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007Y1 - 이중벽 격자관 - Google Patents

이중벽 격자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007Y1
KR200223007Y1 KR2020000032021U KR20000032021U KR200223007Y1 KR 200223007 Y1 KR200223007 Y1 KR 200223007Y1 KR 2020000032021 U KR2020000032021 U KR 2020000032021U KR 20000032021 U KR20000032021 U KR 20000032021U KR 200223007 Y1 KR200223007 Y1 KR 200223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wall
hollow body
double
lat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용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용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용전
Priority to KR2020000032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0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007Y1/ko

Links

Landscapes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벽 격자관에 관한 것으로서 이중벽 격자관을 이루는 벽면의 중공체 내방으로 격자형의 보강 심(shim)를 더 구비함으로서,
외력에 대한 관체의 강도 보강과 이로 인한 내구성 및 유체 이송에 대한 신뢰도 향상을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
상기 이중벽 격자관(2)은;
중공체(20)내방 원주면을 따라 '+'형상의 격자형 보강 심(shim;23)을 비롯하여 중공체(20)의 각 모서리를 상호 연결하여 대각선인 '×'형 격자 및 중공체(20)의 내접면 일측 혹은 모서리 일측만을 연결하는 선형(線形)인 '/'형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벽 격자관{Duplication pipe}
본 고안은 이중벽 격자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압력용 배관으로 벽면 내방에 중공부가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오,하수의 배출등에 적용되는 이중벽 격자관에, 외력에 의한 배관 파손 억제를 위해 중공부 내방으로 보강 심(shim)를 더 구비한 이중벽 격자관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체(管體)는 기체를 비롯한 액체와 같은 유체를 원하는 목적지까지 기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관체는 그 내방을 유동하는 유체의 종류와 이송 속도등에 따라 다양한 재질과 형상 편차를 나타내는데,
이송 유체가 유류를 비롯한 가스등과 같이 폭발의 위험이나 고속 이송에 따른 고압이 작용할 경우 그 재질은 금속재를 비롯하여 강화 합성수지재로서 구비되며, 그 벽체의 두께 또한 안전률이 적용된 규격으로 형성된다.
이에 반하여 생활 오수를 비롯한 일반적인 저압(비압력)유체 이송에 사용되는 관체는 일반 합성 수지재를 압출 성형으로 구비한다.
이와 같이 비압력 유체 이송에 사용되는 관체는 원자재 및 중량 절감을 위해 도 1에서와 같이 벽면 내방으로 일정한 간격의 중공체(10)를 형성하며,
상기 중공체(10)로 인해 관체는 내벽(11)과 외벽(12)으로 분리되며 이러한 내,외벽(11,12)으로 분리된 관체를 이중 벽관(1)으로 통칭한다.
상기와 같은 이중 벽관(1)은 중공체(10)를 통하여 원자재 및 중량 절감을 통한 생산 단가 하락과 시공성 향상을 도모하였다,
하지만, 상기 이중 벽관(1)은 중공체(10)로 인해 내,외벽(11,12)을 이루는 벽면의 두께(t)가 전반적인 벽면의 두께(t')보다 현격히 감소하고,
이로 인해 이중 벽관(1)에 외력이 작용하거나 취급 부주의에 의해 내,외벽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이중 벽관(1)의 손상은 이송하는 유체의 이송 신뢰도를 저하시켜 누유등의 문제점 야기는 물론 전반적인 이중벽 격자관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이중벽 격자관을 이루는 벽면의 중공체 내방으로 격자형의 보강 심(shim)를 더 구비함으로서,
외력에 대한 관체의 강도 보강과 이로 인한 내구성 및 유체 이송에 대한 신뢰도 향상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이중 벽관의 일부 파절 단면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이중벽 격자관의 일부 파절 단면이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이중벽 격자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파절 단면이 도시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2;이중벽 격자관 20;중공체
21;내벽 22;외벽
23;보강 심(shim)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이중벽 격자관의 일부 파절 단면이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이중벽 격자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파절 단면이 도시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이중벽 격자관(2)은 합성 수지재를 재질로 하여 압출 성형을 통하여 도 2에서와 같이 그 전체 형상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이중벽 격자관(2)은 벽면 내방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중공체(20)의 의해 내벽(21)과 외벽(22)으로 분리 구성된다.
상기 이중벽 격자관(2)은 벽면을 내벽(21)과 외벽(22)으로 분리하는 중공체(20)내방으로 격자형의 보강 심(shim;23)을 더 구비하는데,
이러한 보강 심(23)은 중공체(20)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되는데, 그 격자 형상을 '+'형을 비롯하여 이를 변형한 '×' 격자형 보강 심(23)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중벽 격자관(2)의 중공체(20) 내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격자형의 보강 심(23)은 비압력관 가운데에서도 비교적 대용량 혹은 지표면에서부터 일정 깊이 이하로 매몰되어 유체를 이송하는 대직경의 이중벽 격자관(2)에 사용되며,
이에 반하여 지표면과 근접하게 매몰되어 소용량의 유체를 이송하는 소직경의 이중벽 격자관(2)은,
도 3에서와 같이 중공체 내방에 형성되는 보강 심(23)을 내접면 일측 혹은 모서리 일측만을 연결하는 '/'형 보강 심(23)으로서 적용 가능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인 이중벽 격자관은 압출 금형을 통해 원통형의 관체로 성형되는데,
이 과정에서 원재료의 절감과 중량 감소등의 목적으로 벽면 내방으로 등간격의 중공체(20)를 일정한 규격으로 형성한다.
상기 중공체(20)는 관체의 벽면을 내,외벽(21,22)으로 분리하는 매개체로 작용함은 물론 진공 상태를 통한 완충 작용을 수행한다.
하지만, 이러한 중공체(20)는 관체에 외력이 작용하여 내,외벽(21,22) 가운데 일측이 파손될 경우 별다른 지지점을 형성하지 못하여 양측 벽이 동시에 파손되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를 보완한 것이 본 고안에서와 같이 중공체(20) 내방으로 보강 심(23)을 일체로 구비함으로서,
외력이 내,외벽(21,22) 일부에 작용할 경우 중공체(20)내의 보강 심(23)이 중공체(20) 내면을 지지하여 각종 응력에 대한 내응력성이 증대되어 파손을 억제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뿐만 아니라, 지나친 외력 작용에 의해 내,외벽(21,22) 일측이 파손된다 하더라도 중공체(20)내의 보강 심(23)을 통해 손상되지 않은 벽면을 지지하여 전체적인 이중벽 격자관(2)의 내구성 증대를 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와 같이 중공체 내방으로 형성된 보강 심(23)은,
종래 중공체를 형성한 이중벽 격자관이 중공체를 통하여 원재료 및 중량 감소의 목적은 달성하였으나, 중공체로 인한 강도 저하를 초래하여 전반적인 이중벽 격자관의 내구성 저하를 야기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이 적용된 이중벽 격자관(2)은 중공체(20) 내방에 격자형 혹은 선형(線形)의 보강 심(23)을 통해 원재료 및 중량 절감과 동시에 강도 증대의 실현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인 이중벽 격자관은 원재료 및 중량 절감을 위해 생성되는 중공체 내방으로 강도 보강을 목적으로 하는 격자형 및 선형의 보강 심을 더 구비함으로서 외력에 의한 손상을 억제하여 관체의 내구성 증대 및 이를 통한 유체의 이송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그 전체 형상이 원통형으로 합성 수지재를 재질로 하여 압출 성형을 통하여 벽면 내방에는 등간격으로 형성된 중공체(20)에 의해 내벽(21)과 외벽(22)으로 분리 구성된 이중 벽관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이중 벽관은;
    중공체(20)내방 원주면을 따라 '+'형상의 격자형 보강 심(shim;23)을 더 구비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격자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심(23)은 중공체(20)의 각 모서리를 상호 연결하여 대각선인 '×'형 격자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격자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심(23)은 중공체(20)의 내접면 일측 혹은 모서리 일측만을 연결하는 선형(線形)인 '/'형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격자관.
KR2020000032021U 2000-11-16 2000-11-16 이중벽 격자관 KR200223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021U KR200223007Y1 (ko) 2000-11-16 2000-11-16 이중벽 격자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021U KR200223007Y1 (ko) 2000-11-16 2000-11-16 이중벽 격자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884A Division KR20020037908A (ko) 2000-11-16 2000-11-16 이중벽 격자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007Y1 true KR200223007Y1 (ko) 2001-05-15

Family

ID=73091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021U KR200223007Y1 (ko) 2000-11-16 2000-11-16 이중벽 격자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00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908A (ko) * 2000-11-16 2002-05-23 서상윤 이중벽 격자관
KR100398452B1 (ko) * 2001-02-15 2003-09-26 손정윤 강도가 향상된 합성수지관의 성형방법
KR100597091B1 (ko) * 2002-05-21 2006-07-07 민병이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 고강도 상하수관용 및 전선관용 나선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908A (ko) * 2000-11-16 2002-05-23 서상윤 이중벽 격자관
KR100398452B1 (ko) * 2001-02-15 2003-09-26 손정윤 강도가 향상된 합성수지관의 성형방법
KR100597091B1 (ko) * 2002-05-21 2006-07-07 민병이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 고강도 상하수관용 및 전선관용 나선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8864B2 (en) Radial partition device, in particular radial buckle arrestor for a double-walled deep water pipeline
US3379221A (en) Underground conduit
KR200223007Y1 (ko) 이중벽 격자관
KR20020037908A (ko) 이중벽 격자관
CN103644397B (zh) 抗侧压多层橡胶管
US20040112452A1 (en) Collapse tolerant flexible pi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05465498A (zh) 内肋增强螺旋波纹缠绕管
KR20120113274A (ko) 파이프 제조에 사용되는 중공 프로파일
CN209781891U (zh) 一种内肋增强螺旋波纹管
CN211951788U (zh) 高密封性钢筋混凝土管道接头
CN209429242U (zh) 一种塑料检查井
KR101072427B1 (ko) 삼중벽을 구비한 관체
KR100415121B1 (ko) 사출성형을 이용한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CN210344580U (zh) 一种内肋增强螺旋波纹管
CN208605751U (zh) 一种hdpe中空壁塑钢缠绕管
FI115484B (fi) Putken valmistuksessa käytettävä onteloprofiili
CN103502712B (zh) 有连接接管的空心体
CN214171669U (zh) 一种增强型排污管
CN220416486U (zh) 一种hdpe中空壁缠绕管
CN209054192U (zh) 一种城市地下管道
CN110985781A (zh) 一种水泵水轮机顶盖高压管路联接结构
KR200277321Y1 (ko) 3중벽관
US20130061972A1 (en) Fluid filled jacket for concrete pipe
CN214037195U (zh) 一种中空壁塑钢缠绕管
CN208735029U (zh) Hdpe双壁波纹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