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775Y1 - 어린이용 자전거의 안장 - Google Patents

어린이용 자전거의 안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775Y1
KR200222775Y1 KR2020000032193U KR20000032193U KR200222775Y1 KR 200222775 Y1 KR200222775 Y1 KR 200222775Y1 KR 2020000032193 U KR2020000032193 U KR 2020000032193U KR 20000032193 U KR20000032193 U KR 20000032193U KR 200222775 Y1 KR200222775 Y1 KR 2002227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bicycle
children
present
butt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신천
Original Assignee
삼천리자전거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천리자전거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천리자전거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2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7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775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린이용 자전거의 안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탑승자가 안착되는 안장의 중앙부와 양측이 유선형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탑승자의 안정된 승차감을 유도하고 허벅지와 둔부의 통증을 경감시키는 어린이용 자전거의 안장이다.

Description

어린이용 자전거의 안장{CHILDRENS BICYCLE SADDLE}
본 고안은 어린니용 자전거의 안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탑승자가 안착되는 안장의 중앙부와 양측이 유선형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탑승자의 안정된 승차감을 유도하고 허벅지와 둔부의 통증을 경감시키는 자전거 안장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전거는 운전자가 탑승하여 가까운 거리를 이동하는데 주로 사용되며 어린이에서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자전거는 몸체를 이루는 후레임과, 페달과 연결된 뒷바퀴와, 전방의 조향핸들과 결합된 앞바퀴가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후레임의 중간 상단부에 돌출된 고정봉과 결합된 안장에 운전자가 탑승하게 된다.
그러나, 어린이용 자전거의 안장은 안장후레임과 외피의 사이에 쿠션층이 형성되어 엉덩이가 안착되는데, 이러한 안장은 전방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된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장에 어린이(이하 '탑승자'라 함)가 탑승하여 주행중 페달을 밟거나 핸들조작에 따라 인체가 요동하여 안장의 안착부 및 모서리부와 접촉하는 둔부와 허벅지의 사이(이하 '둔부'라 함)에 심한 통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둔부의 위치가 일측으로 솔리게 되어 안정감을 상실하게 되고 안정된 주행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이는, 도로의 구조물 내지는 차량 등과 충돌하여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탑승자가 안착되는 안장의 안착부를 오목하게 요입되고 양측으로 곡면부가 형성되어 탑승자의 둔부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형성된 어린이용 자전거의 안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일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용 자전거의 안장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어린이용 자전거의 안장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 - 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안장 12: 안착부
14: 곡면부 16: 외피
18: 안장후레임 100: 고정봉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일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용 자전거의 안장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어린이용 자전거의 안장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A - 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안장(10)은 자전거의 몸체를 이루는 후레임의 상부에 돌출된 고정봉(100)과 안장후레임(18)이 결합된다. 상기 안장후레임(18)은 중앙부가 볼록한 곡면을 이루고 양측 모서리부가 둥글게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장후레임(18)과 외피(16)의 사이에는 쿠션층(20)이 형성된다. 상기 외피(16)는 안장(10)의 외형을 이루며 상기 안장후레임(18)과 결합된다.
상기 안장(10)은 중앙부가 오목하게 요입되어 유선형의 곡면을 이루는 안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2)는 도 3에서처럼, 중앙이 볼록하게 완만한 곡면을 이루고 양측 모서리부가 둥근모양의 곡면을 이루는 곡면부(14)가 형성되어 탑승자의 둔부가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어린이용 자전거의 안장은 탑승자의 둔부가 안정적으로 안착부에 안착됨으로써 착석감이 향상하고, 바른자세에서 안정적으로 운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페달을 밟거나 핸들조작 등의 탑승자의 동작에 따른 둔부의 통증이 없어 장시간의 주행이 가능하고, 이에 따른 피로도를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안장후레임과 고정봉이 결합되고, 상기 안장후레임과 외피의 사이에 쿠션층이 형성되어 탑승자가 안착되는 자전거의 안장에 있어서;
    상기 안장(10)은 중앙부가 오목하게 요입된 안착부(12)와, 상기 안착부(12)의 양측으로 곡면부(1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자전거의 안장.
KR2020000032193U 2000-11-17 2000-11-17 어린이용 자전거의 안장 KR200222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193U KR200222775Y1 (ko) 2000-11-17 2000-11-17 어린이용 자전거의 안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193U KR200222775Y1 (ko) 2000-11-17 2000-11-17 어린이용 자전거의 안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775Y1 true KR200222775Y1 (ko) 2001-05-15

Family

ID=73091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193U KR200222775Y1 (ko) 2000-11-17 2000-11-17 어린이용 자전거의 안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7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182683A (ja) 車両
JP2002264763A (ja) 車両のエアバッグ構造
JP2001219884A (ja) 鞍乗型車両用エアバック装置
US4796901A (en) Saddle-seated vehicles
KR200222775Y1 (ko) 어린이용 자전거의 안장
ITTO990087A1 (it) Struttura di poggiapiedi per motociclo.
CN202448927U (zh) 一种汽车座椅
JPH0558204A (ja) 自動車の座席の配設構造
JP2004001653A (ja) 自転車用サドル及び自転車用運転者支持構造
JP2008120342A (ja) 車両の車体構造
JPH0417825B2 (ko)
JP4400261B2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構造
CN216102521U (zh) 座垫和代步车
JP3884671B2 (ja) 軌道走行自転車
JPS6260315B2 (ko)
KR100210144B1 (ko) 차량의 유아용 시트벨트
JPH0512192B2 (ko)
JPS629187Y2 (ko)
JPH0110317Y2 (ko)
JPS59195473A (ja) 車両のロ−ルバ−装置
JP2007083958A (ja) 小型電動車両のハンドルにおけるミラー取付け構造
JPH115578A (ja) スクータにおけるフートボード構造
JPS6330628Y2 (ko)
JP2523348Y2 (ja) 自転車用サドルの形状
JPH0631049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