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522Y1 -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입사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입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522Y1
KR200223522Y1 KR2020000034439U KR20000034439U KR200223522Y1 KR 200223522 Y1 KR200223522 Y1 KR 200223522Y1 KR 2020000034439 U KR2020000034439 U KR 2020000034439U KR 20000034439 U KR20000034439 U KR 20000034439U KR 200223522 Y1 KR200223522 Y1 KR 2002235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upling
digital still
still camera
inn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4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경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씨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씨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씨엠테크
Priority to KR20200000344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5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5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5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필요에 따라 기구적으로 입사각을 조절하여 피사체를 다양한 각도에서 쉽게 촬상할 수 있게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전하결합소자(C) 및 이에 입사영상을 투사시키는 렌즈(L)가 렌즈프레임(20)에 내장되도록 구성되되, 상기한 렌즈프레임 (20)이 그 양측벽체(26)(28)의 회전 중심으로 힌지핀(30)(32)이 각각 형성된 반원통 형상의 구조로 형성되어 케이스(18)에 힌지 결합되고, 그 내부에 다수의 부품장착용 보스(34)(36)(38)가 연장 형성되며, 정해진 범위내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범위제한수단(40)이 구비되는 내측프레임부(22); 및 결합수단(50)에 의해 상기 내측프레임부(22)와 함체를 형성하게 되도록 결합되는 외측프레임부(2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입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입사장치{incidence device of digital still camera}
본 고안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입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사체의 영상을 입사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어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입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는, 빛을 전기적인 전하로 가변시킨 다음 축적된 전하를 판독하여 판독된 값에 따르는 영상신호가 발생되도록 하고, 이와 같이 얻어지는 영상신호를 변조한 후 소정의 디스플레이로 출력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에서의 촬상 피사체에 대한 영상이 재현되도록 한다.
즉,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도 1에서와 같이, 입사장치(2)와 변조처리장치 (4), 마이콤(12) 및 메모리장치(14), 그리고 뷰파인더(V)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입사장치(2)에서 출력되는 전기적인 영상신호는 변조처리장치(4)에서 데이터의 압축과 아날로그/디지탈 신호로의 변환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즉, 디지털신호변조부(6)에서 상기 입사장치(2)로부터 입력되는 영산신호에 대한 전기적인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게 되어 있고, 이와 같이 출력되는 디지털신호를 영상처리부(8)에서 압축 상태로 처리하게 되어 있으며, 아날로그신호변조부(10)에서 압축 출력 상태인 디지털 영상신호를 다시 아날로그 상태로 변조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디지털신호변조부(6)에서 압축 처리된 영상신호는 메모리장치(14)로 입력 저장되기도 하고, 선택적인 조작신호에 따라 메모리장치(14)로부터 출력되어 다시 변조처리장치(4)를 거쳐 최적의 상태에서 출력된다.
또, 변조처리장치(4)를 거친 영상신호는 문자입력장치(16)에서 입력되는 소정의 문자영상신호와 합성되어 출력되며, 이와 같이 합성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뷰파인더(V)로도 출력되어 촬영자가 촬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입사장치(2)는 별도의 렌즈프레임없이 카메라의 케이스(18)에 내장되는 상태의 렌즈(L)를 통해 입사되는 영상을 CCD(charge coupled device:전하결합소자)(C)를 이용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게 구성되어 있다(도 2 참조).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입사장치는 입사각 조절이 불가능한 고정 형태로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카메라 케이스 전체를 움직여 위상 상태를 변경시켜야만 피사체의 영상 입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상의 불편함이 초래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기구적으로 입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피사체를 다양한 각도에서 쉽게 촬상할 수 있게 되도록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입사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종래의 입사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외관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의한 입사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부분 분해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입사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의한 입사장치의 작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부분 일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V : 뷰파인더
2 : 입사장치
L : 렌즈 C : CCD(charge coupled device:전하결합소자)
4 : 변조처리장치
6 : 디지털신호변조부 8 : 영상처리부 10 : 아날로그신호변조부
14 : 메모리장치
16 : 문자입력장치
18 : 케이스
20 : 렌즈프레임
22 : 내측프레임부
26,28 : (내측프레임부의)측벽체
30,32 : 힌지핀 34,36,38 : 부품장착용 보스
24 : 외측프레임부
40 : 회동범위제한수단
42,44 : 절개편 46,48 : 핀 47,49 : 핀홈부
50 : 결합수단
52 : 결합턱부 54 : 결합홈부 56 : 쐐기 58 : 쐐기홈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후 변조처리장치에 의해 압축/변환/합성 처리되고 LCD패널 등으로 출력 표시되는 피사체의 영상이 입사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입사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변조처리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하결합소자 및 이에 입사영상을 투사시키는 렌즈가 렌즈프레임에 내장되도록 구성되되, 상기한 렌즈프레임이 카메라의 케이스 상측 부위에서 렌즈의 노출 상태로 회동 가능하도록 그 양측벽체의 회전 중심으로 힌지핀이 각각 형성된 반원통 형상의 구조로 형성되어 케이스에 힌지 결합되고, 그 내부에 다수의 부품장착용 보스가 연장 형성되며, 정해진 범위내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범위제한수단이 구비되는 내측프레임부; 및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내측프레임부와 함체를 형성하게 되도록 결합되며, 그 일측 부위가 렌즈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평면부로 형성되는 외측프레임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입사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회동범위제한수단이, 내측프레임부의 양 측벽체로부터 탄력을 발하도록 절개 형성된 한 쌍의 절개편; 상기 한 쌍의 절개편 단부들의 외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핀; 및 이러한 한 쌍의 핀들이 렌즈프레임의 회동 상태에 따라 탄력적으로 드나들 수 있도록, 카메라 케이스의 내측벽면에 핀과 상응하는 부위로 파인 복수 쌍의 핀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입사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결합수단이, 내측프레임의 결합변부에 형성되는 결합턱부; 이러한 결합턱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외측프레임의 결합선부에 형성되는 결합홈부; 및 상기한 내측프레임의 곡면벽체에 일측 결합선부 위치에서 탄력을 발하도록 돌출 형성되며, 걸림턱이 구비되도록 형성된 쐐기; 및 이러한 쐐기의 걸림턱이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외측프레임에 쐐기의 걸림턱과 상응하는 부위로 파인 쐐기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입사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며,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와 동일한 부분으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장치(2)에서 출력되는 전기적인 영상신호를 변조처리장치(4)에서 데이터의 압축과 아날로그/디지탈 신호로 변환시키게 되며, 압축 처리된 영상신호가 메모리장치(14)로 입력 저장됨과 아울러, 선택적인 조작신호에 따라 메모리장치(14)로터 출력되어 다시 변조처리장치 (4)를 거쳐 최적의 상태에서 출력시키게 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적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변조처리장치(4)는 디지털신호변조부(6)와 영상처리부(8) 및 아날로그신호변조부(1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디지탈신호변조부(6)에서는 상기 입사장치(2)로부터 입력되는 영산신호에 대한 전기적인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출력되는 디지털신호를 영상처리부(8)에서 메모리장치(14) 등에 필요한 상태인 압축 상태로 처리하게 되며, 아날로그신호변조부(10)에서 압축 출력 상태인 디지털 영상신호를 다시 아날로그 상태로 변조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디지털신호변조부(10)에서 압축 처리된 영상신호는 메모리장치(14)로 입력 저장되기도 하고, 선택적인 조작신호에 따라 메모리장치(14)로터 출력되어 다시 변조처리장치(4)를 거친 다음 최적의 상태에서 출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변조처리장치(4)를 거친 영상신호는 문자입력장치(16)에서 입력되는 소정의 문자영상신호와 합성되어 출력되며, 이와 같이 합성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뷰파인더(V)로도 출력되어 촬영자가 촬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입사장치(2)에서는 렌즈(L)를 통해 입사되는 영상을 CCD(C)(charge coupled device:전하결합소자)를 이용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입사장치(2)를 구성하는 렌즈(L) 및 CCD(C) 등은 도 3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렌즈프레임(20)에 내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렌즈프레임(20)은 회동범위가 제한되도록 케이스(18)에 힌지 결합되는 내측프레임부(22)와 이러한 내측프레임부(22)에 결합되는 외측프레임부(24)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내측프레임부(22)는 카메라의 케이스(18) 상측 부위에서 렌즈(L)의 노출 상태로 회동 가능하도록 그 양측벽체(26)(28)의 회전 중심으로 힌지핀(30) (32)이 각각 형성된 반원통 형상의 구조로 형성되어 케이스(18)에 힌지 결합되고, 그 내부에 다수의 부품장착용 보스(34)(36)(38)가 연장 형성되며, 정해진 범위내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범위제한수단(40)이 구비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외측프레임부(24)는 결합수단(50)에 의해 상기 내측프레임부(22)와 함체를 형성하게 되도록 결합되며, 그 일측 부위가 렌즈(L)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평면부(25)로 조성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범위제한수단(40)은, 한 쌍의 절개편(42)(44) 및 핀(46)(48), 그리고 복수 쌍의 핀홈부(47)(49)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한 쌍의 절개편(42) (44)은 상기한 내측프레임부(22)의 양 측벽체(26)(28)로부터 탄력을 발하도록 절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핀(46)(48)은 상기한 한 쌍의 절개편(42)(44) 단부들의 외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복수 쌍의 핀홈부(47)(49)는 상기 한 쌍의 핀(46)(48)들이 렌즈프레임(20)의 회동 상태에 따라 탄력적으로 드나들 수 있도록, 카메라 케이스(18)의 내측벽면에 핀(46)(48)과 상응하는 부위로 파여 있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50)은, 결합턱부(52)와 결합홈부(54) 및 쐐기(56)와 쐐기홈부(58)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결합턱부(52)가 내측프레임부(22)와 결합되는 외측프레임부(24)의 변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결합홈부(54)가 상기한 결합턱부(52)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내측프레임부(22)의 변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쐐기(56)는 외측프레임부(24)의 양 측벽체 다수 위치에 탄력을 발할 수 있는 구조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쐐기(56)의 걸림턱 부분이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쐐기홈부(58)가 내측프레임부(22)에 쐐기(56)의 걸림턱부분과 상응하는 부위로 파여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입사장치는, 렌즈프레임(20) 전체를 케이스(18)로부터 적절히 회동시킴으로써, 입사각이 조절되도록 하며, 그 회동 위상상태에 따라 해당되는 핀홈부(47)(49)에 핀(46)(48)이 끼워지게 됨으로써 렌즈프레임(20)이 더 이상 회동되지 않게 되고 이로써 렌즈프레임(20)의 회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입사장치는, 필요에 따라 기구적으로 입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피사체를 다양한 각도에서 쉽게 촬상할 수 있게 되도록 한다는데 그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후 변조처리장치(4)에 의해 압축/변환/합성 처리 및 출력 표시되는 피사체의 영상이 입사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입사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변조처리장치(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하결합소자(C) 및 이에 입사영상을 투사시키는 렌즈(L)가 렌즈프레임(20)에 내장되도록 구성되되,
    상기한 렌즈프레임(20)이 카메라의 케이스(18) 상측 부위에서 렌즈(L)의 노출 상태로 회동 가능하도록 그 양측벽체(26)(28)의 회전 중심으로 힌지핀(30)(32)이 각각 형성된 반원통 형상의 구조로 형성되어 케이스(18)에 힌지 결합되고, 그 내부에 다수의 부품장착용 보스(34)(36)(38)가 연장 형성되며, 정해진 범위내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범위제한수단(40)이 구비되는 내측프레임부(22); 및
    결합수단(50)에 의해 상기 내측프레임부(22)와 함체를 형성하게 되도록 결합되며, 그 일측 부위가 렌즈(L)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평면부(25)로 형성되는 외측프레임부(2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입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동범위제한수단(40)이,
    내측프레임부(22)의 양 측벽체(26)(28)로부터 탄력을 발하도록 절개 형성된 한 쌍의 절개편(42)(44);
    상기 한 쌍의 절개편(42)(44) 단부들의 외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핀(46)(48); 및
    이러한 한 쌍의 핀(46)(48)들이 렌즈프레임(20)의 회동 상태에 따라 탄력적으로 드나들 수 있도록, 카메라 케이스(18)의 내측벽면에 핀(46)(48)과 상응하는 부위로 파인 복수 쌍의 핀홈부(47)(4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입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결합수단(50)이,
    상기 외측프레임부(24)의 결합 변부에 형성되는 결합턱부(52);
    상기한 결합턱부(52)가 끼워질 수 있도록 내측프레임부(24)의 결합 변부에 형성되는 결합홈부(54); 및
    상기한 외측프레임부(24)의 양 측벽체 다수개소에 탄력을 발할 수 있는 구조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쐐기(56); 및
    이러한 쐐기(56)의 걸림턱 부분이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프레임부(24)의 결합 변부에 쐐기(56)의 걸림턱부분과 상응하는 부위로 파인 쐐기홈부(5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입사장치.
KR2020000034439U 2000-12-08 2000-12-08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입사장치 KR2002235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439U KR200223522Y1 (ko) 2000-12-08 2000-12-08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입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439U KR200223522Y1 (ko) 2000-12-08 2000-12-08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입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522Y1 true KR200223522Y1 (ko) 2001-05-15

Family

ID=73061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439U KR200223522Y1 (ko) 2000-12-08 2000-12-08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입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5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8452B2 (en) 2007-04-04 2010-03-16 Samsung Sdi Co., Ltd. Carbon nanotube hybrid system using carbide-derived carbon, a method of making the same, an electron emitter comprising the same, and an electron emission device comprising the electron emit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8452B2 (en) 2007-04-04 2010-03-16 Samsung Sdi Co., Ltd. Carbon nanotube hybrid system using carbide-derived carbon, a method of making the same, an electron emitter comprising the same, and an electron emission device comprising the electron emit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6280B2 (en) Digital camera which detects a connection to an external device
JP3929696B2 (ja) カメラ
JP3945052B2 (ja) レンズ交換式電子カメラ、交換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本体
US7830447B2 (en) Imaging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image pickup elements
JP2008141518A (ja) 撮影装置
US20070126910A1 (en) Camera
JPH08234339A (ja) 撮影用光学装置
JP3835533B2 (ja) レンズ交換式カメラ
CN102572242B (zh) 摄像装置
JP3854833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信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200223522Y1 (ko)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입사장치
JP2000013654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0023016A (ja) デジタルカメラ
JPH11243501A (ja) カード型カメラ
JP2000187268A (ja) レンズ交換式カメラ
KR200222830Y1 (ko)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모드전환스위치
KR200223507Y1 (ko)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뷰파인더
JP2012137610A (ja) 撮像装置
JPH10126654A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H08211978A (ja) ビデオカメラ入力装置
KR100423616B1 (ko) 영상 보정기능이 있는 ccd 카메라
JP4180234B2 (ja) 撮影装置
JP2001141417A (ja) 視差量補正装置
JP3799718B2 (ja) 画像記録システム
JP2004032713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