젝터(20)가 재치되는 좌우폭조절판(98)과 좌우위치조정판(96)가 이루는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동작을 하나하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로젝터 위치조절기구(70)에 의한 프로젝터(20)의 전후수평위치의 조정은 상기 전후위치조정판(90)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이 전후위치조정판(90)의 저면에 압접되어 있는 세트볼트(91)를 느슨하게 푼 다음 전후위치조정판(90)을 전후방향으로 밀거나 당기게 되면, 이 전후위치조정판(90)이 승강판(76)의 위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77)(78)에서 전후방향으로 미끄럼운동되는 슬라이드 블록(88)(89)과 함께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전후위치조정판(90)의 위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위치조정판(96) 및 좌우폭조절판(98)에 놓여 있는 프로젝터(20)가 상기 전후위치조정판(90)과 함께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프로젝터(20)의 전후수평위치가 적정한 위치에 위치되면, 느슨하게 풀어져 있던 세트볼트(91)를 조이게 되면, 이 세트볼트(91)가 다시 전후위치조정판(90)의 저면을 압박하게 되어 움직이지 못하고 조정된 위치에 셋팅된다.
다음으로 프로젝터 위치조절기구(70)에 의한 프로젝터(20)의 좌우수평위치의 조정은 상기 좌우위치조정판(96)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상기 전후위치조정판(90)의 상면에 압접되어 있는 세트볼트(97)를 느슨하게 푼 다음 좌우위치조정판(96)을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이 좌우위치조정판(96)이 전후위치조정판(90)의 위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92)(93)에서 좌우방향으로 미끄럼운동되는 슬라이드 블록(94)(95)과 함께 좌우방향으로 직선운동되며, 이와 동시에 좌우위치조정판(96)과 함께 좌우폭조절판(98)의 위에 놓여 있는 프로젝터(20)가 상기 좌우위치조정판(96)과 함께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프로젝터(20)의 좌우수평위치가 적정한 위치에 위치되면, 느슨하게 풀어져 있던 세트볼트(97)를 조이게 되면, 이 세트볼트(97)가 다시 전후위치조정판(90)의 상면을 압박하게 되어 움직이지 못하고 조정된 위치에 셋팅된다.
그 다음 프로젝터 위치조절기구(70)에 의한 프로젝터(20)의 높낮이 조정은 승강봉(72)을 압박하고 있는 고정볼트(73)를 느슨하게 푼 다음 승강봉(72)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게 되면, 이 승강봉(7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관절기구(80), 승강판(76), 전후위치조정판(90), 좌우위치조정판(96), 좌우폭조절판(98)이 승강운동되면서 이 위에 올려져 있는 프로젝터(20)가 승강운동된다.
이후 프로젝터(20)의 높이가 적정한 위치에 놓이게 되면, 풀어져 있던 고정볼트(73)를 다시 조이게 되면, 이 고정볼트(73)가 승강봉(72)을 압박하게 되어 승강봉(72)을 비롯하여 프로젝터(20)가 조정된 높이게 고정된다.
그 다음 프로젝터 위치조절기구(70)에 의한 프로젝터(20)의 전후회전각도조정 및 좌우회전각도조정은 관절기구(8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먼저 전후회전각도조정은 상측의 핀볼트(74)를 느슨하게 푼 다음 프로젝터(20)를 전후방향으로 기울이게 되면, 이 핀볼트(74)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는 상부암클레비스부(83)와 상측의 수클레비스부(85)에 의해 프로젝터(20)가 그 위의 승강판(76), 전후위치조정판(90), 좌우위치조정판(96) 및 좌우폭조절판(98)과 함께 전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프로젝터(20)의 회전각도가 적정한 위치에 놓이게 되면, 풀어져 있던 핀볼트(74)를 다시 조이게 되면, 상측의 수클레비스부(85)가 상부암클레비스부(83)에 의해 압박되면서 위치가 셋팅된다.
한편, 좌우회전각도조정은 하측의 핀볼트(75)를 느슨하게 푼 다음 프로젝터(20)를 좌우방향으로 기울이게 되면, 이 핀볼트(75)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는 하부암클레비스부(81)와 하측의 수클레비스부(84)에 의해 프로젝터(20)가 그 위의 상부암클레비수부(83), 승강판(76), 전후위치조정판(90), 좌우위치조정판(96) 및 좌우폭조절판(98)과 함께 전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프로젝터(20)의 회전각도가 적정한 위치에 놓이게 되면, 풀어져 있던 핀볼트(75)를 다시 조이게 되면, 하측의 수클레비스부(84)가 하부암클레비스부(81)에 의해 압박되면서 위치가 셋팅된다.
그 다음 프로젝터(20)의 폭에 따라 이 프로젝터(20)가 재치되는 좌우폭조절판(98)과 좌우위치조정판(96)가 이루는 거리의 조정은 고정너트(99)를 느슨하게 푼 다음 좌우폭조절판(98)을 좌우로 움직이게 되면, 좌우위치조정판(96)과 좌우폭조절판(98)에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96p)(98p)가 좁아지거나 넓어지게 된다.
즉, 상기 좌우폭조절판(98)에 설치되어 있는 핀볼트(98a)(98b)(98c)(98d)가 상기 좌우위치조정판(96)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96a)(96b)에서 미끄러지면서 좌우방향으로 직선안내된다.
위와 같은 조정에 의해 좌우위치조정판(96)과 좌우폭조절판(98)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96p)(98p)가 이루는 거리가 적당한 거리를 이룰 때 풀어져 있던 고정너트(99)를 다시 조이게 되면, 좌우폭조절판(98)과 좌우위치조정판(96)를 위아래에서 압박하는 핀볼트(98a)(98b)(98c)(98d)와 이 고정너트(99)에 의해 좌우위치조정판(96)과 좌우폭조절판(98)이 조정된 폭으로 고정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좌우위치조정판(96)의 절곡부(96p)와 상기 좌우폭조절판(98)의 절곡부(98p)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가압볼트(160)(161)(162)(163)를 회전시켜 이 가압볼트(160)(161)(162)(163)의 선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가압판(170)(172)을 프로젝터(20)의 좌우측면으로 이동시켜 이 프로젝터(20)를 적당한 압력으로 압박하게 되면, 프로젝터(20)가 좌우위치조정판(96) 및 좌우폭조절판(98)의 위에 고정되며, 다시 가압볼트(160)(161)(162)(163)를 느슨하게 풀게 되면, 프로젝터(20)를 좌우위치조정판(96) 및 좌우폭조절판(98)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프로젝터 위치조절기구(70)에 의해 프로젝터(20)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체(30)의 전체적인 높이(H2)를 높일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첨부도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31)의 밑에 설치되어 있는 캐스터(300)를 이로부터 분리한 다음 이 하부케이스(31)를 높이증대용 보조케이스(180)의 위에 올려 놓은 다음 이 하부케이스(31)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181)와 높이증대용 보조케이스(180)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182)를 스크류(309)를 이용하여 결합하게 되면, 본체(30)를 대형화할 수 있게 된다.
즉, 높이증대용 보조케이스(180)가 조립되지 않았을 때의 본체(30) 높이(H1)보다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하부케이스(31)에 외부의 파워라인(190)과 신호선(192)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이 하부케이스(31)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210)(212)에 의해 개구부(31m)(31n)를 개방하게 되면, 이 개구부(31m)(31n)를 통해 접속함(200)(202)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194)(196)가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때 외부로 노출된 커넥터(194)(196)에 파워라인(190)과 신호선(192)을 접속하게 되면, 이들 파워라인(190)과 신호선(192)이 정렬된 상태로 본체(30)에 접속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하 및 전·후로 분리가능한 하부케이스, 스크린 케이스, 후방케이스로 본체가 만들어져 있으므로, 분리 후 좁은 문을 통과시킨 다음 재조립하면 좁은 통로에서도 이동이 자유롭게 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프로젝터로부터 방사되는 빔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경이 표면에서 반사가 이루어지는 표면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2중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어 선명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반사경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틸트기구를 갖추고 있으므로, 스크린에 나타나는 영상이 스크린에 보다 정확하게 비추어질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넷째, 스크린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시청자의 눈높이에 따라 최적의 시청각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다섯째, 스피커를 내장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스피커가 외부에 있을 때보다 주변을 보다 깔끔하게 함과 동시에 공간활용율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여섯째, 프로젝터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렌즈의 위치가 다른 프로젝터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일곱째, 본체의 전체적인 높이를 증대시킬 수 있는 높이증대용 보조케이스를 갖추고 있으므로, 높이가 비교적 작은 모델로부터 높이가 높은 다른 모델로 교체하지 않고도 대형모델로의 전환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본체의 측면에 파워라인, 각종 신호라인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함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선들이 정렬되어 외관이 미려하게 됨과 동시에 관리가 보다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본체(30)에 설치되어 빔(B)을 투사하는 프로젝터(20), 각각 틀(41)(51)로 둘러싸이고 프로젝터(20)로부터 투사되는 빔(B)을 반사하는 하부반사경(40)과 상부반사경(50), 하부반사경(40)과 상부반사경(50)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는 틸트기구(45)(55), 하부반사경(40)과 상부반사경(50)을 통해 반사된 빔(B)이 투과되는 스크린(60), 그리고 프로젝터(20)를 지지함과 동시에 프로젝터(20)의 위치를 조절하는 프로젝터 위치조절기구(70)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프로젝터(20)와 하부반사경(40)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측이 개방되며 그 개방된 부분의 가장자리에 플랜지부(31P)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스(31);
    상기 하부케이스(31)의 위에 얹혀지면서 이 하부케이스(31)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31p)와 결합되도록 밑면에 후면이 개방되고 그 개방된 부분의 가장자리에 플랜지부(32p)(32r)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 상기 스크린(60)이 설치되는 스크린 케이스(32);
    상기 하부케이스(31)의 위에 얹혀짐과 동시에 상기 스크린케이스(32)의 후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밑면과 앞면, 그리고 후면이 개방되고 이 개방된 부분의 가장자리에 상기 하부케이스(31)와 스크린 케이스(32)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32p)(32r)와 결합되는 플랜지부(33p)(33r)(33s)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상부 반사경이 설치되는 후방케이스(33);
    상기 후방케이스(33)의 후면을 개폐하도록 이 후방케이스(33)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33s)에 결합되는 후면덮개(34);로
    본체(3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반사경(40)과 상부반사경(50)은 빔이 입사되는 표면에서만 반사가 이루어지도록 그 표면에 표면반사막(42)(52)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기구(45)(55)는 상기 하부반사경(40)과 상부반사경(50)이 각각 고정되어 있는 틀(41)(51)의 측면 중앙으로부터 수평하게 관통되어 양단이 상기 본체(30)에 의해 지지되어 이들 틀(41)(51)을 각각 회동자재케 지지하는 샤프트(46)(56);
    상기 하부반사경(40)이 고정되어 있는 틀(41)의 상부 좌·우양측에서 옆으로 돌출되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47h)(48h)을 가지는 조절편(47)(48) 및 상기 상부반사경(50)이 고정되어 있는 틀(51)의 하부 좌·우양측에서 옆으로 돌출되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57h)(58h)을 가지는 또 다른 조절편(57)(58);
    상기 본체(30)로부터 각각 횡설되어 상기 각각의 조절편(47)(48)(57)(58)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47h)(48h)(57h)(58h)으로 관통되는 고정볼트(49a)(49b)(59a)(59b);
    상기 고정볼트(49a)(49b)(59a)(59b)에 두 개씩 한조를 이루면서 각각 나사결합되어 이 고정볼트(49a)(49b)(59a)(59b)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조절편(47)(48)(57)(58)의 앞면과 후면을 동시에 압박하여 상기 하부반사경(40) 및 상부반사경(50)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로크너트(49c)(49d)(49e)(49f)(59c)(59d)(59e)(59f)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60)의 하단부에서 측면에서 옆으로 수평하게 설치되어 양단이 상기 본체(3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이 스크린(60)을 회동자재케 지지하는 힌지축(100);
    상기 스크린(60)의 상부 좌·우양측에서 옆으로 돌출되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102a)(104a)을 가지는 조절편(102)(104);
    상기 본체(30)로부터 각각 횡설되어 상기 조절편(102)(104)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102a)(104a)으로 관통되는 고정볼트(106)(108);
    상기 고정볼트(106)(108)에 두 개씩 한조를 이루면서 각각 나사결합되어 이 고정볼트(106)(108)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조절편(102)(104)의 앞면과 후면을 동시에 압박하여 상기 스크린(60)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로크너트(110)(112)(114)(116)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31)의 앞면에 좌·우측에 스피커 그릴(120)(122)을 각각 형성하고, 각 스피커 그릴(120)(122)의 안쪽 후면에는 스피커(124)(126)를 지지하도록 양측에 측판(130)(132)(134)(136)이 절곡형성된 스피커 받침판(140)(142)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스피커(124)(126)가 상기 스피커 그릴(120)(122)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스피커 받침판(140)(142)에 형성된 측판(130)(132)(134)(136)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크로스빔(150)(152)을 각각 추가로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위치조절기구(70)는 상기 본체(30)의 바닥면에 입설되는 수직안내관(71);
    상기 수직안내관(71)에 삽입되어 미끄러지면서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되는 승강봉(72);
    상기 수직안내관(71)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승강봉(72)을 압박하는 고정볼트(73);
    핀볼트(74)(75)에 의해 상하측의 관절이 각각 전·후, 좌·우로 회동자재케 결합되어 있고, 그 하단부가 상기 승강봉(72)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관절기구(80);
    상기 관절기구(8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승강판(76);
    상기 승강판(76)의 상면 좌·우측에서 전·후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77)(78);
    상기 가이드 레일(77)(78)에서 전·후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슬라이드 블록(88)(89);
    상기 슬라이드 블록(88)(89)의 상면에 설치되는 전후위치조정판(90);
    상기 승강판(76)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위치조정판(90)의 저면에 압접되거나 이로부터 떨어지면서 이 전후위치조정판(90)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거나 움직이도록 하는 세트볼트(91);
    상기 전후위치조정판(90)의 상면 전·후측에서 좌·우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92)(93);
    상기 가이드 레일(92)(93)에서 좌·우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슬라이드 블록(94)(95);
    상기 슬라이드 블록(94)(95)의 상면에 설치되고, 좌·우 폭을 조절하기 위한 장공(96a)(96b)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측면가장자리에는 절곡부(96p)가 형성되어 있는 좌우위치조정판(96);
    상기 좌우위치조정판(96)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후위치조정판(90)에 압접되거나 이로부터 떨어지면서 이 좌우위치조정판(96)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거나 움직이도록 하는 세트볼트(97);
    상기 좌우위치조정판(96)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96a)(96b)으로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미끄러지는 핀볼트(98a)(98b)(98c)(98d)가 설치되어 있고, 그 측면가장자리에는 절곡부(98p)가 형성되어 있는 좌우폭조절판(98);
    상기 핀볼트(98a)(98b)(98c)(98d)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위치조정판(96)의 저면에 압접되거나 이로부터 떨어지면서 상기 좌우폭조절판(98)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거나 움직이도록 하는 고정너트(99);
    상기 좌우위치조정판(96)의 절곡부(96p)와 상기 좌우폭조절판(98)의 절곡부(98p)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가압볼트(160)(161)(162)(163);
    상기 가압볼트(160)(161)(162)(163)의 선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프로젝터(20)의 좌·우측 측면을 압박함에 따라 이 프로젝터(2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가압판(170)(172)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31)의 밑에 형성된 플랜지(181)에 결합되는 또 다른 플랜지(182)를 가지며, 하측에는 캐스터(300)가 설치되는 높이증대용 보조케이스(180)가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본체(30)의 전체적인 높이(H2)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31)의 좌·우측면에 개구부(31m)(31n)를 형성하고, 외부의 파워라인(190)과 신호선(192)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194)(196)가 설치되어 있는 접속함(200)(202)을 상기 개구부(31m)(31n)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한편, 이 개구부(31m)(31n)를 개폐하는 도어(210)(212)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
KR2019980017231U 1998-09-10 1998-09-10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 KR2002250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231U KR200225059Y1 (ko) 1998-09-10 1998-09-10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231U KR200225059Y1 (ko) 1998-09-10 1998-09-10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876U KR19990003876U (ko) 1999-01-25
KR200225059Y1 true KR200225059Y1 (ko) 2001-06-01

Family

ID=6951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231U KR200225059Y1 (ko) 1998-09-10 1998-09-10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0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029B1 (ko) 2006-11-28 2010-01-2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프로젝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636B1 (ko) * 2000-12-21 2003-09-29 삼성전기주식회사 배면 투사형 프로젝션 시스템에서의 틸트 조정 기구
KR100403080B1 (ko) * 2001-03-29 200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
KR100828352B1 (ko) * 2002-03-28 2008-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조정이 용이한 광학엔진 어셈블리 및 이를 채용한프로젝션 시스템
KR200450275Y1 (ko) * 2009-04-28 2010-09-1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반사경 조절 장치
KR101003753B1 (ko) * 2010-10-11 2010-12-23 (주)하이브시스템 스크린 위치조정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CN108227362A (zh) * 2018-02-08 2018-06-29 广州弘誉智能技术有限公司 多轴立体投影调节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029B1 (ko) 2006-11-28 2010-01-2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프로젝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876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71141A1 (en) Location controller for tv receiver
DE60226136T2 (de) Planarer geformter Bildmodulator für ein integriertes Auflicht-Projektionssystem, und Verfahren dafür
KR200225059Y1 (ko)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
US20070189764A1 (en) Camera mount
JP2000029134A5 (ko)
EP0131988A1 (en) Video rear-screen projection apparatus
US20040184763A1 (en) Video to film flat panel digital recorder and method
CA2282288C (en) Projector transporter
US20030117583A1 (en) Device for displacing 3-dimensional objects in the projection space of a projection system
KR100956588B1 (ko) 영상표시장치의 각도조절장치
CN1802602A (zh) 用于将图像投射到不同投影面的设备
CN1142059A (zh) 具有同步齿带的放映镜头驱动装置
JP2022117498A (ja) ビデオスクリーン据え付け台
JP3363829B2 (ja) インテグレータレンズの位置調整機構及び該位置調整機構を用いたプロジェクタ
CN210993012U (zh) 一种舞台虚拟成像装置
JP2581757Y2 (ja) ビデオプロジェクターの投影装置
CN219046522U (zh) 一种超宽视角摄像头
CN101334584A (zh) 开放式立体虚像成像设备
CN201075162Y (zh) 半开放式立体虚像成像设备
KR200171447Y1 (ko) 비디오 실물 화상 장치대
JPS607248B2 (ja) テレビ画像投影装置
CN215494535U (zh) 一种智能化3d立体影像播放装置
JP3182318B2 (ja) 投写型スクリーンユニット
US20040184762A1 (en) Flat panel digital film recorder and method
CN208689283U (zh) 一种裸眼3d展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