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7435A - 이중 안경테 - Google Patents

이중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7435A
KR20150127435A KR1020140054230A KR20140054230A KR20150127435A KR 20150127435 A KR20150127435 A KR 20150127435A KR 1020140054230 A KR1020140054230 A KR 1020140054230A KR 20140054230 A KR20140054230 A KR 20140054230A KR 20150127435 A KR20150127435 A KR 20150127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ns
main
engaging portion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환
Original Assignee
필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필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4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7435A/ko
Publication of KR20150127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4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렌즈와, 상기 렌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렌즈를 지지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서브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브 프레임을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금속 재질의 서브 프레임을 메인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렌즈 교체가 용이하며, 렌즈 삽입 또는 교체 시 안경테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재질의 서브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합성수지 재질의 안경테의 강도가 향상되고 메인 프레임의 밸런스 유지에 도움이 된다.

Description

이중 안경테{Double glass frame}
본 발명은 이중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가 결합되는 서브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을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이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이중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시력이 저하된 사람의 시력 회복 또는 시력 저하를 방지하고, 선글라스는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된다(안경이나 선글라스는 용도에 따른 구분일 뿐이므로, 이하에서는 프레임에 렌즈가 결합되어 얼굴에 착용하는 모든 제품을 안경이라 통칭하기로 함). 그러나 최근에는 눈이 좋은 사람들도 패션 아이템의 하나로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가 많아지는 추세이다.
안경테는 렌즈를 고정시키는 역할뿐만 아니라 패션 아이템으로서 착용자의 외관을 꾸미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안경테의 형태나 재질, 무늬 등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안경테는 합성수지나 금속 재질, 또는 이들의 혼합 재질로 만들어진다.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안경테는 유연성이 좋고 착용감은 좋지만 견고함이 떨어져 사용자의 부주의로 손상되기 쉽다. 금속 재질의 안경테는 견고하여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지만, 단단한 만큼 유연성이 부족하고 착용감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합성수지와 금속 재질의 혼합 재질로 만들어진 안경테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패션 아이템으로 많이 사용되는 제품은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 제품인 경우가 많으며,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안경테가 얇은 제품이 많아 손상에 취약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한국특허공개 제2012-0034844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의 안경테는 렌즈가 안경테에 직접 결합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렌즈의 결합 또는 교체 과정에서 안경테가 쉽게 손상될 위험이 높다.
한국특허공개 제2012-0034844호(공개일: 2012년 04월 13일)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가 결합되는 금속 프레임을 별도로 구비하고, 렌즈가 결합된 프레임을 안경테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렌즈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렌즈 삽입 또는 교체 시 안경테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안경테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 안경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중 안경테는 렌즈와, 상기 렌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렌즈를 지지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서브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브 프레임을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NCP(Nylon composite plastic, 나일론복합플라스틱)를 포함하는 합성 수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서브 프레임은 금속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서브 프레임은 일측에 볼트가 삽입되는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에 상기 볼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링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서브 프레임이 결합되는 메인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은 외주면에 상기 메인 결합부에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결합부와 프레임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는 요입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결합부와 프레임 결합부 중 다른 하나는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 및 돌기는 상기 메인 결합부와 프레임 결합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코받침 및 안경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코받침 및 안경다리를 각각 결합시키는 볼트 삽입을 위한 복수의 볼트 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는 상기 볼트 결합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면으로부터 요입 형성된 요입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입홈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 결합홀을 커버하는 복수의 가림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를 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금속 재질의 서브 프레임을 메인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렌즈 교체가 용이하며, 렌즈 삽입 또는 교체 시 안경테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재질의 서브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합성수지 재질의 안경테의 강도가 향상되고 메인 프레임의 밸런스 유지에 도움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안경테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안경테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안경테의 메인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안경테의 서브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안경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안경테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안경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안경테의 메인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안경테의 서브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편의상 사용자의 눈 쪽을 향하는 부분을 메인 프레임의 후방, 사용자의 얼굴 앞쪽을 향하는 부분을 메인 프레임의 전방으로 정의하여 설명함).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 안경테(100)는 코받침(102)과 안경다리(104)가 형성된 메인 프레임(110)과, 메인 프레임(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프레임(130)과, 서브 프레임(1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150)로 구성된다.
메인 프레임(110)은 다양한 색상의 합성수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NCP(Nylon composite plastic, 나일론복합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복합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은 서브 프레임(130)이 결합되는 메인 결합부(112)와, 코받침(102) 및 안경다리(104)를 결합하기 위한 볼트 결합홀(114)를 갖는다. 메인 프레임(110)의 전방에는 볼트 결합홀(114)에 삽입된 볼트가 보이지 않도록 가려주는 가림편(118)이 삽입된다. 코받침(102)과 안경다리(104)는 메인 프레임(110)에 볼트 결합되나, 코받침(102)이 메인 프레임(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결합부(112)는 서브 프레임(130)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며, 서브 프레임(130)과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만들어진다. 즉, 메인 결합부(112)의 내주면을 따라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고, 서브 프레임(130)에는 전술한 홈 또는 돌기에 대응하는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됨으로써 대응되는 홈과 돌기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별도의 접착제나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부품이 없어도 메인 결합부(112)에 서브 프레임(130)이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접착제로 완전히 고정시키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외력을 가하면 메인 결합부(112)로부터 서브 프레임(130)이 분리될 수 있다. 돌기는 복수 개가 서로 소정 간격을 이루며 규칙적으로 돌출되는 형태일 수도 있고, 도 3에서와 같이 메인 결합부(112)의 내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볼트 결합홀(114)은 코받침(102)과 안경다리(104)가 결합될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의 수만큼 관통 형성된다. 메인 프레임(110)의 전방에는 요입홈(116)이 형성되고, 요입홈(116)에는 가림편(118)이 삽입된다. 볼트 결합홀(114)은 메인 프레임(1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까지 관통 형성되고, 요입홈(116)은 볼트 결합홀(114)이 형성된 주변부에 소정 깊이로 요입 형성된다. 메인 프레임(110)의 전방에 형성된 요입홈(116)에는 볼트 결합 후 외부에서 볼트가 보이지 않도록 가려주는 가림편(118)이 각각 삽입됨으로써 이중 안경테(100)의 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가림편(118)은 메인 프레임(110)과 동일한 색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포인트가 되는 다른 색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프레임(130)은 렌즈(150)의 형상 및 두께에 대응하는 링 형상으로 만들어지며, 금속 재질로 만들어진다. 서브 프레임(130)이 금속 재질이므로 메인 프레임(110)에 결합되었을 때 메인 프레임(11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서브 프레임(130)을 링 형상으로 성형할 때 렌즈(150)의 삽입 또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일측이 연결되지 않은 형태로 만들며, 연결되지 않은 부분에 볼트가 삽입되는 연결부(130a)를 만들어 렌즈(150) 결합 후 조여줌으로써 볼트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볼트가 삽입되는 연결부(130a)는 서브 프레임(130)이 메인 프레임(110)에 결합되었을 때 메인 프레임(110)의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 프레임(130)의 외주면에는 메인 프레임(110)의 메인 결합부(112)에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132)가 형성되고, 서브 프레임(130)의 내주면에는 렌즈(150)의 외주면이 삽입되는 렌즈 삽입부(134)가 요입 형성된다.
프레임 결합부(132)는 메인 결합부(11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메인 결합부(112)가 링 형상의 돌기 형태이면 프레임 결합부(132)는 이에 대응하는 링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고, 반대로 메인 결합부(112)가 링 형상으로 요입된 형태이면 프레임 결합부(132)는 이에 대응하는 링 형상의 돌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프레임 결합부(132)는 메인 결합부(112)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렌즈 삽입부(134)는 렌즈(150)의 외주면이 결합되어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하므로, 렌즈(150)의 두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렌즈 삽입부(134)는 렌즈(150)가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렌즈(150)의 가장자리를 전후방 양쪽에서 감싸는 형태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 삽입부(134)에 렌즈(150)를 삽입한 상태에서 서브 프레임(130)의 연결부(130a)에 볼트를 삽입하고 조여 렌즈(150)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킨 후, 서브 프레임(130)을 메인 프레임(110)의 메인 결합부(112)에 결합시키면 이중 안경테(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서브 프레임(130)의 결합 또는 분리는 사용자가 일 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해 서브 프레임(130)을 당기거나 눌러주면 서브 프레임(130)이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된다.
이로써 렌즈 교체가 용이하며, 렌즈 삽입 또는 교체 시 안경테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재질의 서브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합성수지 재질의 안경테의 강도가 향상되고 메인 프레임의 밸런스 유지에 도움이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이중 안경테 110: 메인 프레임
112: 메인 결합부 114: 볼트 결합홀
116: 요입홈 118: 가림편
130: 서브 프레임 132: 프레임 결합부
134: 렌즈 삽입부 150: 렌즈

Claims (8)

  1. 렌즈와,
    상기 렌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렌즈를 지지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서브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서브 프레임을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안경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NCP(Nylon composite plastic, 나일론복합플라스틱)를 포함하는 합성 수지 재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안경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금속 재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안경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일측에 볼트가 삽입되는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에 상기 볼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링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안경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서브 프레임이 결합되는 메인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은 외주면에 상기 메인 결합부에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결합부와 프레임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는 요입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결합부와 프레임 결합부 중 다른 하나는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안경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 및 돌기는 상기 메인 결합부와 프레임 결합부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안경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코받침 및 안경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코받침 및 안경다리를 각각 결합시키는 볼트 삽입을 위한 복수의 볼트 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는 상기 볼트 결합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면으로부터 요입 형성된 요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안경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홈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 결합홀을 커버하는 복수의 가림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안경테.
KR1020140054230A 2014-05-07 2014-05-07 이중 안경테 KR201501274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230A KR20150127435A (ko) 2014-05-07 2014-05-07 이중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230A KR20150127435A (ko) 2014-05-07 2014-05-07 이중 안경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435A true KR20150127435A (ko) 2015-11-17

Family

ID=54786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230A KR20150127435A (ko) 2014-05-07 2014-05-07 이중 안경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743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4472A1 (ko) * 2016-03-22 2017-09-28 주식회사 이노 개량된 렌즈 조립구조를 갖는 금속테 안경
AT520705A1 (de) * 2017-11-16 2019-06-15 Viewpointsystem Gmbh Brillenglashalter
WO2021063442A1 (de) * 2019-09-30 2021-04-08 Djamel Bessol Brille mit austauschbaren brillengläsern und brillense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4472A1 (ko) * 2016-03-22 2017-09-28 주식회사 이노 개량된 렌즈 조립구조를 갖는 금속테 안경
AT520705A1 (de) * 2017-11-16 2019-06-15 Viewpointsystem Gmbh Brillenglashalter
AT520705B1 (de) * 2017-11-16 2021-06-15 Viewpointsystem Gmbh Brillenglashalter
WO2021063442A1 (de) * 2019-09-30 2021-04-08 Djamel Bessol Brille mit austauschbaren brillengläsern und brillens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1213B2 (en) Interchangeable frames for eyeglasses
KR101799900B1 (ko) 조립식 안경
KR200463221Y1 (ko) 조립이 편리한 안경테 탈부착형 3d 안경
US20060050224A1 (en) Eyewear assembly with auxiliary frame and lens assembly
KR101584209B1 (ko) 렌즈교체형 안경
KR20150127435A (ko) 이중 안경테
US9927631B2 (en) Interchangeable frame for eyeglasses
US20190265516A1 (en) Eyeglasses structure
US20130160491A1 (en) Sunglass with Changeable Charms
US10345616B2 (en) Eyeglasses assembly structure
US10124548B2 (en) Method of making eyewear
KR20170123737A (ko) 탈착식 선글라스가 구비된 안경
KR20150003956U (ko) 렌즈 교환이 편리한 안경테
KR200483592Y1 (ko) 안경위에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
KR20150004511U (ko) 고글
US20140002786A1 (en) Decorative eyeglasses
US20190079311A1 (en) Eyeglasses assembly structure
KR101326550B1 (ko) 입체영상 관람용 안경
KR200467559Y1 (ko) 안경
KR101470527B1 (ko) 렌즈교환이 가능한 안경
US20160041410A1 (en) Interchangeable eyeglass frame designs
KR20170069371A (ko) 시력 보정용 고글
KR101517993B1 (ko) 안경 템플
KR20140124697A (ko)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
KR20170045590A (ko) 안경 다리용 장식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