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230B1 - 플라스틱 안경테용 힌지 조립구조체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안경테용 힌지 조립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230B1
KR101454230B1 KR1020130025921A KR20130025921A KR101454230B1 KR 101454230 B1 KR101454230 B1 KR 101454230B1 KR 1020130025921 A KR1020130025921 A KR 1020130025921A KR 20130025921 A KR20130025921 A KR 20130025921A KR 101454230 B1 KR101454230 B1 KR 101454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block
fixing bracket
connecting block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1726A (ko
Inventor
김현기
Original Assignee
김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기 filed Critical 김현기
Priority to KR1020130025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230B1/ko
Publication of KR20140111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안경테용 힌지 조립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프론트와 다리를 힌지구조로 연결하는 것으로, 특히 힌지볼트의 가압에 따른 연결블럭과 힌지블럭의 손상 방지하고 미려한 외관을 겸비하도록 한 플라스틱 안경테용 힌지 조립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안경테용 힌지 조립구조체{GLASSES HINGE ASSEMBLY}
본 발명은 플라스틱 안경테용 힌지 조립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프론트와 다리를 힌지구조로 연결하는 것으로, 특히 힌지볼트의 가압에 따른 연결블럭과 힌지블럭의 손상을 방지하고 미려한 외관을 겸비하도록 한 플라스틱 안경테용 힌지 조립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안경은 일반적으로 시력이 나쁜 사람에 착용되어 눈을 잘 보이게 하면서도 먼지나 햇빛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 형태는 대략 렌즈가 끼워진 프론트의 양단에 다리가 힌지 조립구조를 통해 연결되어 다리의 절첩 및 전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를 비롯한 안경테는 금속재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며, 최근에는 사출 성형기술의 발전과 경량화 추세에 따라 플라스틱 재질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프론트의 양단에 한 쌍의 힌지블럭을 상하 이격되게 형성하고, 최근에는 볼트체결을 통해 프로트와 안경다리의 결합작업이 이루어지는 실정이다.
상기 볼트체결에 의하여 안경테의 프론트와 안경다리가 상호 결합되는 방법은, 프론트에 안경다리를 바로 체결하여 결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프론트의 일단에 안경다리의 선단을 삽입하여 볼트를 체결하기에는 프론트 및 안경다리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그 작업이 너무 번거롭고 볼트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안경렌즈 및 안경다리의 파손을 야기시키는 단점이 있어 왔다.
그리고, 상기 연결블럭과 힌지블럭은 사출 성형을 통해 성형된 관계로, 불가피하게 웰딩부위가 발생되며, 상기 웰딩부위에 무리한 압력이나 스트레스가 발생되면 연결블럭이나 힌지블럭의 손상이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한편, 공개실용신안공보(U) 20-2012-0004787호(공개일자 2012년07월03일)에서는, 특히 안경테와 안경다리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구의 내부로 안경테와 안경다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체가 인입되어 구성되는 안경테를 제안하여, 연결체의 외부노출을 차단하면서도 다양한 색감을 구현하거나 표면에 문양을 표출할 수 있어 안경의 미적 감각을 향상시킴으로써 디자인의 질적 상승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사출에 의해 연결블럭과 힌지블럭을 형성하지 아니하고, 금속 재질 등으로 별도 성형된 연결구와 연결체가 프론트와 다리에 별도 설치되므로, 안정된 내구성을 겸비할 수 있는 이점은 갖는다.
그러나, 상기 안경테는 연결구와, 연결체, 및 제 1 체결볼트와 제 2 체결볼트 및 제 3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복잡한 구성요소가 요구되고, 또 복잡한 조립과정이 요구되므로,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고, 또 안경테의 무게를 가중시켜서 착용감이 불편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프론트와 다리를 힌지구조로 연결함에 있어, 힌지볼트의 가압에 따른 연결블럭과 힌지블럭의 손상 방지하면서 고정 브라켓에 의해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한 플라스틱 안경테용 힌지 조립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안경테용 힌지 조립구조체는,
프론트의 양단과 다리의 선단을 힌지구조로 연결하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용 힌지 조립구조체는, 프론트의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연결블럭과; 다리의 선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블럭에 교차되게 적층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힌지블럭과; 상하 이격된 상부 힌지편과 하부 힌지편이 연결편에 의해 연결된 'ㄷ'자형 고정 브라켓; 및 상기 고정 브라켓과 연결블럭과 힌지블럭을 관통하는 힌지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삭제
상기 상하 교차되게 적층된 프론트의 연결블럭과 다리의 힌지블럭은, 'ㄷ'자형 고정 브라켓에 의해 상부면과 하부면 및 외측면이 각각 감싸진 다음 'ㄷ'자형 고정 브라켓의 상부 힌지편과 하부 힌지편을 관통하는 힌지볼트에 의해 관통되어서 힌지구조로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론트의 단부에는 하나의 연결블럭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ㄷ'자형 고정 브라켓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블럭에 고정된 'ㄷ'자형 고정 브라켓 내에는 힌지블럭이 삽입되어서,
상기 'ㄷ'자형 고정 브라켓 내에, 프론트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블럭과 다리의 선단에 형성된 힌지블럭이 상하 교차되게 적층되어서, 연결블럭의 일면과 힌지블럭의 일면이 'ㄷ'자형 브라켓의 하부 힌지편과 상부 힌지편에 각각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하 교차되게 적층된 프론트의 연결블럭과 다리의 힌지블럭를 감싸는 고정 브라켓을 부가하여, 고정 브라켓의 상부 힌지편과 하부 힌지편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힌지볼트에 의해 힌지구조로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프론트의 연결블럭과 다리의 힌지블럭에 힌지볼트에 의한 가압력이 직접 제공되지 아니하므로, 힌지볼트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연결블럭과 힌지블럭의 웰딩부위가 파손되는 현상이 예방되고, 또 반복적인 힌지 회전에 의해 힌지볼트의 체결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어서,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힌지구조로 결합된 연결블럭과 힌지블럭은 고정 브라켓에 의해 외부 노출이 방지되고, 또 고정 브라켓의 고유한 재질이나 색상에 의해 프론트와 다리 사이에 고유한 장식부위가 형성되므로 장식부위에 의해 미려한 외관을 갖고,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른 디자인의 고정 브라켓을 교환하여 자신의 취향에 적합한 외관을 겸비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연결구조를 채택한 플라스틱 안경테에 있어, 프론트와 다리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및 결합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연결구조를 채택한 플라스틱 안경테의 프론트와 다리의 힌지 연결부위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연결구조를 채택한 플라스틱 안경테에 있어, 규합돌기와 쇄기부재를 통한 고정 브라켓과 연결블럭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 힌지 조립구조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연결구조를 채택한 플라스틱 안경테에 있어, 프론트와 다리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및 결합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연결구조를 채택한 플라스틱 안경테의 프론트와 다리의 힌지 연결부위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연결구조를 채택한 플라스틱 안경테에 있어, 규합돌기와 쇄기부재를 통한 고정 브라켓과 연결블럭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플라스틱 안경테(1)용 힌지 조립구조체는,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프론트(10)와 다리를 힌지구조로 상호 연결하여 다리의 절첩 및 전개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힌지 조립구조체는, 프론트(10)의 양단에는 힌지공(11a)이 형성된 하나의 연결블럭(11)이 일체로 형성되고 다리(20)의 선단에는 힌지공(21a)이 형성된 하나의 힌지블럭(21)이 형성되어, 이들 연결블럭(11)과 힌지블럭(21)은 상호 교차되게 적층된 다음 상하 연통하는 힌지공(11a, 21a)으로 힌지볼트(40)를 관통시켜 힌지구조로 상호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러한 플라스틱 안경테용 힌지 연결구조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연결블럭(11)과 힌지블럭(21)을 감싸는 고정 브라켓(30)을 제안 부가하여, 힌지볼트의 체결압이 연결블럭(11)과 힌지블럭(21)에 직접 전달되지 아니하면서도 상하 교차되게 적층된 연결블럭(11)과 힌지블럭(21)의 힌지 연결이 안정되게 이룩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 브라켓(30)은, 상하 이격된 상부 힌지편(31)과 하부 힌지편(32)이 연결편(33)을 통해 연결되어 내측이 개구부(30a)가 형성된 'ㄷ'자형의 몸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편(33)에 의해 상하 이격된 상부 힌지편(31)과 하부 힌지편(32)에는 연결블럭(11)과 힌지블럭(21)에 형성된 힌지공(11a, 21a)과 연통하는 볼트공(31a, 32a)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블럭(11)의 하부면은 'ㄷ'자형 브라켓(30)의 하부 힌지편의 상부면에 지지되고, 힌지블럭(21)의 상부면은 'ㄷ'자형 브라켓(30)의 상부 힌지편의 하부면에 지지되어서, 복수의 힌지블럭이나 복수의 연결블럭을 형성하지 아니하고도 상하 교차되게 적층된 힌지블럭(21)과 연결블럭(11)의 안정된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블럭(11)의 외벽에는 하나 이상의 규합홈(11b)이 형성하고, 이를 감싸는 'ㄷ'자형 고정 브라켓(30)의 내벽에는 규합홈(11b)에 진입하여 연결블럭(11)에 규합하여 고정되는 규합돌기(3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브라켓(30)은 규합돌기(34)를 연결블럭(11)의 규합홈(11b)에 규합시켜, 힌지블럭(21)이 상하 교차되게 적층되는 연결블럭(11)의 정 위치에 가 조립되도록 한다.
도면을 보면 상기 연결블럭(11)에 형성된 규합홈(11b)의 내벽과 이와 마주하는 고정 브라켓(30)의 규합돌기(34) 외벽은 미늘형으로 이루어져, 규합돌기(34)는 규합홈(11b)에 미늘구조로 견착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브라켓(30)의 내벽에 한 쌍의 규합돌기(34)를 좌우 이격되게 형성하여 이격된 규합돌기(34) 사이로 진입하는 쇄기부재(35)를 진입시켜, 이격된 규합돌기(34)의 간격이 쇄기부재(35)에 의해 간격이 점차 벌어지면서 규합홈(11b)의 내벽에 긴밀하게 고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쇄기부재(35)에 의해 규합돌기(34)가 벌어져 규합홈(11b)의 내벽에 고착되면, 고정 브라켓(30)은 연결블럭에 안정되게 고정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프론트(10)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블럭(11)에 'ㄷ'자형 브라켓을 규합시켜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 브라켓(30)은 규합돌기(34)를 연결블럭(11)의 규합홈(11b)에 규합되어 프론트(10)의 단부에 가 조립되고, 규합돌기(34) 사이로 진입되는 쇄기부재(35)에 의해 연결블럭과 고정 브라켓 사이의 고착이 이루어진다.
이후, 작업자는 연결블럭(11)에 고정된 'ㄷ'자형 고정 브라켓(30)에 다리(20)의 선단에 형성된 힌지블럭(21)을 진입시켜 'ㄷ'자형 고정 브라켓(30)에 힌지블럭(21)과 연결블럭(11)이 상하 교차되게 적층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하 교차되게 적층된 연결블럭(11)과 힌지블럭(21)은 고정 브라켓(30)에 의해 3 면이 감싸진 상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 교차되게 적층된 연결블럭(11)과 힌지블럭(21)의 상부면과 저면은 상부 힌지편(31)과 하부 힌지편(32)에 의해 감싸지고, 외측면은 고정 브라켓(30)의 연결편(33)에 의해 감싸져 외부에 노출되지 아니한다.
이후, 작업자가 고정 브라켓(30)의 상부 힌지편(31)을 통해 힌지볼트(40)를 진입시켜 하부 힌지편(32)에 체결하면, 상호 교차되게 적층되어 고정 브라켓(30)에 의해 3 면이 감싸진 연결블럭(11)과 힌지블럭(21)은 고정 브라켓(30)의 상부 힌지편(31)과 하부 힌지편(32)을 관통하는 힌지볼트(40)에 의해 관통되어 힌지구조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힌지볼트(4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두부(41)가 형성되고 하단에 체결부(42)가 형성된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30)에 형성된 상부 힌지편(31)에는 테이퍼 형상의 볼트공(3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힌지편(31)과 연결블럭(11) 및 힌지블럭(21)을 관통한 힌지볼트(40)는 하부 힌지편(41)의 볼트공(41a)에 하단을 체결하면서 상부 힌지편(31)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볼트공(31a)에 테이퍼 형상의 두부(41)를 빗면구조로 안정되게 밀착시켜서 풀림이 방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10)에 형성된 연결블럭(11)과 다리(20)에 형성된 힌지블럭(21)은 힌지볼트(40)에 의한 직접적인 체결에 의해 상하 압착이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고정 브라켓(30)의 상부와 하부에 양단을 고정시킨 힌지볼트(40)에 단순 관통한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힌지볼트(40)의 체결압에 의해 연결블럭(11)과 힌지블럭(21)이 직접적으로 가압되어 연결블럭(11) 및 힌지블럭(21)이 물리적으로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현상이 예방되고, 결과적으로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상하 교차되게 적층된 연결블럭(11)과 힌지블럭(21)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어 연결블럭(11)과 힌지블럭(21)을 관통하는 힌지볼트(40)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30)은, 플라스틱을 비롯하여 금속재, 카본 등 다양한 재질로 성형이 가능하고, 또 프론트(10) 또는 다리(20)와 다른 색상으로 제작하여 프론트(10)와 다리(20) 사이에 재질, 또는 색상을 통해 새로운 미감을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추후 고정 브라켓의 교체를 통해 새로운 미감의 연출이 가능하다.
1. 안경테
10. 프론트 11. 연결블럭
11a. 힌지공 11b. 규합홈
20. 다리 21. 힌지블럭
21a. 힌지공
30. 고정 브라켓
31. 상부 힌지편 31a. 볼트공
32. 하부 힌지편 32a. 볼트공
33. 연결편 34. 규합돌기
35. 쇄기부재
40. 힌지볼트

Claims (2)

  1. 플라스틱 안경테의 프론트의 양단과 다리의 선단을 힌지구조로 연결하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용 힌지 조립구조체는, 프론트의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연결블럭과; 다리의 선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블럭에 교차되게 적층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힌지블럭과; 상하 이격된 상부 힌지편과 하부 힌지편이 연결편에 의해 연결된 'ㄷ'자형 고정 브라켓; 및 상기 고정 브라켓과 연결블럭과 힌지블럭을 관통하는 힌지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상하 교차되게 적층된 프론트의 연결블럭과 다리의 힌지블럭은, 'ㄷ'자형 고정 브라켓에 의해 상부면과 하부면 및 외측면이 각각 감싸진 다음 'ㄷ'자형 고정 브라켓의 상부 힌지편과 하부 힌지편을 관통하는 힌지볼트에 의해 관통되어서 힌지구조로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안경테용 힌지 조립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의 단부에는 하나의 연결블럭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ㄷ'자형 고정 브라켓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블럭에 고정된 'ㄷ'자형 고정 브라켓 내에는 힌지블럭이 삽입되어서,
    상기 'ㄷ'자형 고정 브라켓 내에, 프론트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블럭과 다리의 선단에 형성된 힌지블럭이 상하 교차되게 적층되어서, 연결블럭의 일면과 힌지블럭의 일면이 'ㄷ'자형 브라켓의 하부 힌지편과 상부 힌지편에 각각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안경테용 힌지 조립구조체.
KR1020130025921A 2013-03-12 2013-03-12 플라스틱 안경테용 힌지 조립구조체 KR101454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921A KR101454230B1 (ko) 2013-03-12 2013-03-12 플라스틱 안경테용 힌지 조립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921A KR101454230B1 (ko) 2013-03-12 2013-03-12 플라스틱 안경테용 힌지 조립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726A KR20140111726A (ko) 2014-09-22
KR101454230B1 true KR101454230B1 (ko) 2014-10-23

Family

ID=51757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921A KR101454230B1 (ko) 2013-03-12 2013-03-12 플라스틱 안경테용 힌지 조립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2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260A (ko) 2020-11-04 2022-05-11 김동학 안경용 힌지 결합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219B1 (ko) * 1991-05-28 1994-02-17 가부시키가이샤 간다 옵티컬 접철가능한 안경다리를 구비한 안경테
JP2001209013A (ja) 2000-01-28 2001-08-03 Hideaki Tachibana 眼鏡軸止部の緩み防止機構
JP2001264704A (ja) * 2000-03-23 2001-09-26 Kobayashi:Kk 眼鏡テンプルの連結機構
KR200273953Y1 (ko) 2002-02-08 2002-04-27 김헌석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219B1 (ko) * 1991-05-28 1994-02-17 가부시키가이샤 간다 옵티컬 접철가능한 안경다리를 구비한 안경테
JP2001209013A (ja) 2000-01-28 2001-08-03 Hideaki Tachibana 眼鏡軸止部の緩み防止機構
JP2001264704A (ja) * 2000-03-23 2001-09-26 Kobayashi:Kk 眼鏡テンプルの連結機構
KR200273953Y1 (ko) 2002-02-08 2002-04-27 김헌석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260A (ko) 2020-11-04 2022-05-11 김동학 안경용 힌지 결합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726A (ko) 201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56281A1 (en) Spectacles set with decorative frame
KR101124296B1 (ko) 자석을 이용한 교체 가능한 다리를 지닌 안경
KR100931791B1 (ko) 안경용 힌지구조
JP2001228446A (ja) めがねユニットの組み付け方法
KR101454230B1 (ko) 플라스틱 안경테용 힌지 조립구조체
KR200442282Y1 (ko) 안경용 조립식 힌지
KR200448810Y1 (ko) 안경테 조립 구조
KR101625290B1 (ko) 합성수지 안경테의 보조안경테 결합구조체
KR20150127435A (ko) 이중 안경테
KR101883670B1 (ko) 안경용 림과 엔드피스의 조립구조
WO2011124022A1 (zh) 一种组合式眼镜
KR20150109572A (ko) 안경 프론트
KR101861187B1 (ko) 조립성이 개선된 안경테
KR101870528B1 (ko) 조립형 안경
KR102639369B1 (ko) 부피 절감 구조를 가지는 안경테
KR101663014B1 (ko) 개량된 템플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
KR101364270B1 (ko) 안경 코받침 결합구조
KR20110026736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KR200467559Y1 (ko) 안경
KR101965959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KR200454311Y1 (ko) 다리의 뒤틀림이 억제된 천연소재를 이용한 안경테
GB2403556A (en) Swimming goggles
KR100740712B1 (ko) 조립식 안경 및 그 부품
KR200431459Y1 (ko) 합성수지 안경테의 코받침 연결구조
KR200427826Y1 (ko) 개량된 안경테의 힌지를 이용한 안경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