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872Y1 - 몰드 브래지어 - Google Patents

몰드 브래지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872Y1
KR200223872Y1 KR2019980028132U KR19980028132U KR200223872Y1 KR 200223872 Y1 KR200223872 Y1 KR 200223872Y1 KR 2019980028132 U KR2019980028132 U KR 2019980028132U KR 19980028132 U KR19980028132 U KR 19980028132U KR 200223872 Y1 KR200223872 Y1 KR 2002238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
cup
cups
cup suppor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800U (ko
Inventor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이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영 filed Critical 이주영
Priority to KR2019980028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872Y1/ko
Publication of KR200000148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8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8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872Y1/ko

Links

Landscapes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몰드 브래지어에 관한 것으로서, 브라 컵과, 양측의 브라 컵을 연결함과 동시에 받치는 컵 받침을 구비한 브래지어에 있어서, 상기 브라 컵(40)(40')과 컵 받침(42)은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브라 컵과 컵 받침을 제작하는 별도의 봉제공정이 삭제되어 제조비를 줄인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몰드 브래지어
본 고안은 브래지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몰드 브래지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브래지어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 컵(10)(10')과, 상기 양측의 브라 컵(10)(10')을 연결함과 동시에 받치는 컵 받침(12)이 봉제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컵 받침(12)의 좌우측에는 밴드(14)(16)가 봉제로 연결되며, 상기 브라 컵(10)(10')과 컵 받침(12)의 연결부에는 브라 컵(10)(10')의 형태를 유지시키도록 탄력성을 가진 와이어(18)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브라 컵(10)(10')은 직물(20)(22)의 사이에 스폰지(24)가 내장된 층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브라 컵(10)(10')의 구면형상은 상기 와이어(18)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와이어(18)는 스폰지(26)가 싸고 있고, 상기 스폰지(26)는 내측직물(28)에 의해 싸여지며, 상기 내측직물(28)은 외측직물(30)내에 내장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외측직물(30)은 그 양측이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브라 컵(10)(10')의 단부 및 상기 컵 받침(12)의 단부에 각각 봉제되어 있다.
상기 컵 받침(12)은 두겹의 직물로 되어 그 가장자리를 따라 봉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 컵(10)(10')의 단부와 상기 컵 받침(12)의 단부는 연결밴드(32)가 그 외측면에 대어져 봉제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브래지어에서는 브라 컵의 구조가 복잡하고, 직물로 된 브라 컵과 컵 받침을 봉제로 연결하는 한편 두겹으로 된 컵 받침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시 봉제를 하는 등, 그 봉제작업이 많아 제조비가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브래지어에서는 와이어(18)가 브라 컵과 컵받침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브래지어를 처음 착용하는 사춘기 여성들에게는 유방을 압박하게 된다. 이러한 압박을 최소화하기 위해 와이어(18)를 스폰지(26) 및 내, 외측직물(28)(30)로 순차적으로 감싸고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와이어에 의한 돌출부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 것으로, 여전히 유방을 압박하게 되어 통증을 생기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브라컵과 컵 받침을 연결하는 봉제작업을 줄여 제조비를 절감하는 몰드 브래지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브라 컵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와이어가 유방을 압박하지 않게 하는 몰드 브래지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브래지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2는 도1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래지어를 평면도,
도4는 도3에서 화살표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5는 도3에서 화살표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6은 도3에서 화살표 D-D선에 따른 단면도,
도7은 도3에서 화살표 E-E선에 따른 단면도,
도8은 도6의 연결부의 형성상태도,
도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몰드 브래지어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몰드 브래지어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11은 도10에서 화살표 F-F선에 따른 단면도,
도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몰드 브래지어를 나타내는 일부 배면도,
도13은 도12에서 화살표 G-G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40' : 브라 컵 42 : 컵 받침
44, 46 : 브라 날개 48 : 와이어
50 : 홈띠 52 : 와이어 테이프
54 : 요입부 56, 58 : 마무리 밴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몰드 브래지어는 브라 컵과, 양측의 브라 컵을 연결함과 동시에 받치는 컵 받침을 구비한 브래지어에 있어서, 상기 브라 컵과 컵 받침은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 컵과 컵 받침의 연결부의 외면에는 홈띠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컵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홈띠에는 와이어가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 컵의 중간부에 접하는 컵 받침의 부위 저면에는 브라컵에서 멀어질수록 벌어지는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 컵의 외측면에는 와이어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함과 동시에 외관을 미려하게 하도록 커버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컵 받침의 내측면에는 심한 운동시에 유방이 브라컵의 수용부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망체가 상기 컵 받침면에서 상기 브라 컵의 측으로 자유롭게 돌출/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 컵의 내측면에는 심한 운동시 유방이 브라 컵의 수용부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돌출된 걸림띠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성의 유방을 감싸는 브라 컵(40)(40')은 이 브라컵(40)(40')을 연결함과 동시에 받치는 컵 받침(42)과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있고, 상기 컵 받침(42)의 좌우측에는 브라 날개(44)(46)가 봉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 컵(40)(40')과 컵 받침(42)의 연결부에는 상기 브라 컵(40)(40')이 퍼지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와이어(48)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48)는 결합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와이어(48)의 결합여부는 브라 컵(40)(40')의 강성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브라 컵(40)(40')과 컵 받침(42)의 재질은 폴리우레탄재로 되어 있으며 그 전체적인 형상은 공지의 브라 형상과 유사하다.
그리고, 상기 브라 컵(40)(40')과 컵 받침(42)의 연결부의 외면에는 홈띠(50)가 곡선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 컵(40)(40')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홈띠(50)에는 상기 와이어(48)가 수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48)는 브라 컵(40)(40')과 컵 받침(42)의 연결부의 외면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여성의 유방을 압박하지 않는다.
상기 와이어(48)는 와이어 테이프(52)에 의해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게 되어 있다. 즉, 상기 와이어 테이프(52)는 상기 홈띠(50)를 따라 상기 브라 컵(40)(40') 및 상기 컵 받침(42)에 봉제되어 있다.
상기 브라 컵(40)(40')의 중간부에 접하는 컵 받침(42)의 부위 저면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 컵(40)(40')에서 멀어질수록 벌어지는 요입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입부(54)는 사출성형시의 치수오차를 보정하게 되며, 상기 와이어(48)를 결합하여 브라 컵(40)(40')의 형태를 보정할 시에 좌우로 벌어지거나 오무라 들게 되어, 브라 컵(40)(40')의 형태보정을 용이하게 한다. 즉, 와이어의 곡률반경을 다르게 할 경우에 요입부(54)의 높이가 높아지거나 낮아지게 되어 컵 받침(42)의 울림이나 당김을 없애게 된다.
상기 브라 날개(44)(46)은 도6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형상이 직물이 상기 컵 받침(42)의 양단부를 감싸 봉제된 다음, 뒤로 넘겨져 두겹으로 된다.
두겹으로 된 브라 날개(44)(46)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방향의 양측에 마무리 밴드(56)(58)가 덮어 쒸워져 브라 날개의 길이방향으로 봉제되어 있다.
상기 컵 받침(42)에서 상기 브라 날개측에는 여성의 어깨등으로 걸도록 도시하지 않은 끈이 달려있다.
도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몰드 브래지어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브라 컵(40)(40')의 외측면에는 와이어부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함과 동시에 외관을 미려하게 하도록 커버(60)가 봉제되어 있다.
상기 커버(60)는 부드러운 천으로 되어 있다.
도10 및 도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몰드 브래지어를 나타내는 배면도 및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컵 받침(42)의 내측면에는 심한 운동시에 유방이 브라 컵(40)(40')의 수용부(S)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망체(62)가 상기 컵 받침면에서 상기 브라 컵의 측으로 자유롭게 돌출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망체(62)는 도10에서 굵은 선으로 표시된 가장자리(H, H', J, J', K)에만 봉제되어 있고,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상기 망체(62)는 복원력이 뛰어난 신축성이 있는 망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심한 운동으로 유방이 흔들리더라도 유방의 가장자리는 상기 돌출된 망체의 가장자리에 걸리어 유방(도11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음)이 수용부(S)에서 이탈하지 않는다
도12 및 도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몰드 브래지어를 나타내는 배면도 및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브라 컵의 내측면에는 심한 운동시 유방이 브라 컵(40)(40')의 수용부(S)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브라 컵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곳에 돌출된 걸림띠(6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띠(64)는 상기 브라 컵(40)(40')의 성형시 함께 성형된다.
따라서, 심한 운동으로 유방이 흔들리더라도 유방의 가장자리는 상기 걸림띠(64)에 걸리어 유방(도13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음)이 수용부(S)에서 이탈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몰드 브래지어는 봉제작업을 줄여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고, 와이어가 결합된 구조에서는 와이어가 유방을 압박하지 않게 하며, 브라컵의 내측 및 외측에서 와이어가 보이지 않으므로 외관이 미려하다.

Claims (6)

  1. 브라 컵과, 양측의 브라 컵을 연결함과 동시에 받치는 컵 받침을 구비한 브래지어에 있어서,
    상기 브라 컵(40)(40')과 컵 받침(42)은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브래지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 컵(40)(40')과 컵 받침(42)의 연결부의 외면에는 홈띠(50)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컵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홈띠(50)에는 와이어(48)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브래지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 컵(40)(40')의 중간부에 접하는 컵 받침(42)의 부위 저면에는 브라 컵(40)(40')에서 멀어질수록 벌어지는 요입부(5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브래지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 컵(40)(40')의 외측면에는 와이어(48)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함과 동시에 외관을 미려하게 하도록 커버(6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브래지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받침(42)의 내측면에는 심한 운동시에 유방이 브라 컵(40)(40')의 수용부(S)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망체(62)가 상기 컵 받침면에서 상기 브라 컵의 수용부측으로 소정거리로 돌출/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브래지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 컵(40)(40')의 내측면에는 심한 운동시 유방이 브라 컵의 수용부(S)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돌출된 걸림띠(6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브래지어.
KR2019980028132U 1998-12-30 1998-12-30 몰드 브래지어 KR2002238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132U KR200223872Y1 (ko) 1998-12-30 1998-12-30 몰드 브래지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132U KR200223872Y1 (ko) 1998-12-30 1998-12-30 몰드 브래지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800U KR20000014800U (ko) 2000-07-25
KR200223872Y1 true KR200223872Y1 (ko) 2001-08-07

Family

ID=69506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132U KR200223872Y1 (ko) 1998-12-30 1998-12-30 몰드 브래지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8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300A (ko) * 2001-04-26 2002-11-02 주식회사 미인만들기 스포츠용 속옷
KR100825850B1 (ko) * 2006-05-22 2008-05-13 (주) 유성비앤아이 남성용 가슴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800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7877A (en) Bra with reinforced contourline
JP2670215B2 (ja) 胸部支持フレーム
US20110197342A1 (en) Pants Having Body-Shaping Function
JP4216710B2 (ja) ブラジャーのための改善されたアンダーワイヤー
KR102128234B1 (ko) 컵부를 갖는 여성 속옷
KR100333962B1 (ko) 컵부를 가지는 여성용 의류
US7128636B1 (en) Swing wire and brassiere using same
JPH0835105A (ja) ブラジャーのフレーム
KR200223872Y1 (ko) 몰드 브래지어
KR100832080B1 (ko) 하의와 허리고정밴드의 봉재 방법
CN213215366U (zh) 一种冷压粘合弹力稳型文胸
JP3775696B2 (ja) 女性胸部用パッド
CN105639748A (zh) 无钢圈水袋文胸及其制造方法
JPH08209405A (ja) 人体骨格に有機的に対応するバストカップ体及びそのボディ構造
KR100222353B1 (ko) 바스트컵 부분의 받침 와이어
CN217242778U (zh) 一种带有防卷效果的打底裤
KR200156745Y1 (ko) 여성의 유두가 아름다워지는 브래지어
KR200397182Y1 (ko) 브래지어
CN216906882U (zh) 一种内置骨架的文胸
JP2003328209A (ja) 装身用パッド
KR200235229Y1 (ko) 스냅식 와이어 브래지어
JPH09157913A (ja) 胸部整形パッド
KR200338074Y1 (ko) 브래지어
KR200283999Y1 (ko) 기능성 브래지어
KR200235243Y1 (ko) 스냅식 와이어 브래지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