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728Y1 - 중공벽용 행거 - Google Patents

중공벽용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728Y1
KR200222728Y1 KR2020000021812U KR20000021812U KR200222728Y1 KR 200222728 Y1 KR200222728 Y1 KR 200222728Y1 KR 2020000021812 U KR2020000021812 U KR 2020000021812U KR 20000021812 U KR20000021812 U KR 20000021812U KR 200222728 Y1 KR200222728 Y1 KR 2002227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hollow wall
hanger
fram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아키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아키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아키빌
Priority to KR2020000021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7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728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공벽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중공벽(50)에 액자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로는 일정간격을 갖는 수평부(10)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부(10)의 전면 단부에는 중공벽(50)에 못(60)이 예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기울기로 못설치홀(21)이 구비된 못고정부(20)가 형성되며, 몸체 후면으로는 내측 상부로 못설치홀(21)을 통해 예각으로 위치되는 못(60)을 중공벽(5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관통홀(31)이 구비되어, 벽면과 밀착되는 지지부(30)가 형성되며, 몸체 하부로는 액자(70)를 설치할 수 있는 걸이부(40)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본 고안안인 중공벽용 행거는 못고정부(20)의 못설치홀(21)과 관통홀(31)을 통해 예각으로 설치되는 못(60)의 고정력과 몸체 하부의 걸이부(40)에 설치되는 액자(70)의 하중에 의해 무게중심이 행거(100)의 몸체 후측 지지부(30)로 이동되어, 행거(100)는 중공벽(50)의 벽면(51)에 밀착 고정되면서, 액자(70)를 견고하고, 중공벽(50)의 손상없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중공벽용 행거 {Hanger for hollow wall}
본 고안은 중공벽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중공벽면에 액자등을 설치할 경우 고정력 및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행거를 형성하여 액자등의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의 건축물의 벽면은 시공의 편리성 및 단열재의 용이한 설치를 위하여 중공벽이 많이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중공벽은 종래의 콘크리트 벽면과는 달리 내부에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부를 갖고 있으며, 판재를 이용하여 벽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벽면에 액자 등을 설치할 경우에는 못을 벽면에 타격하여 고정시킨 후 액자의 걸이부를 못에 걸에 액자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건축물의 중공벽에 액자등을 설치할 경우에는 중공벽 내부의 공간부와 판재의 두께가 비교적 얇게 설정되기 때문에 설치시 많은 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건축물의 중공벽에 액자등을 설치할 경우 판재의 두께와 내부의 공간부로 인하여 하중이 무거운 액자등은 설치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판재의 두께와 공간부로 인하여 못을 이용할 경우 액자를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력 및 고정력이 저하되므로, 설치후에도 장기간 고정이 어려운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별도의 연결구를 사용하는 경우도 단순히 연결구에 다수개의 못등을 타격하여 고정시킨 후 액자를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증대되고, 이역시 일정시간 경과후에는 벽면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물의 중공벽면에 액자등을 설치할 경우 고정력 및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행거를 형성하여 액자등의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중공벽용 행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중공벽용 행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는 본 고안인 중공벽용 행거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중공벽용 행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평부 20 - 못고정부
21 - 못설치홀 22 - 보강부
23 - 접지면 30 - 지지부31 - 관통홈 40 - 걸이부50 - 중공벽 51 - 벽면60 - 못 70 - 액자80 - 연결구 100 - 행거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물의 중공벽(50)에 액자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로는 일정간격을 갖는 수평부(10)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부(10)의 전면 단부에는 중공벽(50)에 못(60)이 예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기울기로 못설치홀(21)이 구비된 못고정부(20)가 형성되며, 몸체 후면으로는 내측 상부로 못설치홀(21)을 통해 예각으로 위치되는 못(60)을 중공벽(5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관통홀(31)이 구비되어, 벽면과 밀착되는 지지부(30)가 형성되며, 몸체 하부로는 액자(70)를 설치할 수 있는 걸이부(40)가 일체로 형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안인 중공벽용 행거는 못고정부(20)의 못설치홀(21)과 관통홀(31)을 통해 예각으로 설치되는 못(60)의 고정력과 몸체 하부의 걸이부(40)에 설치되는 액자(70)의 하중에 의해 무게중심이 행거(100)의 몸체 후측 지지부(30)로 이동되어, 행거(100)는 중공벽(50)의 벽면(51)에 밀착 고정되면서, 액자(70)를 견고하고, 중공벽(50)의 손상없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본 고안인 중공벽용 행거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중공벽용 행거의 사용상태를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중공벽용 행거는 건축물의 중공벽(50)에 액자 등을 견고하면서,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로는 일정간격을 갖는 수평부(10)가 구비되고, 수평부(10)의 전면 단부에는 못설치홈(21)을 구비한 못고정부(20)가 일정 경사의 기울기를 갖고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소정의 폭과 크기로 형성되는 행거(100)는 중공벽(50)에 설치되는 액자(70)의 크기 및 무게를 감안하여 행거(100)의 폭과 크기를 다양하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대략적으로 설치되는 액자(70) 크기의 1/5 ~ 1/10 내외로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상기 행거(100)의 몸체 상부로 형성되는 수평부(10)는 후술될 행거(100)를 중공벽(50)에 부착시키는 못(60)의 고정력과 걸이부(40)에 설치되는 액자(70)의 하중을 감안하여 비교적 짧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이는, 행거(100)의 걸이부(40)로 걸려져 발생되는 액자(70)의 하중이 행거(100)의 몸체 후측으로 형성되는 지지부(30)의 상부와 수평부(10)로 집중되므로, 이 경우 비틀림 변형 및 굽힘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30)의 길이와 액자(70) 하중을 감안하여 수평부(10)는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따라서, 상기 행거(100)의 몸체 상부로 형성되는 수평부(10)는 못(60)을 설정된 각도로 위치 고정시키는 역활과, 후술될 지지부(30)가 중공벽(50)의 벽면(51)으로 보다 견고히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즉, 행거(100)의 몸체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비교적 짧게 수평부(10)가 형성되므로, 못(60)을 행거(100)의 못설치홀(21)과 지지부(30)의 관통홀(31)을 통해 예각으로 고정시킨 후 액자(70)를 행거(100)에 설치할 경우 못고정부(20)와 지지부(30)로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또한, 상기 수평부(10)는 소정의 경사 기울기(행거를 고정시키기 위해 예각으로 설치되는 못의 각도)를 갖고 중공벽(50)에 고정되는 못(60)의 고정력 및 지지력을 향상시키며, 못(60) 설치후 중공벽(50)으로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중공벽(50)의 손사 및 훼손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하는 것이다.한편, 상기 수평부(10)의 전면 단부에는 예각으로 설치되는 못(6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정한 경사각도를 갖고 못설치홀(21)을 구비한 못고정부(20)가 형성된다.그리고, 상기 못고정부(20)의 못설치홀(21)은 지지부(30)의 관통홀(31)과 예각으로 형성되어 못(60)의 설치각도를 예각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즉, 상기 행거(100)의 못고정부(20)와 지지부(30)의 관통홀(31)은 행거(100)를 중공벽(50)의 벽면(5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이때, 못고정부(20)의 못설치홀(21)과 관통홀(31)이 갖는 경사각도는 예각으로 설정되므로, 못(60)의 고정후 행거(100)의 지지부(30)로 무게중심이 이동될 수 있는 예각으로 각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는 결국,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못(60)이 못고정부(20)의 못설치홀(21)과 지지부(30)의 관통홀(31)을 통해 중공벽(50)의 벽면(51)에 소정의 경사각도(예각)로 상부에서 하부방향인 예각으로 고정된 후, 액자(70)를 행거(100)의 걸이부(40)에 설치하면, 액자(70)의 하중과 못(60)이 고정된 경사각도에 의해 행거(100)의 지지부(30)가 중공벽(50)의 벽면(51)에 밀착 지지되면서, 액자(70)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또한, 상기 못고정부(20)의 못설치홀(21) 하부에는 소정의 견사 기울기(θ)를 갖고 고정되는 못(60)을 저면에서 가이드 하며, 동시에 못고정부(20) 및 못설치홀(21)로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강부(22)가 형성된다.즉, 상기 보강부(22)는 못고정부(20)인 못설치홀(21)과 지지부(30)의 관통홀(31)을 통해 예각으로 중공벽(50)에 설치된 못(60)이 액자(70)의 하중으로 인하여 못설치홀(21)이 형성된 못고정부(20)의 접지면(23)과 수평부(10)로 집중되는 하중을 하측에서 연장되게 구비되어, 못설치홀(21)이 위치되는 접지면(23)과 수평부(10)로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이는 결국, 행거(100)의 못설치홀(21)이 형성되는 접지면(23)에 못(60)의 머리가 밀착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액자(70)의 하중으로 인하여 못고정부(20)의 접지면(23)과 수평부(10)로 집중되는 하중발생시 보강부(22)에 의해 접지면(23)의 비틀림 변형 및 굽힘변형을 연장된 보강부(22)가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여 접지면(23)이 구비된 못고정부(20)와 수평부(10)의 변형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따라서, 상기 본 고안인 중공벽용 행거는 못고정부(20)의 못설치홀(21)과 지지부(30)에 구비된 관통홀(31)이 예각으로 중공벽(50)에 고정되는 못(60)의 설치각도에 맞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행거(100)의 걸이부(40)에 액자(70)를 설치하면, 액자(70)의 하중이 못고정부(20)가 아닌 후측의 지지부(30)로 집중되므로, 중공벽(50)에서 못(60)이 이탈되거나, 중공벽(50)의 손상없이 지지부(30)와 중공벽(50)의 면접촉에 의해 밀착 지지되면서, 액자(70)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그리고, 상기 행거(100)의 지지부(30) 하부에는 액자(70)를 걸어서 위치시킬 수 있도록, 걸이부(40)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40)는 지지부(30)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면서, 상부는 트여지게 형성된다.
즉, 액자(70)의 상부에 액자 설치를 위해 형성되는 끈이나, 고리부와 같은 연결구(80)를 행거(100)에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걸이부(40)의 상부는 트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이부(40)는 지지부(30)가 중공벽(50)의 벽면(51)과 밀착되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높이를 지지부(30)의 몸체 중앙부 위치까지 설정하여, 하부로 집중되는 하중을 지지부(3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인 중공벽용 행거(100)는 수평부(10)와 못고정부(20)와 그리고, 지지부(30)와 걸이부(40)를 하나의 판재를 절곡시켜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못고정부(20)의 못설치홀(21)과 지지부(30)의 관통홀(31)이 소정의 기울기(예각으로 설치되는 못의 설치각도)를 갖고 형성되어, 중공벽(50)과 고정되므로, 행거(100)의 걸이부(40)에 액자(70)를 설치하면, 액자(70)의 하중이 못고정부(20)가 아닌 지지부(30)와 하부로 집중되어, 중공벽(5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못(60) 또한 예각으로 설치되므로, 사용중 못(60)의 이탈없이 액자(70)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앵커의 못설치홀과 지지부의 관통홀이 예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의 홀들을 통해 못이 관통되어 고정되므로, 못으로 집중되는 하중을 지지부와 앵커 하부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중공벽의 손상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정정) 건축물의 중공벽(50)에 액자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몸체 상부로는 일정간격을 갖는 수평부(10)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부(10)의 전면 단부에는 중공벽(50)에 못(60)이 예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기울기로 못설치홀(21)이 구비된 못고정부(20)가 형성되며, 몸체 후면으로는 내측 상부로 못설치홀(21)을 통해 예각으로 위치되는 못(60)을 중공벽(5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관통홀(31)이 구비되어, 벽면과 밀착되는 지지부(30)가 형성되며, 몸체 하부로는 액자(70)를 설치할 수 있는 걸이부(40)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벽용 행거.
KR2020000021812U 2000-07-31 2000-07-31 중공벽용 행거 KR200222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812U KR200222728Y1 (ko) 2000-07-31 2000-07-31 중공벽용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812U KR200222728Y1 (ko) 2000-07-31 2000-07-31 중공벽용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728Y1 true KR200222728Y1 (ko) 2001-05-15

Family

ID=73086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812U KR200222728Y1 (ko) 2000-07-31 2000-07-31 중공벽용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7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4597A (en) Fastening device
US6895721B2 (en) Fixture for building boards, a building board having the fixture fixed thereto, and the method of fastening the building boards
US6505448B2 (en) External wall structure
KR100825009B1 (ko) 건축물의 목재데크판 장착 구조
KR200222728Y1 (ko) 중공벽용 행거
KR200356434Y1 (ko) 천장패널 설치용 인서트
KR102530892B1 (ko) 외장재 설치가 용이한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KR100360198B1 (ko) 건물외장용 석판 연결 고정구
JP2849305B2 (ja) 軒天井の取付構造
KR101050106B1 (ko) 창호 지지용 브래킷
KR102132227B1 (ko) 벽 부착용 행거
JP2018165451A (ja) 柵取付部材及び壁構造体
KR960000430Y1 (ko) 천정판 부착용 간받이의 체결장치
KR101944334B1 (ko) 일체형 사이드레일 클램프
JPH0650580Y2 (ja) 外囲体のキャップ嵌合構造
KR200205403Y1 (ko) 설치가 용이한 액자
KR20210003662A (ko) 벽 부착용 행거
JP2521456Y2 (ja) 外装材接続金具
JPS5911124Y2 (ja) 建物下部の構造
JP6787767B2 (ja) 仕切ユニット
JP3146875B2 (ja) 軒樋支持具
KR20230145648A (ko) 지름이 0.7mm 이하인 핀으로 삽입하거나 못으로 박아서 설치하는 행거
JP3414695B2 (ja) 内壁材固定機能を兼ね備えたサイディング材固定具
JPH03911B2 (ko)
JP2883309B2 (ja) 床パネル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