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407Y1 - 건포압출장치 - Google Patents

건포압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407Y1
KR200224407Y1 KR2020000035751U KR20000035751U KR200224407Y1 KR 200224407 Y1 KR200224407 Y1 KR 200224407Y1 KR 2020000035751 U KR2020000035751 U KR 2020000035751U KR 20000035751 U KR20000035751 U KR 20000035751U KR 200224407 Y1 KR200224407 Y1 KR 200224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sins
appearance
rollers
squid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7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호
Original Assignee
박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호 filed Critical 박준호
Priority to KR20200000357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4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407Y1/ko

Links

Landscapes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운 것이나 마른 건포(오징어나 쥐포 등)의 외관 자체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조직이 유연하면서도 씹히는 맛이 있는 육질을 제공할 수 있는 건포압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장치는 본체(1)의 전면 상부에 하부 가열판(3)과 그 상부 후측에 휠(4)에 축설된 상부가열판(2)을 면접 설치하고 내측으로 전기 히터를 설치되어 있으며, 후측에는 컷터(5)(5')가 연결된 롤러(6)(6')를 기어(7)(7')의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컷터(5)(5') 사이에 스크래퍼(8)(8')를 진입시키고 상측롤러(6)는 그 축봉에 나사부(9)를 형성하여 넛트손잡이(10)의 회전에 의해 좌우 이동되며, 본체(1)의 내측에 모터(11)(11')를 장착하여 일측 모터(11)는 소기어(12)를 거쳐 전기한 휠(4)의 치차(4')에 치합되고 타측모터(11')는 하부롤러(6')의 회전축(13)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장치는 한쌍의 롤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틈사이로 건포가 진입되어 절단 또는 엠보싱이 되나 롤러의 외주면이 너무 미끄러워 건포가 정확하게 진입할 수가 없어 통상의 구운 오징어나 쥐포에 비하여 외관 자체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지 못할뿐더러 외관이 지저분하고 소비자가 원하는 정도의 유연하면서도 씹히는 맛이 있는 육질을 얻을 수가 없었으며 보전성도 크게 떨어져 상품으로는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마른 오징어나 쥐포를 구울 수 있게 가열판이 설치되어 있어 편한 반면 제조원가가 아주 비싸며, 두 대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기에 구조가 아주 복잡한 문제점이 따랐다.
이에 본 고안은 건포압출장치의 주요 구성인 한쌍의 압축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요철부를 형성하여 구운 것이나 마른 건포(오징어, 쥐포 등)를 정확하게 압축과 인출작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한 대의 모터로 한쌍의 압축롤러를 구동되게 설치함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 제조원가가 종래의 장치보다 현저하게 낮을 뿐만 아니라, 구운 것이나 마른 건포(오징어, 쥐포 등)의 외관 자체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조직이 유연하면서도 씹히는 맛이 있는 육질을 제공하여 누구나 어디서나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건포압출장치 { Extruding machine of dried meat }
본 고안은 구운 것이나 마른 건포(오징어나 쥐포 등)의 외관 자체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조직이 유연하면서도 씹히는 맛이 있는 육질을 제공할 수 있는 건포압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소위 건포(오징어나 쥐포 등)는 오징어나 쥐포의 특유의 질긴 육질을 가진 것이 특색이며, 오로지 술안주로만 유통되고 있는 실정으로 이에 당업자들은 종래부터 오직 술안주로만 유통되고 있는 것을 누구나 어디서나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살이 연한 구운 오징어나 쥐포를 제공하기 위하여 여러 장치가 고안되고 있다.
이에 도 4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구조를 살펴보면, 본체(1)의 전면 상부에 하부 가열판(3)과 그 상부 후측에 휠(4)에 축설된 상부가열판(2)을 면접 설치하고 내측으로 전기 히터를 설치되어 있으며, 후측에는 컷터(5)(5')가 연결된 롤러(6)(6')를 기어(7)(7')의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컷터(5)(5') 사이에 스크래퍼(8)(8')를 진입시키고 상측롤러(6)는 그 축봉에 나사부(9)를 형성하여 넛트손잡이(10)의 회전에 의해 좌우 이동되며, 본체(1)의 내측에 모터(11)(11')를 장착하여 일측 모터(11)는 소기어(12)를 거쳐 전기한 휠(4)의 치차(4')에 치합되고 타측모터(11')는 하부롤러(6')의 회전축(13)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장치는 한쌍의 롤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틈사이로 마른 건포가 진입되어 절단 또는 엠보싱이 되나 롤러의 외주면이 너무 미끄러워 건포가 정확하게 진입할 수가 없어 통상의 구운 오징어나 쥐포에 비하여 외관 자체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지 못할뿐더러 외관이 지저분하고 소비자가 원하는 정도의 유연하면서도 씹히는 맛이 있는 육질을 얻을 수가 없었으며 보전성도 크게 떨어져 상품으로는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른 오징어나 쥐포를 구울 수 있게 가열판이 설치되어 있어 편한 반면 제조원가가 아주 비싸며, 두 대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기에 구조가 아주 복잡한 문제점이 따랐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히, 건포압출장치의 주요 구성인 한쌍의 압축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요철부를 형성하여 구운 것이나 마른 건포(오징어, 쥐포 등)를 정확하게 압축과 인출작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한 대의 모터로 한쌍의 압축롤러를 구동되게 설치함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 제조원가가 종래의 장치보다 현저하게 낮을 뿐만 아니라, 구운 것이나 마른 건포(오징어, 쥐포 등)의 외관 자체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조직이 유연하면서도 씹히는 맛이 있는 육질을 제공하여 누구나 어디서나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은 건포압출장치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은 건포압출장치의 배면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은 주요부분인 압축롤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종래 고안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예시도.
도 5는 종래 고안의 구조 중 롤러의 구조를 보인 단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은 건포압출장치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은 건포압출장치의 배면예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은 주요부분인 압축롤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의 상하부에 설치된 압축롤러 사이에 스크래퍼를 진입시켜 건포를 압축하는 건포압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내부에 설치된 모터(20)와 체인(30)의 구동에 따라 회전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서로 맞물려 있는 제 1기어부(40)와 제 2기어부(40')를 형성하되,
상기 제 1,2 기어부(40)(40')에 연설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압축롤러(50)(50')의 외주면을 따라 요철부(51)를 형성하고, 압축롤러(50)(50')의 사이에 가이드판(61)에 볼트로 체결된 스크래퍼(60)를 진입 설치하며,
상기 스크래퍼(60)를 압축롤러(50)(50')의 양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블록(70)에 설치한 구조를 가진다.
이하, 미설명된 도면부호 71은 지지블록의 일측면에 형성된 홈부이고, 도면부호 72는 스크래퍼를 지지하는 지지핀이며, 모터의 구동을 온/오프에 따라 제어하는 스위치는 도시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본체(1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스위치(미도시)를 온 스위칭동작시키면, 상기 스위치(미도시)의 온 스위칭동작에 따라 본체(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모터(20)가 구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모터(20)와 체인(30)의 구동에 따라 서로 맞물려 있는 제 1기어부(40)와 제 2기어부(40')가 회전연동을 하게 된다.
이때 제 1,2 기어부(40)(40')에 연설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압축롤러(50)(50')의 틈사이에 구운 것이나 마른 건포(오징어, 쥐포 등)를 진입하게 되면 요철부(51)가 형성된 한쌍의 압축롤러(50)(50')에 의해 외관 자체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조직이 유연하면서도 씹히는 맛이 있는 육질을 제공하게 되어 누구나 어디서나 간편하게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하 압축롤러(50)(50')의 압축과 인출작업으로 구운 것이나 마른 건포(오징어, 쥐포 등)의 찌꺼기를 제거하는 스크래퍼(60)를 지지블록(70)의 일측면에 형성된 홈부(71)를 통하여 스크래퍼(60)를 붙어 있는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으며, 또 압축롤러(50)(50')의 틈사이에 진입되어 가이드판(61)에 결합된 스크래퍼(60)와 지지핀(72)으로 인하여 흔들리지 않고 스크래퍼(60)를 지지함으로 건포 압출작용시 생기는 찌꺼기를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압축롤러에 형성된 요철부로 인해 구운 것이나 마른 건포(오징어, 쥐포 등)를 정확하게 압축과 인출작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한 대의 모터로 상하 설치된 압축롤러를 구동하게 설치되어 구조가 간단하면서 제조원가가 종래의 장치보다 현저하게 낮게 되는 것이다.
한편, 기어부에 연설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에 키이홈을 형성하여 요철부가 형성된 압축롤러를 끼워 일체가 아닌 분리 설치할 수 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건포압출장치의 주요 구성인 한쌍의 압축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요철부를 형성하여 구운 것이나 마른 건포(오징어, 쥐포 등)를 정확하게 압축과 인출작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한 대의 모터로 한쌍의 압축롤러를 구동되게 설치함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 제조원가가 종래의 장치보다 현저하게 낮을 뿐만 아니라, 구운 것이나 마른 건포(오징어, 쥐포 등)의 외관 자체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조직이 유연하면서도 씹히는 맛이 있는 육질을 제공하여 누구나 어디서나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본체의 상하부에 설치된 압축롤러 사이에 스크래퍼를 진입시켜 건포를 압축하는 건포압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내부에 설치된 모터(20)와 체인(30)의 구동에 따라 회전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서로 맞물려 있는 제 1기어부(40)와 제 2기어부(40')를 형성하되,
    상기 제 1,2 기어부(40)(40')에 연설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압축롤러(50)(50')의 외주면을 따라 요철부(51)를 형성하고, 압축롤러(50)(50')의 사이에 가이드판(61)에 볼트로 체결된 스크래퍼(60)를 진입 설치하며,
    상기 스크래퍼(60)를 압축롤러(50)(50')의 양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블록(70)에 설치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건포압출장치.
KR2020000035751U 2000-12-20 2000-12-20 건포압출장치 KR2002244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751U KR200224407Y1 (ko) 2000-12-20 2000-12-20 건포압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751U KR200224407Y1 (ko) 2000-12-20 2000-12-20 건포압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407Y1 true KR200224407Y1 (ko) 2001-05-15

Family

ID=7306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751U KR200224407Y1 (ko) 2000-12-20 2000-12-20 건포압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4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823B1 (ko) 2013-05-15 2013-09-25 조창식 알약 분쇄기
KR101405601B1 (ko) 2011-07-11 2014-06-10 김병희 북어포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되는 북어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601B1 (ko) 2011-07-11 2014-06-10 김병희 북어포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되는 북어포
KR101311823B1 (ko) 2013-05-15 2013-09-25 조창식 알약 분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0583A (en) Sheeter machine
CN111013692A (zh) 一种芡实去壳装置
CN112388707B (zh) 切块装置、肉泥加工用切块加辅料装置及方法
CN112794029A (zh) 一种应用于锅巴生产的肉松均匀布满装置
KR200224407Y1 (ko) 건포압출장치
US5415725A (en) Device for removing glued down carpet
JP2007175036A (ja) 練製食品加工機の生地押出装置
CN108432838B (zh) 一种食品加工用面团揉捻机
CN113509977B (zh) 一种大豆食用油原料的深加工处理装置
CN108638151A (zh) 一种可调节切片宽度且便于清洁的农产品用切片机
CN213369644U (zh) 一种面包成型机智能上料装置
CN109121732A (zh) 一种瓜籽脱粒装置
CN211150202U (zh) 一种剥电缆外皮的机电设备
KR0132282Y1 (ko) 성형식품제조장치의 외피절첩장치
FR2644365A1 (fr) Machine a vis tranchante, en particulier pour des matieres filamenteuses, cooperant avec des moyens de contre-coupe speciaux
KR200246195Y1 (ko) 구이오징어의 복합가공장치
KR200185533Y1 (ko) 오징어 구이기
CN218083097U (zh) 胡萝卜切丝切块一体机
CN215920583U (zh) 一种起酥类产品自动分割装置
CN218898182U (zh) 一种便于出料的滚筒式茶叶杀青机
CN220607131U (zh) 一种面点加工用连续高效烘干设备
CN214802192U (zh) 一种用于食用根的自动去皮机
CN220423036U (zh) 一种便于调节高度的土豆剥皮加工装置
CN214025845U (zh) 一种低gi膨化米果生产用切断装置
CN116098297B (zh) 一种果蔬干生产用去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