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662A - 벽 부착용 행거 - Google Patents

벽 부착용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662A
KR20210003662A KR1020200052921A KR20200052921A KR20210003662A KR 20210003662 A KR20210003662 A KR 20210003662A KR 1020200052921 A KR1020200052921 A KR 1020200052921A KR 20200052921 A KR20200052921 A KR 20200052921A KR 20210003662 A KR20210003662 A KR 20210003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ase
hanger
fixtur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태
Original Assignee
김준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태 filed Critical 김준태
Priority to KR1020200052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3662A/ko
Publication of KR20210003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6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22Pin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22Weight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개시되는 벽 부착용 행거는, 판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후면에 구비되며, 설정된 제1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가로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핀; 상기 베이스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기둥형상으로 구비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의 후면까지 관통하여 구비되고, 말단 일부가 벽면에 박혀 고정되는 고정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벽 부착용 행거{Hanger for attaching on the wall}
본 발명(Disclosure)은, 벽 부착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핀을 이용하여 벽지에 삽입하여 고정하되, 벽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허용중량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벽 부착용 행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벽 부착용 행거는 벽에 부착되거나 고정되어 중량물을 벽에 거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테리어 소품으로서, 다양한 종류 및 형태가 제공되고 있다.
벽 부착용 행거는 벽에 부착되거나 고정되는 방식에 따라 거치할 수 있는 중량물의 허용중량이 결정된다.
공지의 방식으로,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재에 열을 가하여 유동성을 가지게 한 후 벽에 붙혀 고정하는 방식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경우, 거치가 허용되는 중량은 벽(또는 벽지)과 합성수지재 사이 전단력에 의존하게 되며, 벽지의 표면이 찢어지는 경우 거치된 중량물이 낙하되어 손상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다른 방식으로, 위와 같이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벽에 붙힌 후 못을 박아 고정하는 방식이 소개되고 있으나, 이 경우 제공되는 못의 전체 길이를 벽에 박아 넣어야만 행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 다른 방식으로, 합성수지재와 못을 대신하여, 벽지와 벽 사이에 들뜬 부분에 삽입되는 복수의 핀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의 벽 부착용 행거가 소개되어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중량물의 무게가 커지는 경우 복수의 핀에 의해 벽지가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되는데, 이 경우 벽지의 손상 범위가 넓어 수요자에게 큰 불만사항이 되고 있다.
또한, 벽지가 찢어지지 않더라도 중량물의 하중에 의해 핀이 휘어지면서 벽지의 변형을 초래하여, 해당 벽 부착용 행거를 제거한 자리는 미관이 크게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공지의 행거 구조는 중량물을 걸어서 벽에 거치할 수 있는 구조만을 채용하고 있으며, 이는 다양한 인테리어 소품을 벽에 거치하고자 하는 수요자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49578호
본 발명(Disclosure)은, 핀을 이용하여 벽지에 삽입하여 고정하되, 벽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허용중량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벽 부착용 행거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벽 부착용 행거는, 판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후면에 구비되며, 설정된 제1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가로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핀; 상기 베이스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기둥형상으로 구비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의 후면까지 관통하여 구비되고, 말단 일부가 벽면에 박혀 고정되는 고정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벽 부착용 행거에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베이스의 후면 측 말단이 첨단형으로 구비되고, 외면이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 측 말단에 십자형의 홈이 형성된 머리를 가지는 스크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벽 부착용 행거에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베이스의 후면 측 말단이 첨단형으로 구비되고, 단면이 일정한 기둥형상을 가지는 못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벽 부착용 행거에서, 상기 고정구는, 말단에 단면적이 확대된 머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벽 부착용 행거에서, 상기 후크를 제외한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되는 보조고정구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벽 부착용 행거에서, 상기 후크는, 상기 베이스의 전면으로부터 상향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후크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말단이 상기 벽면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벽 부착용 행거에서, 상기 고정구의 말단은 상기 제1 위치보다 높은 제2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벽 부착용 행거에서, 상기 베이스의 후면에 가로방향으로 파여져 형성되는 핀 결합홈; 및 상기 핀 결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핀 고정부재;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핀은 상기 핀 고정부재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후면과 평행하게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핀을 이용하여 벽지에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구의 말단 일부를 벽면에 박아 고정함으로서, 후크에 의해 지지되는 중량물의 허용중량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크를 그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고정구가 구비됨으로서, 거치되는 중량물의 중량에 의해 복수의 핀이 휘어지면서 벽지가 늘어지거나 찢어지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또한 고정구에 의한 외관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구 전체를 벽에 박아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고정구의 말단 일부만을 벽에 박아 고정하는 것으로 중량물의 허용중량을 크게 향상시킴으로서 고정구를 벽에 박는 작업의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구가 후크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됨으로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중량물의 무게에 따라 고정구를 벽에 박는 작업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핀을 핀 고정부재에 일체로 형성하고, 핀 고정부재를 베이스에 고정함으로써, 복수의 핀 사이의 간격 유지 및 복수의 핀 결합 공정이 간단해지는 이점을 가진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벽 부착용 행거의 제1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벽 부착용 행거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5,6은 본 발명에 따른 벽 부착용 행거의 제3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7,8은 본 발명에 따른 벽 부착용 행거의 제4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도 1 내지 도 8에 따른 벽 부착용 행거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벽 부착용 행거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벽 부착용 행거의 제1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벽 부착용 행거(100)는, 베이스(110), 복수의 핀(120), 후크(130), 고정구(140)를 포함한다.
베이스(110)는, 판상으로 구비되며, 후방에는 벽지에 끼워져 고정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핀(120)이 고정되고, 전방에는 중량물이 거치되는 거치부(130)를 가진다.
베이스(110)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금속재, 세락믹 재질로 구비되는 것도 무방하다.
베이스(110)는, 후면이 하방을 향하여 하향 계단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하향 계단에 의해 형성되며 후면에 수직한 면에 복수의 핀(120)이 하방을 향하도록 결합되게 된다.
이와 달리, 베이스(110)의 후면이 평평한 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제한하지 않는다.
복수의 핀(120)은, 베이스(110)의 후면에 구비되며, 설정된 제1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베이스(110)의 가로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배치된다.
복수의 핀(120) 사이의 간격은 등간격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베이스(110)의 가로방향으로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핀들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고, 양측으로 갈 수록 간격이 넓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중량물의 거치시 베이스의 중앙부분에 하중이 집중되므로, 중량물의 하중을 견디기 용이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더하여, 복수의 핀(120)은, 각각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베이스(110)의 가로방향으로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핀들의 길이를 가장 길게 하고, 양측으로 갈 수록 간격이 넓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중량물의 하중에 의해 베이스(110)의 가로방향으로 양측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경우 벽지의 손상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후크(130)는, 베이스(11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기둥형상으로 구비된다.
기둥형상은, 직선형의 기둥이라면 단면 형상은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다.
후크(130)는, 베이스(110) 전면의 상측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구(140)는, 복수의 핀(120)이 벽지에 끼워진 상태에서의 중량물의 허용중량을 간단한 구조, 외관손상의 최소화 및 소비자의 편의성을 위해 창안된 구성으로서, 후크(130)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베이스(110)의 후면까지 관통하여 구비되고, 말단 일부가 벽면에 박혀 고정된다.
이때, 후크(130)는 베이스(110)의 전면으로부터 상향경사지게 구비되고, 고정구(140)는, 후크(130)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말단이 벽면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구(140)의 말단은 제1 위치보다 높은 제2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중량물의 하중에 의해 복수의 핀 상단부가 벽지로부터 휘어지면서 벽지에 변형력(벽지 늘어짐, 벽지 찢어짐)을 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고정구(140)는, 베이스(110)의 후면 측 말단이 첨단형으로 구비되고, 외면이 나사산이 형성되며, 후크(130) 측 말단에 십자형의 홈이 형성된 머리(141)를 가지는 스크류로 구비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망치와 같은 장비 없이,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로 고정구(140)를 벽면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벽 부착용 행거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벽 부착용 행거(100)는, 위에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고정구(140)의 형태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고정구(140)는, 베이스(110)의 후면 측 말단이 첨단형으로 구비되고, 단면이 일정한 기둥형상을 가지는 못으로 구비된다.
이에 의하면, 후크(130)의 끝단 밖으로 노출된 고정구(140)의 말단은 망치 등을 활용하여 고정구(140)의 말단을 벽에 박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후크(130)의 끝단 밖으로 노출된 고정구(140)의 말단의 길이 만큼 벽에 박히게 되므로, 사용자는 고정구(140)를 박는데 필요한 힘을 쉽게 가늠할 수 있게 된다.
도 5,6은 본 발명에 따른 벽 부착용 행거의 제3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6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벽 부착용 행거(100)는, 위에서 설명한 제2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고정구(140)의 형태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고정구(140)는, 베이스(110)의 후면 측 말단이 첨단형으로 구비되고, 단면이 일정한 기둥형상을 가지는 못으로 구비되되, 후크(130) 측 말단에 단면적이 확대된 머리(141)를 가진다.
도 7,8은 본 발명에 따른 벽 부착용 행거의 제4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7,8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벽 부착용 행거(100)는, 위에서 설명한 제1,2,3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보조고정구(150)를 더 가지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형태는 위에서 설명한 제1,2,3 실시형태의 벽 부착용 행거(100)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후크(130)를 제외한 영역에서 베이스(110)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되는 보조고정구(150)를 더 가진다.
이에 의하면, 고정구(140)에 의한 허용중량의 상승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보조고정구(150)가 벽면에 박혀지는 각도와, 고정구(140)가 벽면에 박혀지는 각도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이 허용중량의 향상에 유리하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8에 따른 벽 부착용 행거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벽 부착용 행거(100)는, 위에서 설명한 제1,2,3,4 실시형태 중 임의의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 있으며, 핀 결합홈(111), 핀 고정부재(121)를 추가로 가진다.
핀 결합홈(111)은, 베이스(110)의 후면에 가로방향으로 파여져 형성된다.
핀 고정부재(121)는, 핀 결합홈(111)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복수의 핀(120)은 핀 고정부재(121)의 일단으로부터 베이스(110) 후면과 평행하게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핀(120)과 핀 고정부재(121)를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하고, 핀 고정부재(121)를 베이스(110)의 핀 결합홈(111)에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서, 복수의 핀(120) 사이의 간격조절 및 복수의 핀(120)을 개별적으로 베이스(110)에 고정하는 공정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위에서 설명한 제1,2,3,4 실시형태에서, 후크(130)는 이중관 구조로 구비되어, 베이스(110)에 고정되는 고정관(131), 고정관(131)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관(132)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고정구(140)를 이용하여 벽면 고정이 완료된 후, 후크(130)의 길이방향으로 노출된 고정구(140)를 슬라이딩관(132)을 이동시켜 커버할 수 있으므로, 고정구(140)에 의한 외관손상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판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후면에 구비되며, 설정된 제1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가로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배치되는 복수의 핀;
    상기 베이스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기둥형상으로 구비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의 후면까지 관통하여 구비되고, 말단 일부가 벽면에 박혀 고정되는 고정구;을 포함하는 벽 부착용 행거.
KR1020200052921A 2020-04-29 2020-04-29 벽 부착용 행거 KR202100036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921A KR20210003662A (ko) 2020-04-29 2020-04-29 벽 부착용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921A KR20210003662A (ko) 2020-04-29 2020-04-29 벽 부착용 행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422A Division KR102132227B1 (ko) 2019-07-02 2019-07-02 벽 부착용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662A true KR20210003662A (ko) 2021-01-12

Family

ID=74129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921A KR20210003662A (ko) 2020-04-29 2020-04-29 벽 부착용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36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578B1 (ko) 2014-01-28 2015-09-02 김태준 침 삽입형 벽걸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578B1 (ko) 2014-01-28 2015-09-02 김태준 침 삽입형 벽걸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4616Y2 (ko)
US20100059642A1 (en) Fixture Mounting Bracket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20120056051A1 (en) Fastener assembly
MXPA97007901A (es) Conjunto de colgador ajustable
US11432648B1 (en) Wall bracket
JP2021510576A (ja) 取り付け手段
KR102122685B1 (ko) 건물벽 마감재 고정조립체
US3491972A (en) Clamp fastening element
KR20210003662A (ko) 벽 부착용 행거
KR101854558B1 (ko) 벽지 고정설치용 행거 조립체
KR102132227B1 (ko) 벽 부착용 행거
CN112443112B (zh) 龙骨组件及墙面组件
JP3203238U (ja) 壁掛け構造
EP0282536B1 (en) A method for fastening an attachment or suspension device and a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102101990B1 (ko) 벽 부착용 행거
CN113445662B (zh) 一体挤出式跌级连接件
KR101773569B1 (ko) 간판 설치용 브래킷
JP5256158B2 (ja) 内装パネル
CN211037659U (zh) 一种模块化饰面板安装装置
US11903511B1 (en) Curtain rod support assembly
WO2020070478A1 (en) Self supporting hook
KR102054502B1 (ko) 벽 부착용 행거
CN220117667U (zh) 可排线卡扣式踢脚线
RU184567U1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ого элемента в месте сопряжения двух поверхностей
KR20170004350U (ko) 인조대리석패널의 벽부착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