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488Y1 - 고무댐의 공기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고무댐의 공기 배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24488Y1 KR200224488Y1 KR2020000032824U KR20000032824U KR200224488Y1 KR 200224488 Y1 KR200224488 Y1 KR 200224488Y1 KR 2020000032824 U KR2020000032824 U KR 2020000032824U KR 20000032824 U KR20000032824 U KR 20000032824U KR 200224488 Y1 KR200224488 Y1 KR 20022448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body
- rubber plate
- pipe
- rubber
- concret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무댐 본체를 균일하게 기립 및 도복하기 위한 고무댐의 공기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은 제1, 제2 클램핑 플레이트가 위치하는 사이의 하상 콘크리트에 고무판체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일정 깊이로 파여져 형성되는 배관수용부; 배관수용부의 상부를 거쳐서 하상 콘크리트의 바닥면에 놓여지며 양 단부가 제1, 제2 클램핑 플레이트 및 제1, 제2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하부 고무판체; 하부 고무판체에 감쌓여져 배관수용부에 압입·설치되며 양 단부가 제방의 경사부를 통해 하상 콘크리트 바닥면에 매설된 공기입,배출관에 연통되어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공기입,배출홀을 갖는 배관; 양 단부가 하부 고무판체의 양 단부에 겹쳐져 제1, 제2 클램핑 플레이트 및 제1, 제2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며 배관으로부터의 공기 유입 및 배출에 따라 기립 및 도복하는 상부 고무판체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고무댐 본체에 대하여 공기를 균일하게 주입 및 배출시켜 줌으로써 고무댐 본체가 균일하게 기립 및 도복되고, 또한 고무판체를 하부 고무판체와 상부 고무판체로 분리·시공함으로써, 공사기간이 단축되는 등의 시공의 편리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소수력 발전용 상단보, 농업 및 공업용 취수보, 상수도용 취수보 등에 사용되는 여러가지의 댐(DAM) 중에서 특히 목적하는 수위에 따른 공기의 주입조절로 높이가 변화되는 고무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팽창·기립되어 있는 고무댐 본체를 도복시킬 때 그 고무댐 본체 내의 공기를 신속하고 균일하게 배출시켜, 물의 압력에 의해 고무댐 본체가 불균일하게 도복되는 상태를 미연에 방지하고 또한 도복 때와 동일한 상태로 기립이 되도록 하는 고무댐의 공기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저수지 또는 농업/공업용 취수보, 상수도용 취수보, 위락용 담수보 등의 뚝으로서 절첩식 및 유체 팽창식 등의 많은 고무댐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산간지역이나 지형조건이 좋지 않은 곳에서도 효과적인 저수량의 확보와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또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고무댐의 높이를 공기압력으로 조절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제방용 뚝으로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고무댐들의 대부분은 그 고무보 본체의 팽창·기립을 위하여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도록 되어 있고, 또 하상 콘크리트와 제방에 고무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와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배관설비 및 송풍기, 수위조절을 위한 프로트 밸브를 갖는 것들로서, 특히 팽창 ·기립과 도복을 위한 종래의 기복식 고무댐의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와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무댐의 기립과 도복을 위해 하천 제방의 경사부에 설치한 공기 입, 배출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고무댐이 하상 콘크리트에 고정되며 공기입,배출관에서 유입된 공기에 의해 고무댐 본체가 팽창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댐 본체(1)의 기립과 도복을 위해 댐 경사부를 통해 하상 콘크리트(23)의 바닥에 매설되는 공기입,배출관(12)은 제방에 설치되는 공기입,배출장치(14)에 연결된다.
그리고 하상 콘크리트(23)에 폭방향으로 매설된 공기 입,배출관(1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대략 3개의 공기 입,배출구(13)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고무댐 본체(1)의 고무판체(11) 내로 연통되어 있다.
또한, 고무판체(11)를 사이에 두고 3개의 공기 입,배출구(13)에 두 개의 고무판 브라킷트(21)(22)를 각각 억지끼운 후 고무판체(11)에 접착제로 접착시켜 줌으로써, 고무판체(9) 내의 공기의 기밀이 유지된다.
고무댐 본체(1)의 가요성 고무판체(11)는 탄성고무로 제조되고 내부에 보강용 나이론 코드를 넣어서 충분한 인장을 갖도록 일반적인 고무판체로 제작되어 진다.
이와 같은 고무판체(11)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기초가 균일하고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상 콘크리트(23)에 폭방향으로 매설되는 제1, 제2 하상 구조체(19)(20)를 상호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또 각각의 다수 개의 제1, 제2 앵커볼트(17)(18)들을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매설하여 둔다.
제1, 제2 하상 구조체(17)(18)에 고무판체(11)를 밀착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제1, 제2 클램핑 플레이트(15)(16)를 사용한다.
고무판체(11)를 고정하는 방법은 고무판체(11)를 공장에서 공급된 상태 그대로 하상 큰크리트(23)의 바닥에 펼쳐 놓은 다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판체(11)의 일단부로부터 대략 1/5 정도되는 지점에 제2 클램핑 플레이트(16)를 폭방향으로 덮어놓고 제2 앵커볼트(18)에 너트(18a)를 조여 주는 것으로 고정이 된다. 특히 제2 하상 구조체(2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돌출부(24)를 성형하였기 때문에 고무판체(11)가 제2 클램핑 플레이트(16)에 밀착되는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후 고무판체(11)의 양단부를 겹쳐서 제1 하상구조체(19) 위에 올려 놓은 다음 제1 클램핑 플레이트(15)를 덮어놓고 제1 앵커볼트(17)에 너트(17a)를 조여주는 것으로 고정이 쉽게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무판체(11)가 하상 콘크리트(23)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입,배출장치(14)를 이용, 공기입,배출관(12) 및 이에 연통된 공기입.배출구(13)를 통해 고무판체(11)에 대하여 공기를 유입 또는 배출하면 고무댐 본체(1)가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높이가 변화되어 저수량을 확보하거나 또는 담수된 물을 배출하여 주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무댐은 공기입,배출관이 고무판체 외부의 하상 콘크리트 바닥면에 매설되고 또한 공기입,배출관에 대략 3개의 공기입,배출구가 수직상향으로 형성되어 고무판체 내부로 연통되어 있는 관계로 인해 공기의 주입이 원할하지 못할 뿐 아니라 공기를 배출하여 고무댐 본체를 도복하고자 할 시에 고무판체가 일정하게 도복되지 않고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의 압력에 의해서 불균일하게 도복되며, 이것에 의해 담수된 물이 고무댐 본체의 상부면을 거쳐 하류쪽으로 일정하게 넘쳐 흐르지 못하고 상기 도복되는 부분에 집중되어 넘쳐 흐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입,배출관 및 공기입,배출구를 고무댐 본체 외부의 하상 콘크리트에 매설하여야 하고 또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단일의 고무판체를 미리 시공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공기입,배출구에 맞추어 결합해 주어야 함으로 인하여 고무댐 설치작업의 어려움과 공사기간 연장 및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고무댐 본체 내에 공기를 균일하게 주입 및 그 반대로 배출시켜 고무댐 본체의 원할한 기립과 도복을 도모하도록 하는 고무댐의 공기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공기 배출장치는 하상 콘크리트의 바닥면에 폭방향으로 배관수용부를 형성한 다음 고무판체를 상기 배관수용부를 거쳐 하상 콘크리트 바닥면 올려 놓은 후 일정한 길이를 갖으며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공기입,배출홀이 형성된 통형상의 배관을 상기 배관수용부 위의 고무판체 내에 폭방향으로 압입·설치하여 공기를 균일하게 주입 및 배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무댐의 설치 시 고무판체를 분리 시공하여 공사기간의 단축과 시공의 편리성을 모도하도록 하는 고무댐의 공기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공기 배출장치는 하나의 고무판체를 상부 고무판체와 하상 콘크리트에 놓여져 고정되는 하부 고무판체로 분리하여 시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무댐의 기립과 도복을 위해 하천 제방의 경사부에 설치한 공기 입, 배출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고무댐이 하상콘크리트에 고정되며 공기입,배출관에서 유입된 공기에 의해 고무댐 본체가 팽창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고무댐이 팽창된 상태에서 공기를 배출하였을 때, 물의 압력에 의해 고무댐이 불균일하게 도복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 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고무댐의 공기 배출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5는 상기 고무댐의 기립과 도복을 위해 하천 제방의 경사부 및 하상 콘크리트에 각각 설치한 공기 배출장치를 나타내어 보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고무댐의 공기 배출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고무댐 본체가 공기 배출장치에서 유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기립된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무댐 본체 11 : 고무판체
12 : 공기입,배출관 14 : 공기입,배출장치
15 : 제1 클램핑 플레이트 16 : 제2 클램핑 플레이트
30 : 배관수용부 40 : 배관
50 : 상부 고무판체 60 : 하부 고무판체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고무댐의 공기 배출장치는, 고무판체의 내측에 제2 클램핑 플레이트를 폭방향으로 덮은 후 제2 앵커볼트를 조여 고정하고 이후 고무판체의 양단부를 겹쳐서 하상 콘크리트에 매설된 구조체 위에 올려 놓고 그 위에 폭방향으로 제1 클램핑 플레이트를 덮은 다음 제1 앵커볼트를 조여 고정한 고무댐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클램핑 플레이트가 위치하는 사이의 하상 콘크리트에 상기 고무판체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일정 깊이로 파여져 형성되는 배관수용부; 상기 배관수용부의 상부를 거쳐서 상기 하상 콘크리트의 바닥면에 놓여지며 양 단부가 상기 제1, 제2 클램핑 플레이트 및 제1, 제2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하부 고무판체; 상기 하부 고무판체에 감쌓여져 상기 배관수용부에 압입·설치되며 양 단부가 제방의 경사부를 통해 하상 콘크리트 바닥면에 매설된 공기입,배출관에 연통되어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공기입,배출홀을 갖는 배관; 및 양 단부가 상기 하부 고무판체의 양 단부에 겹쳐져 상기 제1, 제2 클램핑 플레이트 및 제1, 제2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배관으로부터의 공기 유입 및 배출에 따라 기립 및 도복하는 상부 고무판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배관수용부는 상기 배관이 압입·설치될 때 상기 배관의 표면이 상기 하상 콘크리트의 바닥면과 거의 일치되도록 사각형상으로 파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클램핑 플레이트가 위치하는 하상 콘크리트 바닥면을 평탄하게 깍아서 상기 제2 클램핑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이 상기 하상 콘크리트 바닥면과 거의 일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하면, 고무댐 본체를 기립 또는 도복할 시에 하상 콘크리트의 배관수용부에 압입되고 고무판체의 내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배관이 하부 고무판체와 상부 고무판체로 이루어진 고무댐 본체에 대하여 신속·균일하게 공기를 유입 또는 배출하여 주게 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고무판체에 대하여 공기를 신속·균일하게 주입 및 그 반대로 배출시켜 줌으로써 고무댐 본체가 원할하게 기립 및 도복되고, 또한 고무댐의 설치 시에 고무댐 본체를 하부 고무판체와 상부 고무판체로 분리·시공함으로써,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시공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고무댐의 공기 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각 도면에 있어서, 같은 구성성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표시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댐의 기립과 도복을 위해 하천 제방의 경사부 및 하상 콘크리트에 각각 설치한 공기 배출장치를 나타내어 보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고무댐의 공기 배출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고무댐의 공기 배출장치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댐 본체(10)의 기립과 도복을 위해 댐 경사부를 통해 하상 콘크리트(23)의 바닥에 매설되는 공기입,배출관(12)은 제방에 설치되는 공기입,배출장치(14)에 연결되며 특히 본 고안에 있어서, 고무댐 본체(1)의 고무판체(11)는 종래의 단일 고무판체와는 달리,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립과 도복을 위한 상부 고무판체(50)와 하상 콘크리트(23)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 고무판체(60)로 분리되어 시공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 두 고무판체(50),(60)는 탄성고무로 제조되고 내부에 보강용 나이론 코드를 넣어서 충분한 인장을 갖도록 일반적인 고무판체로 제작되어 진다.
상부 고무판체(50)와 하부 고무판체(60)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기초가 균일하고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상 콘크리트(23)에 폭방향으로 매설되는 제1, 제2 하상 구조체(19)(20)를 상호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또 각각의 다수 개의 제1, 제2 앵커볼트(17)(18)들을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매설하여 둔다. 여기서 제2 하상 구조체(20)가 위치하는 하상 콘크리트(23)의 바닥면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경사지게 시공되며 또한 그 경사부분의 끝에서 제1 하상 구조체(19)가 위치한 부분보다 낮고 평탄되게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후에 설명될 제2 클램핑 플레이트(16)가 제2 하상 구조체(20)에 덮어져 고정이 되었을 때, 그의 상부 표면이 다른 부분의 하상 콘크리트(23)의 바닥면과 거의 수평이되도록 하여 고무댐 본체(10)가 도복되어 접혀졌을 때 제2 클램핑 플레이트(16)의 부분에서 상부 고무판체(50)가 볼록하게 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다. 만약 제2 클램핑 플레이트(16)에 의해 고무댐 본체(10)가 볼록하게 되었을 경우, 이때에는 물과 함께 하류는 넘쳐 흐르는 이물질들이 고무댐 본체(10)의 볼록한 부분에 부딪혀 그 부분에서 마모가 발생되어 파손될 염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제2 클램핑 플레이트(16)가 위치하는 부분의 하상 콘크리트(23)의 바닥면을 제1 클램핑 플레이트(15)가 위치하는 부분보다 낮게 하는 이유 중의 하나이다.
계속해서, 전술한 제1, 제2 하상 구조체(19)(20)에 상부 고무판체(50)와 하부 고무판체(60)의 양 단부를 겹쳐서 밀착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제1, 제2 클램핑 플레이트(15)(16)를 사용한다.
그리고 제1, 제2 클램핑 플레이트(15)(16)가 위치하는 사이, 즉 다시 말해 제1 하상 구조체(19)와 제2 하상 구조체(20) 사이에 상, 하부 고무판체(50)(60)의 폭과 동일하며 제1, 제2 클램핑 플레이트(15)(16)와 평행하도록 하상 콘크리트(23)의 바닥면에 일정한 깊이를 갖도록 사각형상의 배관수용부(30)를 형성한다. 이 배관수용부(30)는 이후에 설명될 원통형상을 갖는 배관(40)의 직경에 따라 그 깊이와 폭이 달리 형성된다.
전술한 배관(40)은 상, 하부 고무판체(50)(60)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는 원할한 공기의 주입과 배출을 위한 다수의 공기입,배출홀(40a)이 형성된다.
배관(40)의 양단부는 도6과 같이, 제방의 경사부를 통해 하상 콘크리트(23)의 바닥면에 매설된 공기입,배출관(12)에 연통되어 상,하부 고무판체(50)(60)에 대하여 공기를 신속하고 원할하게 주입 및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 하부 고무판체(50)(60)와 배관(40)을 설치·고정하는 방법은, 먼저 하상 고무판체(60)를 하상 큰크리트(23)에 매설된 제1, 제2 하상 구조체(19)(20) 위에 펼쳐서 올려 놓은 후 공기입,배출홀(40a)이 상부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배관(40)을 하부 고무판체(60) 위에 올려서 압입하게 되면 배관(40)이 하부 고무판체(60)와 함께 배관수용부(30)에 억지끼워져 고정이 된다.
상기와 같이 배관(40)이 배관수용부(30)에 억지끼워져 고정되고, 또 하부 고무판체(60)의 양 단부가 각각 제1, 제2 하상 구조체(19)(20)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부 고무판체(50)의 양 단부를 하부 고무판체(60)의 양 단부 위에 올려 놓고 그 위에 제1, 제2 클램핑 플레이트(15)(16)를 폭방향으로 하여 덮은 다음 하상 콘크리트(23)에 매설된 제1, 제2 앵커볼트(17)(18)에 너트(17a)(18a)를 조여 주는 것에 의해 고정이 쉽게 완료된다.
이와 같이 상, 하부 고무판체(50)(60)가 하상 콘크리트(23)에 고정된 상태에서 공기입,배출장치(14)를 통해 공기압을 발생시키면 그 공기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입,배출관(12) 및 이에 연통되고 특히 상,하부 고무판체(60) 내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40)의 다수의 공기입,배출홀(40a)을 통해서 상,하부 고무판체(50)(60)의 폭방향으로 고르게 주입됨으로써, 고무댐 본체(10)가 원할하게 기립이 되고, 그 반대로 공기입,배출장치(14)를 통해 공기를 배출할 경우 상,하부 고무판체(50)(60) 내의 공기가 배관(40)의 공기입,배출홀(40a)을 통해 고르게 배출됨으로써, 고무댐 본체(10)가 원할하게 도복된다.
또한, 고무판체를 상,하부 고무판체(50)(60)로 분리 시공하여 줌으로써 시공이 편리할 뿐 아니라 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없는 하부 고무판체(60)를 전술한 상부 고무판체(50)의 재질보다 떨어지는 재질로 설치하여도 무방함으로써, 고무판체에 소요되는 비용을 어느 정도 절감할 수가 있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공기입,배출관 및 공기입,배출구를 고무댐 본체 외부의 하상 콘크리트에 매설한 후 고무판체를 상기 공기입,배출구에 맞추어 결합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과 고무댐 본체가 불균일하게 도복 및 기립되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단일의 고무판체를 상부 고무판체와 하부 고무판체로 분리 시공하고, 또한 하부 고무판체 내에 배관을 설치하여 고무댐 본체에 균일하게 공기를 유입 또는 배출하여 주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고무댐 본체에 대하여 공기를 균일하게 주입 및 배출시켜 줌으로써 고무댐 본체가 균일하게 기립 및 도복되고, 또한 고무판체를 분리·시공함으로써, 공사기간이 단축되는 등의 시공의 편리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고안의 고무댐의 공기 배출장치에 의하면, 고무댐 본체 내에 설치된 배관이 공기를 균일하게 주입 및 배출시켜 줌으로써, 고무댐 본체가 균일하게 기립 및 도복되고, 또한 고무판체를 분리 시공하여 줌으로써, 공사기간이 대폭 단축됨과 아울러 시공 또한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 고무판체 내에 제2 클램핑 플레이트를 폭방향으로 덮은 후 제2 앵커볼트를 조여 고정하고 이후 고무판체의 양단부를 겹쳐서 하상 콘크리트에 매설된 구조체 위에 올려 놓고 그 위에 폭방향으로 제1 클램핑 플레이트를 덮은 다음 제1 앵커볼트를 조여 고정한 고무댐에 있어서:(1) 상기 제1, 제2 클램핑 플레이트가 위치하는 사이의 하상 콘크리트에 상기 고무판체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일정 깊이로 파여져 형성되는 배관수용부;(2) 상기 배관수용부의 상부를 거쳐서 상기 하상 콘크리트의 바닥면에 놓여지며 양 단부가 상기 제1, 제2 클램핑 플레이트 및 제1, 제2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하부 고무판체;(3) 상기 하부 고무판체에 감쌓여져 상기 배관수용부에 압입·설치되며 양 단부가 제방의 경사부를 통해 하상 콘크리트 바닥면에 매설된 공기입,배출관에 연통되어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공기입,배출홀을 갖는 배관; 및(4) 양 단부가 상기 하부 고무판체의 양 단부에 겹쳐져 상기 제1, 제2 클램핑 플레이트 및 제1, 제2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배관으로부터의 공기 유입 및 배출에 따라 기립 및 도복하는 상부 고무판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공기 배출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배관수용부가 상기 배관이 압입·설치될 때 상기 배관의 표면이 상기 하상 콘크리트의 바닥면과 거의 일치되도록 사각형상으로 파여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공기 배출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2 클램핑 플레이트가 위치·고정되는 부분의 하상 콘크리트 바닥면을 평탄하게 깍아서 상기 제2 클램핑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이 상기 하상 콘크리트 바닥면과 거의 일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공기 배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2824U KR200224488Y1 (ko) | 2000-11-23 | 2000-11-23 | 고무댐의 공기 배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2824U KR200224488Y1 (ko) | 2000-11-23 | 2000-11-23 | 고무댐의 공기 배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24488Y1 true KR200224488Y1 (ko) | 2001-05-15 |
Family
ID=73061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32824U KR200224488Y1 (ko) | 2000-11-23 | 2000-11-23 | 고무댐의 공기 배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24488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5762B1 (ko) * | 2014-12-31 | 2015-07-09 | 주식회사 유일기연 | 고무보 |
KR101543269B1 (ko) * | 2014-12-31 | 2015-08-12 | 주식회사 유일기연 |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 |
-
2000
- 2000-11-23 KR KR2020000032824U patent/KR20022448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5762B1 (ko) * | 2014-12-31 | 2015-07-09 | 주식회사 유일기연 | 고무보 |
KR101543269B1 (ko) * | 2014-12-31 | 2015-08-12 | 주식회사 유일기연 |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92060A (en) | Water-bag dam or dike and method | |
US6641329B1 (en) | Liquid containment/diversion dike | |
US5645373A (en) | Flood control barrier system and method | |
US6312192B1 (en) | Flood control barrier | |
TW319739B (ko) | ||
KR100799359B1 (ko) |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 | |
US20100310315A1 (en) | Inflatable flood barrier | |
KR200224488Y1 (ko) | 고무댐의 공기 배출장치 | |
US20150110558A1 (en) | Water Containment Apparatus and Method, and Associated Fastener | |
KR101158320B1 (ko) | 접이식 가동보 | |
RU2441113C2 (ru) | Подпорно-регулирующее сооружение на грунтонаполняемом флютбете и способ его возведения | |
EP1143073A2 (en) | Method and device for regula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flexible membrane dam | |
JPH11200348A (ja) | 可撓性膜堰 | |
EP0928847B1 (en) | Rubber dam | |
KR200316343Y1 (ko) | 수위조절이 용이한 공압식 가동보 | |
KR200310544Y1 (ko) | 고무댐의 공기누출 방지장치 | |
KR200367430Y1 (ko) | 단계적 수위조절이 용이한 고무댐 | |
KR20110052980A (ko) | 수로 이음부 누수방지장치 | |
WO1999049143A1 (en) | Flood control barrier | |
KR200195534Y1 (ko) |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 | |
KR200240362Y1 (ko) | 고무댐의 공기 이송장치 | |
KR200333084Y1 (ko) | 공압식 가동보의 스틸패널 체결장치 | |
KR200364496Y1 (ko) | 높이 확장이 가능한 고무댐 | |
JP4173264B2 (ja) | 支保工の支持具 | |
US20040071510A1 (en) | Flood control barri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