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665Y1 -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 - Google Patents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665Y1
KR200223665Y1 KR2020000032503U KR20000032503U KR200223665Y1 KR 200223665 Y1 KR200223665 Y1 KR 200223665Y1 KR 2020000032503 U KR2020000032503 U KR 2020000032503U KR 20000032503 U KR20000032503 U KR 20000032503U KR 200223665 Y1 KR200223665 Y1 KR 2002236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glass
fixing
individu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5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운
Original Assignee
한국석묘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석묘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석묘개발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2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6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665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에 관한 것으로, 다단으로 복수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납골함단 본체와, 상기 납골함단 본체의 각 수납공간에 수납 고정되고 전면의 사각변부에 소정의 폭으로 테두리가 형성되며 내부에 유골 용기가 수납되는 개별 납골함과, 상기 개별 납골함의 전면에 유리 고정수단으로 고정 설치되어 내부의 유골 용기를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는 전면유리와, 상기 개별 납골함과 전면유리의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전면의 마감부재를 투명 유리(glass)로 사용하여, 외부에서도 내부의 유골 용기를 보이게 함으로써 유족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설치 비용의 절감에 기여한다.

Description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Apartment type charnel using glass caver}
본 고안은 복수개의 납골 용기를 다단으로 수납하여 보관하는 납골함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의 마감부재를 투명 유리(glass)로 사용하여, 외부에서도 내부의 유골 용기를 보이게 함으로써 유족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설치 비용의 절감에 기여할 수 있게 한 새로운 형태의 납골함단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2천만여기의 묘지가 전국토 면적의 1%를 차지하고 있고, 해마다 여의도의 3배에 달하는 면적이 묘지로 바뀌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추세라면 우리나라의 국토는 얼마안가 전국토의 묘지화가 될 것을 극히 우려하지 않을 수 없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우려감의 확산으로 국민들의 의식변화와 함께 장묘 제도도 개선되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앞에서 설명한 국토의 묘지화에 따른 제반 문제점과 더불어서 해마다 반복되는 장마철 및 태풍 등의 영향으로 폭우가 쏟아지면 전국의 묘지중 상당부분이 유실 또는 파손되고 있으며, 뿐만 아니라 매장을 위해 소요되는 경비도 서민들에게는 큰 부담을 주는 등, 기존의 장묘 제도는 많은 개선의 점이 있었다.
최근들어, 장묘 제도의 인식 변화로 인해 시신의 매장보다는 화장(火葬)을 하여 사체의 유골을 납골함에 넣어 특정 시설에 안치하는 납골 문화가 서서히 자리 잡고 있으나, 아직도 화장률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향 후, 국토의 효율성, 폭우에 따른 묘지의 유실 및 파손 문제, 그리고 경비 등을 고려한다면 납골 장묘 문화를 널리 장려하는 것이 장래 국가 발전 및 국민의 생활에도 많은 유리한 점을 제공하며, 이에 대한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아직 납골 장묘 문화가 국민 정서를 완전히 충족시키지는 못하고 있으나, 일부 납골 장묘 문화를 선도하는 기업에서는 여러 가지 형태의 납골함을 개발하여 보급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된 특허등록번호 제239021호, 제260710호 및 국내 특허공개번호 1998년 제30756호를 통하여 어려가지 형태의 납골함 구조가 알려지고 있다. 상기한 여러 가지 형태의 납골함은 전면을 대리석 등의 값비싼 석재로 마감하여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였다.
그러나, 알려진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납골함은 전면을 대리석 등의 석재로 마감함에 따라 납골함의 내부에 안치되는 유골 용기가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족들이 고인의 마지막 모습을 보고 싶어하는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었으며, 또한 대리석 등의 마감부재가 값이 비싼 관계로 설치 비용이 상승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주 목적은 납골함의 전면을 유리로 마감하여 외부에서도 내부의 유골 용기를 보이게 함으로써 유족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납골함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비교적 값이 저렴한 유리로 납골함의 전면을 마감함으로써 설치 비용의 절감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납골함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의 주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 - B선 단면도.
도 6은 도 1의 C - C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커버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도 10은 커버수단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도 11은 도 9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납공간 2 : 납골함단 본체
5,6 : 고정 돌출턱 20 : 개별 납골함
21 : 사각 테두리 21a : 고정공
22 : 단턱부 23 : 요입부
24 : 매립 너트 25 : 유리 고정부재
26 : 유리 고정볼트 27 : 고정 너트
29 : 고정 볼트 30 : 전면 유리
40 : 실링부재 51 : 가로부재
52 : 세로부재 53 : 인서트 너트
54 : 중간 볼트 55 : 모서리 장식부재
56 : 전방 볼트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단으로 복수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납골함단 본체와, 상기 납골함단 본체의 각 수납공간에 수납 고정되고 전면의 사각변부에 소정의 폭으로 테두리가 형성되며 내부에 유골 용기가 수납되는 개별 납골함과, 상기 개별 납골함의 전면에 유리 고정수단으로 고정 설치되어 내부의 유골 용기를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는 전면유리와, 상기 개별 납골함과 전면유리의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이 제공된다.
상기 개별 납골함의 입구에 상기 전면유리의 두께 만큼의 깊이로 단턱부가 전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상기 단턱부에 전면유리가 안착된 상태에서 개별 납골함의 테두리와 전면유리가 동일 평면을 유지하며, 상기 단턱부에 소정의 깊이로 요입부가 전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고, 그 요입부에 상기 실링부재가 삽입되어, 전면유리의 내측면 전 둘레에 걸쳐서 긴밀하게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리 고정수단은 상기 개별 납골함의 테두리의 각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고정공의 후방측에서 결합되는 복수개의 매립 너트와, 상기 고정공과 연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유리의 전면 각 모서리 부위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유리 고정부재와, 상기 유리 고정부재의 삽입공을 통해 각각 삽입되어 상기 고정공을 지나 매립 너트에 체결 고정되는 복수개의 유리 고정볼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별 납골함의 테두리와 맞닿는 납골함단 본체의 프레임의 상하측 및 좌우측 중간부에 너트공을 각각 형성하여, 그 너트공의 후방측으로 고정 너트를 각각 결합하고, 상기 개별 납골함의 테두리의 상하측 좌우측에 상기 고정 너트와 연통되는 삽입공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개별 납골함의 삽입공을 통해 고정 볼트를 삽입하여 고정 너트에 각각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납골함단 본체는 스테인레스 재질, 또는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납골함단 본체에 상기 전면유리의 각 변부를 가리기 위한 커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수단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면유리의 상하 및 좌우측 변부를 가리기 위하여 4개가 1쌍을 이루는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와, 상기 납골함단 본체를 이루는 프레임의 교차부위에 형성된 결합공의 후방측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인서트 너트와, 상기 인서트 너트에 전방측에서 나사 결합되고 전면에 나사 체결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중간 볼트와, 상기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가 만나는 부위에서 그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의 단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중간 볼트의 나사 체결홈과 연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모서리 장식부재와, 상기 모서리 장식부재의 삽입공을 통해 상기 중간 볼트의 나사 체결공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전방 볼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납골함단 본체의 양측변부에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출턱과, 가로부와 세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변부에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 돌출턱의 내측면에 끼워져 고정되는 소정 길이의 탄성 결합 리브가 각각 형성된 일체형 커버로 구성되어, 적어도 1개 이상의 일체형 커버가 납골함단 본체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납골함의 전면을 유리로 마감하여 외부에서도 내부의 유골 용기를 보이도록 함으로써 유족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며, 또한 비교적 값이 저렴한 유리를 마감부재로 사용하여 설치 비용을 절감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납골함단을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의 주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 - 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C - C선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납골함은, 전면 마감부재를 투명 유리(glass)로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그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단으로 복수개의 수납공간(1)이 형성된 납골함단 본체(10)와, 상기 납골함단 본체(10)의 각 수납공간(1)에 수납 고정되고 내부에 유골 용기(C)(도 2에 도시)가 수납되는 개별 납골함(20)과, 상기 개별 납골함(20)의 전면에 유리 고정수단으로 고정 설치되어 내부의 유골 용기(C)를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는 전면유리(30)와, 상기 개별 납골함(20)과 전면유리(30)의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 등의 실링(sealing)부재(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개별 납골함(20)은 전면의 사각변에 소정의 폭으로 테두리(2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테두리(21)의 각 모서리 부위에 전면유리(30)가 유리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각 테두리(21)의 중간부위가 납골함단 본체(1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개별 납골함(20)의 입구에는 상기 전면유리(30)의 두께 만큼의 깊이로 단턱부(22)가 전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단턱부(22)에 전면유리(30)가 안착된 상태에서 개별 납골함(20)의 테두리(21)와 전면유리(30)가 동일 평면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단턱부(22)에는 소정의 깊이로 요입부(23)가 역시 전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그 요입부(23)에 상기한 실링부재(40)가 삽입되어, 전면유리(30)의 내측면 전 둘레에 걸쳐서 긴밀하게 밀착되어 있다.
상기 실링부재(40)의 굵기는 요입부(23)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전면유리
(30)의 고정 과정에서 압축력을 받아서 전면유리(30)에 탄성적으로 압착됨으로써 개별 납골함(20)의 내부와 외부를 완전히 격리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주요부 구성인 상기한 유리 고정수단을 설명하면, 상기 개별 납골함(20)의 테두리(21)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고정공(21a)의 후방측에서 결합되는 복수개의 매립 너트(24)와, 상기 고정공(21a)과 연통되는 삽입공(25a)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유리(30)의 전면 각 모서리 부위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유리 고정부재(25)와, 상기 유리 고정부재(25)의 삽입공(25a)을 통해 각각 삽입되어 상기 고정공
(21a)을 지나 매립 너트(24)에 체결 고정되는 복수개의 유리 고정볼트(2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매립 너트(24)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 머리부(24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공(21a)의 후방측에 상기 다각형 머리부(24a)와 형합되는 다각형 결합홈
(21b)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유리 고정볼트(26)의 체결 작업시 매립 너트(24)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별 납골함(20)을 납골함단 본체(10)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상기 개별 납골함(20)의 테두리(21)와 맞닿는 납골함단 본체(10)의 프레임(11)의 상하측 및 좌우측 중간부에 너트공(1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 너트공(12)의 후방측으로 고정 너트(27)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개별 납골함(20)의 테두리(21)의 상하측 좌우측에 상기 고정 너트(27)와 연통되는 삽입공(28)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별 납골함(20)의 삽입공(28)을 통해 고정 볼트(29)를 삽입하여 고정 너트(27)에 각각 체결함으로써 납골함단 본체(10)에 개별 납골함(20)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 너트(27)도 사각형 등의 다각형 머리부(27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1)에 형성된 결합공(12)의 후방측에 상기 다각형 머리부(27a)와 형합되는 다각형 결합홈(12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 볼트(29)의 체결 작업시 고정 너트(27)가 헛도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개별 납골함(20)이 고정되는 납골함단 본체(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재질이거나,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PC
(Precast Concrete) 공법에 의한 콘크리트 재질인 것으로 한다.
상기 개별 납골함(20)의 재질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개별 납골함(2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납골함단으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재질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은, 납골함단 본체(10)에 상기 전면유리(30)의 각 변부를 가릴 수 있는 커버수단을 더 포함하여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커버수단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면유리(30)의 상하 및 좌우측 변부를 가리기 위하여 4개가 1쌍을 이루는 가로부재(51) 및 세로부재(52)와, 상기 납골함단 본체(10)를 이루는 프레임(11)의 교차부위에 형성된 결합공(13)의 그 후방측에서 결합되는 복수개의 인서트 너트(53)와, 상기 인서트 너트(53)에 전방측에서 프레임(11)의 결합공(13)을 통해 나사 결합되고 전면에 나사 체결공(54a)이 형성된 복수개의 중간 볼트(54)와, 상기 가로부재(51) 및 세로부재(52)가 만나는 부위에서 그 가로부재(51)(52)의 단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중간 볼트(54)의 나사 체결홈(54a)과 연통되는 삽입공(55a)이 형성된 복수개의 모서리 장식부재(55)와, 상기 모서리 장식부재(55)의 삽입공(55a)을 통해 상기 중간 볼트(54)의 나사 체결공(54a)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전방 볼트(5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서트 너트(53)는 상기한 매립 너트(24) 및 고정 너트(27)와 마찬가지의 결합구조로 납골함단 본체(1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전방 볼트(56)는 머리 부위에 특수한 형태로 해제홈이 형성되어 있어, 특수한 형상을 갖는 렌치가 아니면 해제가 불가능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 도난 방지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전방 볼트(56)의 형상은 본 고안에서 권리로서 보호하고자 하는 사항은 아니며 일반적인 볼트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에 있어서는, 먼저 개별 납골함(20)의 내부에 유골 용기(C)를 수납하고 전면에 유리(30)를 고정한 다음, 그 개별 납골함(20)을 납골함단 본체(10)의 수납공간(1)으로 수납하여 설치 고정하고, 마지막으로 커버수단을 설치하게 된다.
그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면, 개별 납골함(20)의 내부에 유골 용기(C)를 수납한 상태에서 개별 납골함(20)의 단턱부(22)에 형성된 요입부(23)로 고무 패킹 등의 실링부재(40)를 끼워 넣는다.
이 후, 상기 개별 납골함(20)의 전면에 전면유리(30)를 결합하여 내측면의 테두리가 상기 개별 납골함(20)의 단턱부(22)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개별 납골함(2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고정공(21a)의 후방측에서 매립 너트(24)를 결합하고, 전방측에서는 상기 전면유리(30)의 각 모서리 부위에 유리 고정부재(25)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 볼트(29)를 상기 유리 고정부재(25)를 관통하고 고정공(21a)을 지나 매립 너트(24)에 체결 고정한다.
이와 같은 작업을 전면유리(30)의 각 모서리 부위에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개별 납골함(20)의 전면에 유리(30)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실링부재(40)의 굵기가 요입부(23)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면유리(30)의 고정 과정에서 압축력을 받아서 전면유리(30)에 탄성적으로 압착되며, 따라서 개별 납골함(20)의 내부와 외부를 완전히 격리시킴으로써 유골 용기(C)의 유골을 양호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면유리(30)를 고정한 개별 납골함(20)은 납골함단 본체(10)의 수납공간(1)으로 밀어 넣고, 상기 개별 납골함(20)의 테두리(21)의 상,하측 및 좌,우측 중간부에 각각 형성딘 삽입공(28)을 통해 고정 볼트(29)를 삽입하여 납골함단 본체(10)에 결합된 고정 너트(27)에 각각 체결함으로써 납골함단 본체(10)에 개별 납골함(20)을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납골함단 본체(10)에 개별 납골함(20)에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개별 납골함(20)의 전면에 고정된 유리(30)의 사각 테두리 부위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면유리(30)의 사각 테두리 부위에 가로부재(51) 및 세로부재(52)를 모서리 장식부재(56)로 고정하게 되는 바, 사전 작업으로 먼저 납골함단 본체(10)의 후방측에서 프레임(11)의 결합공(13)으로 인서트 너트(53)를 결합하고, 그 인서트 너트(53)에 프레임(11)의 전방측에서 중간 볼트(54)를 체결 고정한다.
이와 같이, 사전 작업이 완료된 다음에는 전면유리(30)의 사각 테두리 부위에 가로부재(51) 및 세로부재(52)를 밀착시키고, 다시 모서리 장식부재(55)를 개재하여 전방 볼트(56)를 상기 모서리 장식부재(55)를 관통한 후, 중간 볼트(54)의 나사 체결홈(54a)에 체결 고정함으로써 가로부재(51) 및 세로부재(52)를 견고히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모서리 장식부재(55)에 의하여 2개의 가로부재(51)와, 2개의 세로부재(52)가 만나는 교차 부위에서 모두 4개의 가로부재(51) 및 세로부재(52)의 단부를 고정하게 되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납골함단 본체(10)의 상하측 및 좌우측 변부 및 모서리 부위는 하나의 모서리 장식부재(55)로 각각 3개 및 2개의 가로부재(51) 및 세로부재(52)와 함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주변부를 마감하는 별도의 마감부재를 함께 고정하게 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납골함단을 구성하는 커버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이는 주로 가족형 납골함단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커버수단이 분리형이라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하나의 가족을 하나로 묶는 일체형 커버(60)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일체형 커버(60)는 가로부(61)와 세로부(62)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써, 양측변부에 후방측을 향하는 소정 길이의 탄성 결합 리브(63)(64)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납골함단 본체(10)의 양측변부에는 일체형 커버(60)의 외측 탄성 결합 리브(63)(64)가 억지끼워??춤 방식으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고정 돌출턱(5)(6)이 소정의 높이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버수단은 별도의 볼트 및 너트와 같은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일체형 커버(60)를 납골함단 본체(10)의 전방측에서 밀어 넣으면, 상기 일체형 커버(60)의 양측변부에 각각 형성된 탄상 결합 리브(63)(64)가 상기 납골함단 본체(10)의 고정 돌출턱(5)(6)에 억지로 끼워지면서 일체형 커버(60)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2개 이상의 일체형 커버(60)를 고정할 경우에는 여러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일체형 커버(60)를 밀어 넣어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일체형 커버(60)의 탄성 결합 리브(63)(64)는 외측으로 약간 벌어지게 형성하여, 납골함단 본체(10)에 일단 결합된 상태에서는 탄성 결합 리브(63)(64)의 복원력이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화살표의 방향과 같이, 외측으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일체형 커버(60)의 고정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2개 이상의 일체형 커버(60)를 결합할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의 탄성 결합 리브(63')(64')를 외측의 탄성 결합 리브 보다 약간 길게 형성하여, 그 길게 돌출된 부분이 인접한 개별 납골함(20)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G)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일체형 커버(60)의 결합 상태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은 상세한 설명에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청구항 및 그 종속항의 창작적 개념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은, 다단으로 복수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납골함단 본체와, 상기 납골함단 본체의 각 수납공간에 수납 고정되고 전면의 사각변부에 소정의 폭으로 테두리가 형성되며 내부에 유골 용기가 수납되는 개별 납골함과, 상기 개별 납골함의 전면에 유리 고정수단으로 고정 설치되어 내부의 유골 용기를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는 전면유리와, 상기 개별 납골함과 전면유리의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외부에서도 내부의 유골 용기를 보이게 함으로써 유족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설치 비용의 절감에 기여하는 등의 여러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다단으로 복수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납골함단 본체와,
    상기 납골함단 본체의 각 수납공간에 수납 고정되고 전면의 사각변부에 소정의 폭으로 테두리가 형성되며 내부에 유골 용기가 수납되는 개별 납골함과,
    상기 개별 납골함의 전면에 유리 고정수단으로 고정 설치되어 내부의 유골 용기를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는 전면유리와,
    상기 개별 납골함과 전면유리의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납골함의 입구에 상기 전면유리의 두께 만큼의 깊이로 단턱부가 전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상기 단턱부에 전면유리가 안착된 상태에서 개별 납골함의 테두리와 전면유리가 동일 평면을 유지하며, 상기 단턱부에 소정의 깊이로 요입부가 전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고, 그 요입부에 상기 실링부재가 삽입되어, 전면유리의 내측면 전 둘레에 걸쳐서 긴밀하게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고정수단은 상기 개별 납골함의 테두리의 각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고정공의 후방측에서 결합되는 복수개의 매립 너트와, 상기 고정공과 연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유리의 전면 각 모서리 부위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유리 고정부재와, 상기 유리 고정부재의 삽입공을 통해 각각 삽입되어 상기 고정공을 지나 매립 너트에 체결 고정되는 복수개의 유리 고정볼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납골함의 테두리와 맞닿는 납골함단 본체의 프레임의 상하측 및 좌우측 중간부에 너트공을 각각 형성하여, 그 너트공의 후방측으로 고정 너트를 각각 결합하고, 상기 개별 납골함의 테두리의 상하측 좌우측에 상기 고정 너트와 연통되는 삽입공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개별 납골함의 삽입공을 통해 고정 볼트를 삽입하여 고정 너트에 각각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단 본체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단 본체는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단 본체에 상기 전면유리의 각 변부를 가리기 위한 커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수단은 상기 전면유리의 상하 및 좌우측 변부를 가리기 위하여 4개가 1쌍을 이루는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와, 상기 납골함단 본체를 이루는 프레임의 교차부위에 형성된 결합공의 후방측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인서트 너트와, 상기 인서트 너트에 전방측에서 나사 결합되고 전면에 나사 체결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중간 볼트와, 상기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가 만나는 부위에서 그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의 단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중간 볼트의 나사 체결홈과 연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모서리 장식부재와, 상기 모서리 장식부재의 삽입공을 통해 상기 중간 볼트의 나사 체결공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전방 볼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수단은 상기 납골함단 본체의 양측변부에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출턱과, 가로부와 세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변부에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 돌출턱의 내측면에 끼워져 고정되는 소정 길이의 탄성 결합 리브가 각각 형성된 일체형 커버로 구성되어, 적어도 1개 이상의 일체형 커버가 납골함단 본체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
KR2020000032503U 2000-11-21 2000-11-21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 KR2002236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503U KR200223665Y1 (ko) 2000-11-21 2000-11-21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503U KR200223665Y1 (ko) 2000-11-21 2000-11-21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177A Division KR100429163B1 (ko) 2000-11-21 2000-11-21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665Y1 true KR200223665Y1 (ko) 2001-05-15

Family

ID=7309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503U KR200223665Y1 (ko) 2000-11-21 2000-11-21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6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110B1 (ko) 납골함의 밀폐구조
KR101018430B1 (ko) 개방형 이중 수납구조를 갖춘 납골안치단
CA2105247C (en) Combined stone and bronze upright monument
KR100429163B1 (ko)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
KR200223665Y1 (ko) 전면 마감부재를 유리로 사용한 납골함단
JP3122364U (ja) 墓碑
JP3215434U (ja) 軽量組み立て墓石
KR100292947B1 (ko) 조립식 납골함단
KR200216704Y1 (ko) 조립식 납골당
KR200316138Y1 (ko) 납골당의 전면 마감부재 고정용 행어
KR100239021B1 (ko) 조립식 콘크리트 주조형 납골함 제작 및 설치방법
KR100260710B1 (ko) 개별 콘크리트 주조 납골함
KR102242046B1 (ko) 이중 여닫이형 도어를 갖는 납골 안치단
KR200234969Y1 (ko) 골장용 돌묘
KR100342182B1 (ko) 납골함단의 구조
KR100261763B1 (ko) 납골묘
KR200186885Y1 (ko) 적층형 석재 납골함 안치단
GB2264962A (en) A cinerarium
KR200223741Y1 (ko) Pvc 납골함단 및 그 제작방법
KR200390270Y1 (ko) 납골 안치단
KR200234856Y1 (ko) 납골함단
KR200216703Y1 (ko) 봉분식 납골당
JP2996972B1 (ja) 納骨墓
KR200145309Y1 (ko) 분묘용 수지석물 세트
KR200220633Y1 (ko) 가족납골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