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544Y1 - 안경테 - Google Patents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544Y1
KR200224544Y1 KR2020000035278U KR20000035278U KR200224544Y1 KR 200224544 Y1 KR200224544 Y1 KR 200224544Y1 KR 2020000035278 U KR2020000035278 U KR 2020000035278U KR 20000035278 U KR20000035278 U KR 20000035278U KR 200224544 Y1 KR200224544 Y1 KR 2002245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hinge
frame
synthetic resin
eye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2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진
Original Assignee
박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진 filed Critical 박용진
Priority to KR2020000035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5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5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544Y1/ko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 안경테에 있어 안경다리를 안경테 본체의 좌우 양측에 부착함에 있어, 경첩부위를 별도의 금속재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합성수지재로 형성토록 하되, 그 형상도 힌지 형상으로 하여 안경다리를 안경테 본체에 부착할 때 볼트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조립식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안경다리를 접을 경우에도, 접히는 방향이 일반안경처럼 좌우방향이 아닌 아래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그 형상을 아주 독특하게 한 것이다.
종래의 합성수지재 안경테의 경우는 금속재질의 경첩부를 안경본체와 안경다리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하고, 이를 볼트로 고정시키도록 하였는 바, 이는 단가가 비싼 금속재질의 경첩과 볼트를 별도로 마련하여야 하므로 단가가 비싸지며, 또한 금속재 경첩을 합성수지재 안경테 본체 및 안경다리에 각각 끼워 넣어야 하므로 제작과정이 복잡하여져 비경제적이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안경테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안경테가 좌우로 벌어져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힌지부위가 아주 튼튼하여 파손될 염려가 없는 것으로, 특히 스키와 같은 스포츠용 안경으로 사용되기에 아주 적합한 미적감각이 우수한 안경인 것이다.

Description

안경테{glasses frame}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 안경테에 있어 안경다리를 안경테 본체의 좌우 양측에 부착함에 있어, 경첩부위를 별도의 금속재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합성수지재로 형성토록 하되, 그 형상도 힌지 형상으로 하여 안경다리를 안경테 본체에 부착할 때 볼트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조립식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안경다리가 경첩되는 방향도 좌우방향이 아닌 아래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그 형상을 아주 독특하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테는 그 재질에 따라 두 종류로 구별될 수 있다.
그 하나는 합성수지재로 된 일명 뿔 안경테이며 다른 하나는 금속재로 된 일명 금테안경이다.
합성수지 안경테의 경우는 안경알을 끼우기 위해서 안경테에 열을 가해 안경테를 늘린 다음 이에 안경알을 끼우고 있으며, 안경다리를 안경본체에 연결함에 있어서는 금속재의 경첩을 안경본체의 좌우측 및 안경다리 단부에 각각 삽치한 후 이를 볼트로 연결토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합성수지재 안경테는 그 형상이 단순하고, 또한 안경다리와 안경본체를 연결하는 금속재의 경첩부를 별도로 마련하여야 하였으며 또한 상기 금속재 경첩부를 합성수지재의 안경본체 및 안경다리에 서로 대응되게 별도로 설치하여야 함으로서 제작 과정이 복잡하여져 비경제적이었다. 특히 안경다리는 2개가 부착되어야 하므로 금속재의 경첩부는 2쌍씩 전부 4개가 필요하고 이를 안경테에 전부 삽치하려면 그 제작비용 및 삽치공정이 만만치 않았던 것이다.
또한 안경다리가 부착되는 부위는 안경을 착용시 가장 힘을 많이 받는 부분이어서 가장 취약한 부분이 되는 것이며, 절첩운동이 계속되는 관계로 장기간 사용시 헐거워져 안경의 흘러내림이 발생되는 곳이어서 종래의 안경은 많은 단점이 제기되어 왔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제20-2000-27068호 안경이 있으며, 본 고안은 상기 선출원한 고안을 더욱 개량 발전시킨 것이다.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 안경테에 있어 안경다리를 안경테 본체의 좌우 양측에 부착함에 있어, 경첩부위를 별도의 금속재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합성수지재로 형성토록 하되, 그 형상도 힌지 형상으로 하여 안경다리를 안경테 본체에 부착할 때 볼트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조립식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안경다리가 경첩되는 방향도 좌우방향이 아닌 아래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그 형상을 아주 독특하게 한 것이다.
종래의 합성수지재 안경테의 경우는 금속재질의 경첩부(30)(40)를 안경본체(10)와 안경다리(20)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하고, 이를 볼트(60)로 고정시키도록 하였으나 본 고안의 안경에서는 금속재 경첩부위를 별도로 마련하지 아니하고,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되, 힌지구조로 사출당시부터 형성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안경본체의 형상에 있어서도 안경본체의 좌우측을 후미방향으로 라운드지게 구성하여 형상의 패션화를 가져왔으며, 안경다리가 부착됨에 있어서도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힌지를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안경다리가 아래방향으로 힌지되도록 함으로서 그 형상이 독특하고, 힌지부위에는 경첩을 보호하는 덧판이 형성되어 있어, 힌지부위가 외부의 충격에 견딜 수 있어 파손될 염려가 없으며, 좌우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장시간 사용하여도 헐거워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1은 종래 합성수지재 안경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 안경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안경에 있어 안경다리의 부착을 나타낸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안경에 있어 안경다리의 부착을 나타낸 측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안경에 있어 안경다리의 부착을 나타낸 측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안경에 있어 안경다리의 부착을 나타낸 측면도.
도7은 본 고안 안경의 부분 사시도.
도8은 도5의 A-A선 단면도.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 안경본체(1)의 좌우측을 라운드지게 구성하고, 좌우측 단부에는 합성수지재 끼움부(3)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끼움부에는 보호덧판(4) 내측에 힌지(5)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5)에는 안경다리(2)의 개구홈(6)이 조립식으로 결착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안경다리(2)의 개구홈(6) 일측에는 절결홈(7)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경테 본체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끼움부(3) 및 안경다리(2)의 단부는 그 재질이 안경테 재질과 동일한 합성수지재로 일체로 형성토록 함으로서, 금속재의 경첩을 따로 제작할 필요가 없도록 한 것이다. 즉 안경테 사출당시에 이미 안경본체 및 안경다리에는 각각 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힌지부가 일체로 사출되어 나오므로 별도로 금속재 경첩부를 제작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안경을 제작시에도 별도로 형성된 금속재 경첩부를 합성수지재의 안경본체 및 안경다리에 끼워 넣을 필요가 없으므로 그 제작 공정 또한 아주 간편하여 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안경본체 좌우측에 형성된 끼움부(3)에 안경다리를 부착하는 경우에도 볼트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조립식으로 끼우도록 되어있어, 안경다리 부착공정 역시 아주 간편하게 행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안경다리의 개구홈(6)을 안경본체 끼움부(3)의 힌지(5)에 끼워 넣기만 하면 간단히 체결이 되는 것이다.
또한 개구홈(6) 일측에는 절결홈(7)이 형성되어 있어 개구홈(6)이 힌지(5)에 끼워질 때, 절결홈에 의하여 개구홈의 입구가 보다 쉽게 벌어져 안경다리의 개구홈이 끼움부의 힌지(5)에 보다 쉽게 끼워질 수 있게 하였다. 한편 본 고안의 경우 안경본체의 좌우측을 후미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구성함으로 인하여 일반 통상적인 안경과는 달리 그 전체적인 형상이 독특하여 패션을 중요시 하는 현대에 크게 어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끼움부에는 보호덧판(4)이 형성되어 있어 힌지(5) 체결부분을 보호함은 물론 안경다리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을 보호덧판이 방지하므로 안경다리가 헐거워지지 않고 항상 타이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안경다리를 접을 경우, 안경다리가 힌지되는 방향이 일반 안경처럼 좌우로 절첩되지 아니하고, 아래 방향으로 절첩되어 지는 바, 이와 같이 아래 방향으로 절첩되어 짐에도 불구하고 안경본체 좌우측이 라운드지게 구성되어 있어, 안경다리가 절첩된 최종상태는 일반안경을 접은 것처럼 옆으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 안경테에 있어 안경다리를 안경테 본체의 좌우 양측에 부착함에 있어, 경첩부위를 별도의 금속재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합성수지재로 형성토록 하되, 그 형상도 힌지 형상으로 하여 안경다리를 안경테 본체에 부착할 때 볼트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조립식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안경다리를 접을 경우에도, 접히는 방향이 일반안경처럼 좌우방향이 아닌 아래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그 형상을 아주 독특하게 한 것이다.
종래의 합성수지재 안경테의 경우는 금속재질의 경첩부를 안경본체와 안경다리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하고, 이를 볼트로 고정시키도록 하였는 바, 이는 단가가 비싼 금속재질의 경첩을 별도로 마련하여야 하며, 또한 금속재 경첩을 합성수지재 안경테 본체 및 안경다리에 각각 끼워 넣어야 하므로 제작과정이 복잡하게 된다.
또한 안경다리를 안경본체에 부착함에 있어서도 볼트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볼트의 제작비용 및 체결공정등을 고려하면 상당히 비경제적이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안경테에 있어서는 안경본체의 좌우측 및 안경다리에 삽치되는 경첩부위를 금속재로 하지 아니하고 안경테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재로 구성하되, 안경테와 일체로 구성토록 함으로서, 금속재 경첩부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는 것이며, 또한 금속재 경첩부를 합성수지재 안경테에 삽치할 필요가 없어 제작공정이 단순하여져서 전체 제작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외관에 있어서도 안경다리의 접힘방향을 아래 방향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그 절첩 구성이 독특하며, 또한 안경본체의 좌우측을 후미방향으로 라운드지게 구성함으로 인하여, 그 전체적인 형상이 독특하여 패션을 중요시하는 현대에 있어서는 일반 소비자들에게 좋은 호응을 얻을 수 있는 아주 미적 감각이 우수한 안경인 것이다.

Claims (2)

  1. 합성수지재 안경본체(1)의 좌우측을 라운드지게 구성하고, 좌우측 단부에는 합성수지재 끼움부(3)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끼움부에는 보호덧판(4) 내측에 힌지(5)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5)에는 안경다리(2)의 개구홈(6)이 조립식으로 결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안경다리(2)의 개구홈(6) 일측에는 절결홈(7)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KR2020000035278U 2000-12-16 2000-12-16 안경테 KR2002245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278U KR200224544Y1 (ko) 2000-12-16 2000-12-16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278U KR200224544Y1 (ko) 2000-12-16 2000-12-16 안경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544Y1 true KR200224544Y1 (ko) 2001-05-15

Family

ID=7309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278U KR200224544Y1 (ko) 2000-12-16 2000-12-16 안경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5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18533A1 (en) Hinge structure, particularly for spectacle frames
KR100931791B1 (ko) 안경용 힌지구조
US20110032473A1 (en) Stable-position spectacle hinge
KR200448466Y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US5473395A (en) Foldable elastic temple for spectacles
KR200224544Y1 (ko) 안경테
KR200448810Y1 (ko) 안경테 조립 구조
US7753519B2 (en) Temples for eyeglasses
US20050225716A1 (en) Elastic hinge for eye-glasses temple bars
KR20090011437U (ko) 경첩 체결구조가 개량된 합성수지테 안경
KR101113422B1 (ko) 안경용 힌지
KR100616031B1 (ko) 합성수지 안경다리의 힌지부 보강구조
KR200215643Y1 (ko) 안경테
KR102056754B1 (ko) 조립식 안경
KR200182148Y1 (ko) 안경테
WO1999061951A1 (en) Elastic hinge for eyeglasses
KR200376512Y1 (ko) 볼트를 가리도록 된 렌즈지지부재
KR200497749Y1 (ko) 경첩내장형 안경의 힌지 구조
KR200450246Y1 (ko) 림락과 힌지기능을 가진 안경테 고정수단
KR200497580Y1 (ko) 착탈식 보조안경 체결구조를 갖는 안경
KR101454230B1 (ko) 플라스틱 안경테용 힌지 조립구조체
KR102615229B1 (ko)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
KR20110026736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KR200446025Y1 (ko) 금속제 안경테용 힌지장치
KR200406829Y1 (ko) 탄발력을 이용한 합성수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