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580Y1 - 착탈식 보조안경 체결구조를 갖는 안경 - Google Patents

착탈식 보조안경 체결구조를 갖는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580Y1
KR200497580Y1 KR2020230000880U KR20230000880U KR200497580Y1 KR 200497580 Y1 KR200497580 Y1 KR 200497580Y1 KR 2020230000880 U KR2020230000880 U KR 2020230000880U KR 20230000880 U KR20230000880 U KR 20230000880U KR 200497580 Y1 KR200497580 Y1 KR 2004975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piece
magnet
rim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08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창기
Original Assignee
국제옵티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옵티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국제옵티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300008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5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5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5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2Magnetic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석을 이용한 착탈식 보조안경 체결구조를 갖는 안경에 관한 고안으로서, 림과 안경다리를 연결하는 연결편에 림락구조와 힌지 및 자석을 모두 구성하며 보조안경에는 자석을 구비함과 동시에 연결편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시력교정용 기본안경과 선글라스인 보조안경의 체결 상태가 매우 견고하면서도 간결하고, 보조안경 체결구조의 내구성이 우수하도록 개선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착탈식 보조안경 체결구조를 갖는 안경{Glasses having detachable auxiliary glasses fastening structure}
본 고안은 자석을 이용한 착탈식 보조안경 체결구조를 갖는 안경에 관한 고안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력교정용 기본안경과 선글라스인 보조안경의 체결 상태가 매우 견고하면서도 간결하고, 보조안경 체결구조의 내구성이 우수하도록 개선한 착탈식 보조안경 체결구조를 갖는 안경에 관한 고안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용도에 따라 시력을 보정하는 시력교정용 안경, 자외선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거나 패션소품으로 사용되는 선글라스, 작업이나 운동시 눈을 보호하기 위한 고글 등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상기한 안경 중, 선글라스는 태양에서 발산되는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거나, 강한 햇빛으로부터 시력을 확보하거나, 패션소품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 시력 보정용 안경과는 별개로 사용되며, 주로 소정의 색상이 가미된 형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평소 시력교정용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사람은 필요시 곧바로 선글라스를 착용하면 되지만, 평소 시력교정용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은 기존에 착용하고 있던 안경을 벗고 자신의 시력에 맞는 도수가 있는 선글라스를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데,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시력교정용 안경의 전면에 선글라스 기능의 보조안경을 겹쳐 체결하는 이중안경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이중안경은 집게방식으로 체결방식, 자석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식, 걸림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식 등이 있는데, 그 중에서 체결과 분리가 간편하고 구조가 간단한 자석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자석을 이용한 결합방식의 경우 시력 교정용 안경이 합성수지 재질이라면 사출시에 자석을 인서트하는 방식으로 일체화하면 되므로 비교적 제작이 간편하고 단정한 외관을 얻을 수 있으나, 시력교정용 안경이 금속재인 경우에는 렌즈를 결합한 다음 고정을 위하여 조여주는 구성(림락)이 추가되고, 이와 더불어 금속에 자석을 일체화시키기 위한 구성이 추가되어야 하는 등 전체적으로 복잡한 구성과 번거로운 제조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자석을 이용한 방식의 예로는 아래 선행기술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은데, 선행기술문헌 1의 경우에는 힌지의 볼트가 결합되는 너트 역할을 하는 조임쇄를 별도로 구성하여 자석을 압입한 다음 이를 다시 힌지 역할을 하는 볼트와 결합하여 사용하므로 제조가 어렵고, 사용도중 자석이 분리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문헌 2의 경우에는 별도의 커넥터를 구성하되, 여기에 자석을 삽입하는 링을 만들어 자석을 삽입하고 안경테의 연결부와 다리를 삽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경우 의도하지 않게 커넥터와 안경테 및 다리가 분리되는 경우가 많고 커넥터를 제조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고 조립이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8-0001138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8-0001398
상기 종래 이중안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보조안경 결착을 위한 자석을 삽입하는 구성이 매우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고 외관도 단정한 형태의 체결구성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기본안경과 보조안경으로 각각 구성하여 필요시 서로 결합하여 사용토록 하는 이중안경에 있어서, 기본안경은 림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렌즈를 삽입한 후 조일 수 있도록 하고, 절개된 림의 상부에는 연결편을 용접하고 하부에는 조임편을 용접하여 구성된다.
연결편은 림에 용접되는 부분의 저면에 조임편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요홈을 구성하고, 조임편은 결합요홈의 내부에 꼭 맞게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한 후, 조임수단을 체결하며, 연결편의 라운드 형태로 각도가 전환되는 부분에 자석고정홈을 마련하여 자석을 삽입하였으며, 보조안경에는 연결편의 자석고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고정홈을 마련하여 자석을 삽입한 형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이러한 결합상태에 의하면 보조안경이 기본안경의 연결편을 거의 대부분 덮어주는 형태가 유지되므로 단정한 상태가 되는 것이며, 견고한 결합상태가 되어 흔들림이나 충격이 발생하여 분리되는 것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이중안경으로서 꼭 필요한 구성인 자석의 삽입과, 렌즈를 고정시키기 위한 림락구조, 그리고 힌지의 구성이 모두 연결편에 일체화되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단정한 외관을 가지면서 제조와 조립이 용이하며, 보조안경의 결합과 분리가 간편한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연결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연결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기본안경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본안경과 보조안경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본안경과 보조안경의 결합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착탈식 보조안경 체결구조를 갖는 안경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는바,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을 본 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기재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작용과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본 고안의 이중안경은 시력 교정용 기본안경(10)과 선글라스 등의 기능을 갖는 보조안경(20)으로 각각 구성하여 필요시 서로 결합하여 사용토록 하는 것이다.
기본안경(10)은 금속 재질로 구성되면서 림(11)의 다리가 연결되는 부분을 절개하여 렌즈를 삽입한 후 조일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절개된 림(11)의 상부에는 연결편(30)을 용접하고 하부에는 조임편(12)을 용접하여 볼트, 나사 등의 조임수단(13)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연결편(30)은 림(11)에 용접되는 부분의 저면에 조임편(12)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요홈(31)을 구성하였고, 조임편(12)은 결합요홈(31)의 내부에 꼭 맞게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하여 연결편(30)과 조임편(12)의 결합 상태가 상부와 측면에서 드러나지 않도록 단정하게 결합된다. 조임편(12)과 결합요홈(31)의 내부에는 조립구멍(13')을 형성하여 조임수단(13)을 체결하면 분리가 방지되고 필요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연결편(30)은 조임편(12)이 결합된 이후 다리가 연결되는 방향으로 라운드 형태로 각도가 전환되어 반대편 끝단에 힌지부(32)가 구성되는데, 그 중간 부분에 자석고정홈(33)을 마련하여 자석(M)을 삽입하였으며, 각도가 전환되어 힌지부(32)가 구성되기 전부분에는 폭이 줄어들어 자석(M)을 삽입할 공간이 줄어드므로 자석(M)을 삽입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내측에 라운드형으로 돌출된 곡선돌출부(34)를 마련하였다.
상기 기본안경(10)에 결합되는 보조안경(20)에는 연결편(30)의 힌지부(32)를 제외한 외면과 상면을 감싸는 형태로 된 측면커버부(21) 및 상면커버부(22)를 형성하였고, 상면커버부(22)에는 연결편(30)의 자석고정홈(33)과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고정홈(23)을 마련하여 자석(M)을 삽입한 형태이다.
또한, 상기 측면커버부(21) 및 상면커버부(22)와 일체로 이어지는 형태로 림커버부(24)를 연장하여 기본안경(10)의 림(11) 상면 일부분을 덮어주는 형태로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기본안경(10)의 중앙에 형성되는 브릿지(14)는 외부 측으로 돌출되게 구성한 다음 보조안경(20)의 브릿지부(25)가 브릿지(14) 전체를 덮도록 형성하고, 브릿지부(25) 중앙에 상기 브릿지(14)의 내측에 걸릴 수 있는 브릿지 걸림편(26)을 형성하여 보조안경(20)을 기본안경(10)에 결합시 충격이나 흔들림 발생시에도 안정적인 결합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사용방법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본안경(10)에 보조안경(20)을 결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기본안경(10)의 앞에 보조안경(20)을 밀착시키면서 보조안경(20)의 상면커버부(22)를 연결편(30)을 덮는 상태로 밀착시키면 양측의 자석(M)이 자력으로 밀착되면서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보조안경(20)의 측면커버부(21)는 연결편(30)의 측면부를 감싸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보조안경(20)의 림커버부(24)는 기본안경(10)의 림(11) 위를 덮어주는 형태가 되며, 또한, 보조안경(20)의 브릿지 걸림편(26)이 기본안경(10)의 브릿지(14)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는 형태로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상태에 의하면 보조안경(20)의 측면커버부(21) 및 상면커버부(22)가 기본안경(10)의 연결편(30)을 거의 대부분 덮어주고 림커버부(24)가 림(11)을 덮어주는 형태가 유지되므로 단정한 상태가 되는 것이며, 견고한 결합상태가 되어 흔들림이나 충격이 발생하여 분리되는 것도 확실하게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이중안경으로서 꼭 필요한 구성인 자석(M)의 삽입과, 렌즈를 고정시키기 위한 림락구조, 그리고 힌지의 구성이 모두 연결편(30)에 일체화되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단정한 외관을 가지면서 제조와 조립이 용이한 장점도 있는 것이다.
보조안경(20)을 분리할 때는 자석(M)이 분리되도록 위로 살짝 들어주면서 브릿지 걸림편(26)이 브릿지(14)로부터 분리되도록 젖혀주면 신속하게 분리가 완료된다.
10: 기본안경
11: 림
12: 조임편
13: 조임수단
14: 브릿지
20: 보조안경
21: 측면커버부
22: 상면커버부
23: 자석고정홈
24: 림커버부
25: 브릿지부
26: 브릿지 걸림편
30: 연결편
31: 결합요홈
32: 힌지부
33: 자석고정홈
34: 곡선돌출부

Claims (1)

  1. 시력 교정용 기본안경(10)과 보조안경(20)으로 각각 구성하여 필요시 서로 결합하여 사용토록 하는 이중안경에 있어서,
    기본안경(10)은 금속 재질로 구성되면서 림(11)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렌즈를 삽입한 후 조일 수 있도록 하고,
    절개된 림(11)의 상부에는 연결편(30)을 용접하고 하부에는 조임편(12)을 용접하되, 연결편(30)에는 결합요홈(31)을 구성하고 조임편(12)은 결합요홈(31)에 꼭 맞게 결합되도록 하여 보조안경을 결합하지 않았을 때 기본안경의 연결편(30)과 조임편(12)의 결합상태가 상부와 측면에서는 드러나지 않게 단정하게 결합되도록 하며,
    조임편(12)과, 연결편(30)에 형성된 결합요홈(31)의 내부에는 조립구멍(13')을 형성하여 조임수단(13)을 체결하며,
    연결편(30)은 조임편(12)이 결합된 이후 다리가 연결되는 방향으로 라운드 형태로 각도가 전환되는 부분에 자석고정홈(33)을 마련하여 자석(M)을 삽입하였으며, 자석을 삽입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내측에 라운드형으로 돌출된 곡선돌출부(34)를 구성하며,
    상기 기본안경(10)에 결합되는 보조안경(20)에는 연결편(30)의 힌지부(32)를 제외한 외면과 상면을 감싸는 형태로 된 측면커버부(21)와 상면커버부(22)를 구성하고 측면커버부 및 상면커버부와 일체로 이어지는 형태로 림커버부(24)를 형성하여 측면커버부 및 상면커버부가 연결편의 대부분을 덮어주고 림커버부가 기본안경(10)의 림(11) 상면 일부분을 덮어주는 형태로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조안경을 기본안경에 결합시 견고하고 단정한 결합상태가 되도록 하며,
    상면커버부(22)에는 연결편(30)의 자석고정홈(33)과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고정홈(23)을 마련하여 자석(M)을 삽입하며,
    기본안경(10)의 중앙에 형성되는 브릿지(14)는 외부 측으로 돌출되게 구성한 다음 보조안경(20)의 브릿지부(25)는 브릿지(14) 전체를 덮도록 형성하고, 브릿지부(25) 중앙에 상기 브릿지(14)의 내측에 걸릴 수 있는 브릿지 걸림편(26)을 형성하여 보조안경(20)을 기본안경(10)에 결합시 충격이나 흔들림 발생시에도 안정적인 결합이 유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보조안경 체결구조를 갖는 안경.
KR2020230000880U 2023-05-03 2023-05-03 착탈식 보조안경 체결구조를 갖는 안경 KR2004975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880U KR200497580Y1 (ko) 2023-05-03 2023-05-03 착탈식 보조안경 체결구조를 갖는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880U KR200497580Y1 (ko) 2023-05-03 2023-05-03 착탈식 보조안경 체결구조를 갖는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580Y1 true KR200497580Y1 (ko) 2023-12-27

Family

ID=89309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880U KR200497580Y1 (ko) 2023-05-03 2023-05-03 착탈식 보조안경 체결구조를 갖는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58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500A (ko) * 1997-04-18 1998-11-25 이라러너 안경용 단일 블록
KR19990033664U (ko) * 1999-05-11 1999-08-16 김광일 안경용보조안경테착탈장치
KR20180001138U (ko) 2016-10-14 2018-04-24 웬-체 후앙 보조안경에 사용하는 자기적으로 마운트되는 조립체
KR20180001398U (ko) 2016-11-02 2018-05-10 웬-체 후앙 한 쌍의 보조 안경을 고착하기 위한 자기적으로 장착된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500A (ko) * 1997-04-18 1998-11-25 이라러너 안경용 단일 블록
KR19990033664U (ko) * 1999-05-11 1999-08-16 김광일 안경용보조안경테착탈장치
KR20180001138U (ko) 2016-10-14 2018-04-24 웬-체 후앙 보조안경에 사용하는 자기적으로 마운트되는 조립체
KR20180001398U (ko) 2016-11-02 2018-05-10 웬-체 후앙 한 쌍의 보조 안경을 고착하기 위한 자기적으로 장착된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5959B2 (en) Protective goggles
US7712895B2 (en) Eyeglasses structure
US7396124B1 (en) Positioning structure for auxiliary eyeglasses
EP0193325B1 (en) Optical accessory for use with spectacle frame
US6474812B1 (en) Structure for assembling auxiliary spectacles with main spectacles by means of magnetic clips
KR100931791B1 (ko) 안경용 힌지구조
KR200448466Y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200497580Y1 (ko) 착탈식 보조안경 체결구조를 갖는 안경
US7144108B2 (en) Spectacles and sunshade clip assembly using magnets
US20190265516A1 (en) Eyeglasses structure
KR200338002Y1 (ko) 안경위에 또 하나의 안경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안경
KR101946990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탈부착 보조안경테가 구비된 안경
US20050001976A1 (en) Eyeglass device
KR20230126954A (ko) 렌즈 교체가 용이한 자석 안경
US7175272B2 (en) Spectacles and sunshade clip assembly using magnets
KR200474792Y1 (ko) 자석을 이용한 착탈식 보조안경 체결구조
KR101511063B1 (ko)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US20090064398A1 (en) Swimming Goggles with a Frameless Unitary Len
KR200491339Y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안경테와 힌지의 결합구조체
KR102056754B1 (ko) 조립식 안경
KR101941402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698409B1 (ko) 다기능 복합 안경
KR10228931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KR200455196Y1 (ko) 스포츠 글라스용 보조안경의 탈착구조
KR200195163Y1 (ko) 도수(度數)렌즈의 착탈이 가능한 물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