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303Y1 - 터치캡 - Google Patents

터치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303Y1
KR200224303Y1 KR2020000024519U KR20000024519U KR200224303Y1 KR 200224303 Y1 KR200224303 Y1 KR 200224303Y1 KR 2020000024519 U KR2020000024519 U KR 2020000024519U KR 20000024519 U KR20000024519 U KR 20000024519U KR 200224303 Y1 KR200224303 Y1 KR 2002243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guide
open
drain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윤
Original Assignee
현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윤 filed Critical 현윤
Priority to KR2020000024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3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3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303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우리의 일상생활중에 세면대는 매일 수차례씩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세면대에는 배수구에 물의 배출을 막고자 고무로 된 캡(cap)를 덮어 놓기도 하고 또는 세면대에 있는 레버를 누르면 배출구가 열리고 잡아 당기면 닫이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구조가 복잡하고 고장이 자주 발생 할 뿐 아니라 물이 새어나가는 문제점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코자 터치캡를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터치캡은 캡을 누르면 캡이 열려 세면대의 물이 빠져나가고 캡을 재 누르면 배출구를 막아 물의 빠짐을 막아 주는 것입니다.

Description

터치캡{Touch cap}
캡(4)를 누르면 록가이드(6)와 가이드바(7)가 같이 가이드 로드 맨 끝(도 3, 8E)까지 내려가면 록가이드(6A)가 P지점에서 S지점으로 미끄려져 내려 가면서 가이드바(7)과 함께 상승합니다. 이 작용은 밑에서 스프링(5)이 밀어주기 때문입니다. 즉 이 말은 가이드바(7)가 상승하면서 캡(4)을 밀어 올려 캡이 오픈(open) 된다는 것입니다. 이 상태는 도 1과 같이 캡(4)이 오픈된 상태입니다. 그리고 캡(4)을 다시 누르면 전개도 록가이드(6A)은 S 지점에서 T 지점으로 이동을 하였지만 그 위치에 멈추게 됩니다. 원인은 록가이드(6)은 도 3, 평면도 6A은 도 3의 평면도 8B를 빠져 나갈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캡(4)를 다시 누르면 록가이드(6)가 상승을 하고 재 누르면 T 지점(도 3, 8전개정면도)에 멈추게 됩니다. 이렇게 하여 캡(4)이 열리고 닫히게 됩니다.이것은 캡(4)누르면 록가이드(6)가 상승(캡이 오픈)하고 다시 캡(4)을 누르면 록가이드(6)은 위치만 바뀌어지나 캡(4)은 상승을 못하고(캡은 크로스)멈춤, 이것은 록가아드(6)6A의 위치가 가이드로드(8)8A에서 8B로 바뀌면서 록가이드 6A가 가이드로드 8B를 빠져 나갈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종래에는 배수구에 고무등으로 된 캡을 손으로 막았다 열었다 하였습니다. 그러는 과정에서 분실하는 사례도 있습니다. 근래에는 세면대 수도 꼭지 옆에 레버(lever)가 있어 레버를 누르면 배수가 오픈되고 잡아 당기면 크로스가 되는 것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구조가 복잡하고 고장이 자주 발생할 뿐아니라 배수라인에서 물이 자주 새어나오는 경우가 많아 사용에 불편이 많고 레버를 잡아 당겨도 배수구에서 물이 새어나가는 곳이 많아 사용자의 불편이 많다고 볼수 있습니다.
세면대나 욕실등에는 반드시 배수가 있어 배수구를 막아야 물을 받아 사용 할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배수구를 막고 열고 하는 것이 너무나도 불편할뿐 아니라 마개등을 분실하는 경우등이 있어 배수구에 터치캡을 설치하여 캡(4)을 누르면 배수가 되고 캡을 다시 누르면 배수구를 막아 물을 받을수 있는 간편하고 편리한 점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도 1 터치캡의 단면도
도 2 후레임의 상세도
도 3 부품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세면대
2 세면대의 배수구
3 터치캡(Touch cap) 후레임(Frame)
4 캡
5 스프링(spring)
6 록 가이드(rcok guide)
7 가이드 바(guide bar)
8 가이드 로드(guide road)8E 가이드 로드 밑끝
9 록(rock)
10 팩킹(packing)
11 자석
12 철
13 배수의 흐름도(道)
가이드로드(8)가 부착된 후레임(3)에 스프링(5)을 넣고 가이드바(7)에 철판(12)를 붙인후 록가이드(6)을 넣어 후레임(3)의 스프링(5)위에 넣은 다음 캡(4)내부에 자석을 부착후 캡(4)을 후레임에 씌운다. 그리고 캡(4)을 누르면 록가이드(6)와 가이드바(7)가 가이드로드(8)의 끝(8E)까지 내려가면 도 3의 6A, 7, 8, 전개도 6A가 P 지점에서 S 지점으로 내려가면서 록가이드(6)과 가이드바(7)가 상승을 하게 됩니다. 이것이 캡(4)이 오픈 상태이며 캡(4)을 다시 누르면 록가이드(6)과 가이드바(7)가 하강을 하면서 위치는 S 지점에서 T 지점으로 이동이 되나 록가이드(6)과 가이드바(7)는 그 자리에 멈추게 됩니다. 이상태는 캡(4)이 크로스 상태가 됩니다.
한번 캡(4)을 누르면 배수구가 오픈되고 캡(4)를 다시 누르면 배수구가 크로스 된다는 간편하고 편리한 점입니다.

Claims (1)

  1. 가이드로드(8)가 부착된 후레임(3)에 스프링(5)을 넣고 철판(12)이 부착된 가이드바(7)에 록가이드(6)삽입하고 자석(11)이 부착된 캡(4)을 가이드바(7)에 씌워 캡(4)를 한번 누르면 배수구가 오픈되고 캡(4)를 다시 누르면 배수구가 크로스되는 터치캡.
KR2020000024519U 2000-08-29 2000-08-29 터치캡 KR2002243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519U KR200224303Y1 (ko) 2000-08-29 2000-08-29 터치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519U KR200224303Y1 (ko) 2000-08-29 2000-08-29 터치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303Y1 true KR200224303Y1 (ko) 2001-05-15

Family

ID=73087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519U KR200224303Y1 (ko) 2000-08-29 2000-08-29 터치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3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8454A (en) Solenoid control for a bathtub waste water drain
EP2281955B1 (en) Drain with plug and overflow function of the plug
MXPA03010193A (es) Material de taponado de drenaje para banera activada con solenoide.
KR200395156Y1 (ko) 욕조 배수금구
CA2556634A1 (en) A motor activated bathtub drain closure
KR200224303Y1 (ko) 터치캡
JP3840625B2 (ja) 遠隔操作式開栓装置
KR102090044B1 (ko) 배관 구조물
KR100442447B1 (ko) 양변기용 절수장치
KR200286084Y1 (ko) 세면기용 배수밸브
CN205990647U (zh) 一种带有预冲装置的冲厕阀门
KR200200822Y1 (ko) 세면기의 배수공 개폐장치
JPH10183712A (ja) 遠隔操作式開栓装置
KR101009369B1 (ko) 수세식변기용 절수기
KR0140631Y1 (ko) 세면대 집배수 장치
CN215977536U (zh) 一种浮球式储用水装置下水器
KR20020076100A (ko) 양변기용 절수장치
JP2010112121A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KR200243696Y1 (ko) 세면기의 팝업밸브
ITBS20090170A1 (it) Piletta di scarico per vasche da bagno, lavandini, lavabi o altri bacini di raccolta di un liquido
KR200380215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세면대의 팝업밸브 구조
KR200395053Y1 (ko) 깨끗한 하수 수집기
KR870002300Y1 (ko) 수도전
JPH0415818Y2 (ko)
KR20090011913U (ko) 절수형 욕조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