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503Y1 - 방사선원 위치 정확도 측정기 - Google Patents

방사선원 위치 정확도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503Y1
KR200222503Y1 KR2020000025273U KR20000025273U KR200222503Y1 KR 200222503 Y1 KR200222503 Y1 KR 200222503Y1 KR 2020000025273 U KR2020000025273 U KR 2020000025273U KR 20000025273 U KR20000025273 U KR 20000025273U KR 200222503 Y1 KR200222503 Y1 KR 200222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source
radiation
base member
tubes
position accura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곤
오동균
조정근
정천영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서울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서울병원)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서울병원)
Priority to KR2020000025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5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503Y1/ko

Links

Abstract

방사선원 위치 정확도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등간격으로 다수의 장홈이 제공되어 있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제공된 장홈에 결합되며, 고선량 근접 치료기에 의하여 이동하는 방사선원이 삽입되어 이동하는 복수의 튜브 그리고 상기 복수의 튜브가 배치되는 베이스 부재의 상측에 탈, 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방사선원의 이동이 따라 방사선원이 정지하는 위치가 감광되는 방사선 필름을 포함하는 방사선원 위치 정확도 측정기를 제공하여, 고선량률 근접 치료기의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고선량률 근접 치료기를 관리하여 환자의 방사선 치료 성적을 증대시키고, 방사선에 의한 의료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방사선원 위치 정확도 측정기{Source dwell position checking device}
본 고안은 방사선원 위치 정확도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선량률 근접 치료기에 의하여 방사선원의 위치가 프로그래밍 되어 있는 대로 정확하게 이동하는가를 확인하는 방사선원 위치 정확도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접 치료는 악성 종양 또는 비악성 병변 치료를 위하여 밀봉된 작은 방사선원을 종양에 국부적으로 집중 조사(照射)하는 치료법이다. 이러한 치료는 1회에 고선량의 방사선을 조사하기 때문에 치료기의 오작동으로 인한 환자의 임상적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동위 원소를 이용하기 때문에 의료사고 발생시에 큰 문제가 될 수 있는 소지를 안고 있다. 이러한 근접 치료에 사용되는 고선량률 근접 치료기(100)는,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환자의 병변 위치에 따라 방사선원이 이동하여 일시 정지하는 위치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10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 입력부(101)에 의하여 입력된 데이터에 의하여 방사선원을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103), 상기 제어유닛(103)의 제어에 의하여 작동하는 엑츄에이터(105) 그리고 상기 엑츄에이터(105)에 의하여 일정한 거리를 이동하거나 정지하며 카테터를 따라 이동하여 방사선을 발생시키는 방사선원(107)을 도시하고 있다. 물론 상기 제어유닛(103)은 방사선원(107)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방사선원 위치 이동 제어 프로그램 모듈(109)을 로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고선량률 근접 치료기(100)는 데이터 입력부(101)를 통하여 방사선원(107)이 이동할 위치를 입력하면 제어유닛(103)이 방사선원 위치 이동 제어 프로그램 모듈(109)을 로딩하여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킴으로서 방사선원(107)을 일정한 위치에 이동시켜 근접치료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선량 근접 치료기는 데이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방사선원의 이동 위치대로 정확하게 이동하여 정지하는가를 확인하기가 곤란하여 실제 환자에게 적용할 때 임상적인 부작용 또는 방사선 피폭에 의한 의료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선량률 근접 치료기를 통하여 방사선원을 이용한 방사선 치료를 하기 전에 상기 고선량률 근접 치료기의 오작동 및 방사선원의 위치나 선량 도출시 오차가 없도록 관리하기 위하여 방사선원이 셋팅된 데로 정확하게 이동 또는 정지하는가를 확인하여 환자의 치료 성적을 증대시키고, 의료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방사선원 위치 정확도 측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등간격으로 다수의 장홈이 제공되어 있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제공된 장홈에 결합되며, 고선량 근접 치료기에 의하여 이동하는 방사선원이 삽입되어 이동하는 복수의 튜브 그리고 상기 복수의 튜브가 배치되는 베이스 부재의 상측에 탈, 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방사선원의 이동이 따라 방사선원이 정지하는 위치가 감광되는 방사선 필름을 포함하는 방사선원 위치 정확도 측정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방사선원 위치 정확도 측정기에 의한 방사선원의 위치 이동 측정은 베이스 부재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튜브 상단에 방사선 필름을 고정하고, 방사선원의 초기 위치를 표시한다. 그리고 고선량 근접 치료기에 방사선원의 이동 데이터를 입력하여 작동시키면 초기 위치에서 방사선원이 셋팅값에 따라 이동 및 정지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방사선 필름에 방사선원의 위치가 감광된다. 감광된 방사선 필름의 감광부위의 거리를 측정하여 셋팅한 값과 측정한 값을 비교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방사선원 위치 정확도 측정기의 외형을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방사선원 위치 정확도 측정기에 의하여 측정된 방사선 필름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4는 일반적인 방사선 치료기인 고선량률 근접 치료기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방사선원 위치 정확도 측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로서, 베이스 부재(1), 복수의 튜브(3), 방사선 필름(5) 그리고 고선량률 근접 치료기(10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는 투명한 아크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의 장홈(1a, 임의의 하나에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함)이 제공된다. 상기 장홈(1a)은 대략 18개 정도가 적당하며, 한번에 다수의 방사선원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장홈(1a)에는 복수의 튜브(3, 임의의 하나에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함)가 배치된다. 상기 튜브(3)들은 장홈(1a)의 수와 대응하는 정도의 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튜브(3)는 고선량률 근접 치료기(100)에 카테터에 의하여 연결되어 이동하는 방사선원(107)이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부재(1)의 상측 즉 튜브(3)들이 배치되어 있는 부분에 방사선 필름(5)이 착, 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방사선 필름(5)은 저감도 X선 필름이 적당하다. 방사선 필름(5)은 방사선원(107)이 일시 정지하는 지점에서 방사선에 의한 감광이 일어나는데, 이 부분 방사선원에 의한 감광부이다. 즉, 방사선원에 의한 감광부는 방사선 필름(5)에 방사선원이 일시 정지하는 지점에서 감광이 일어나는 부분이다. 이러한 감광부는 방사선원이 셋팅된 값에 따라 이동하여 임의의 거리를 가지는 방사선 필름(5)의 다수 지점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방사선원 위치 정확도 측정기에 의하여 고선량률 근접 치료기(100)에 셋팅된 방사선원의 이동거리와 실제 방사선원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여 비교하여 오차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방사선 필름(5)을 베이스부재(1)의 상축 즉, 튜브(3)들이 배치되어 있는 상측에 부착한다. 그리고 고선량률 근접 치료기(100)에 방사선원의 이동 거리를 세팅한다. 이때 튜브(3)의 수만큼 방사선원의 이동 거리를 동시에 셋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사선 필름(5)의 방사선원이 배치되는 초기 위치에 임의의 표시를 한다. 그리고 상기 고선량률 근접 치료기(100)를 작동시켜 세팅된 대로 방사선원이 이동 및 일시 정지되도록 한다. 그러면 다수의 방사선원이 튜브(3)를 따라 이동 및 일시 정지가 이루어지고, 일시 정지되는 부분의 방사선 필름에는,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방사선에 의한 감광부가 생긴다. 물론 셋팅 값은 각각의 환자의 특성에 따라 셋팅이 가능하다. 상기 방사선 필름에 형성된 감광부와 초기 거리(a) 및 인접하는 거리(b)를 자 등의 측정 수단으로 측정하여 셋팅된 거리와 실제 방사선원이 이동한 거리를 비교한다.
이와 같은 비교값에 의하여 고선량률 근접 치료기(100)에 의하여 이동하는 방사선원의 오차값을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고선량률 근접 치료기를 관리하여 환자의 병변 치료시 오차를 줄여 치료 성적을 증대시키며, 과다 또는 과소 피폭될 의료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고선량률 근접 치료기에 셋팅하여 이동하는 방사선원과 실제 이동 거리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방사선원 위치 정확도 측정기를 제공하여 고선량률 근접 치료기의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고선량률 근접 치료기를 관리하여 환자의 방사선 치료 성적을 증대시키고, 방사선에 의한 의료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등간격으로 다수의 장홈이 제공되어 있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제공된 장홈에 결합되며, 고선량 근접 치료기에 의하여 이동하는 방사선원이 삽입되어 이동하는 복수의 튜브와;
    상기 복수의 튜브가 배치되는 베이스 부재의 상측에 탈, 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방사선원의 이동이 따라 방사선원이 정지하는 위치가 방사선 필름에 감광되어 복수의 점을 이루는 감광부;
    셋팅된 거리와 실제 방사선원이 이동한 거리를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감광부들의 간격을 자로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방사선원 위치 정확도 측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투명재의 아크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방사선원 위치 정확도 측정기.
KR2020000025273U 2000-09-05 2000-09-05 방사선원 위치 정확도 측정기 KR2002225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273U KR200222503Y1 (ko) 2000-09-05 2000-09-05 방사선원 위치 정확도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273U KR200222503Y1 (ko) 2000-09-05 2000-09-05 방사선원 위치 정확도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503Y1 true KR200222503Y1 (ko) 2001-05-02

Family

ID=73088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273U KR200222503Y1 (ko) 2000-09-05 2000-09-05 방사선원 위치 정확도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50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597B1 (ko) * 2013-04-25 2014-10-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접방사선 선량 측정용 팬텀
KR101483249B1 (ko) 2012-04-27 2015-01-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단위 방사선 손상모델 제조방법
WO2016076598A1 (ko) * 2014-11-10 2016-05-19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방사선 치료기 및 방사선 치료기의 정도 관리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49B1 (ko) 2012-04-27 2015-01-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단위 방사선 손상모델 제조방법
KR101445597B1 (ko) * 2013-04-25 2014-10-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접방사선 선량 측정용 팬텀
WO2016076598A1 (ko) * 2014-11-10 2016-05-19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방사선 치료기 및 방사선 치료기의 정도 관리 방법
US10357665B2 (en) 2014-11-10 2019-07-23 Samsung Life Public Welfare Foundation Radiation therapy apparatus and quality control method for radiation therap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nley et al. AAPM Task Group 198 Report: An implementation guide for TG 142 quality assurance of medical accelerators
US6934653B2 (en) System or method for calibrating a radiation detection medium
EP3630284B1 (en) Radiation based treatment beam position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US5206893A (en) Radiotherapeutic apparatus having three dimensional light marks
JP2008522702A (ja) 内腔内ct位置特定マーキングレーザ
JPH119708A (ja) 放射線治療システム
JPH1020098A (ja) コリメータの校正方法および装置
US20020021830A1 (en) Interrupted treatment quality assurance
KR101445597B1 (ko) 근접방사선 선량 측정용 팬텀
KR200222503Y1 (ko) 방사선원 위치 정확도 측정기
EP3697308A1 (en) Radiation target indication
JP6484091B2 (ja) ガイドワイヤー先端小線源のアプリケーター内停止位置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具
JPH05161720A (ja) 放射線治療装置
JP3625871B2 (ja) 放射線治療計画機能を有する医用装置
Rahman et al. QALMA: A computational toolkit for the analysis of quality protocols for medical linear accelerators in radiation therapy
KR101714938B1 (ko) 방사선 치료시 환자 고정이 가능한 복셀형 카우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조사 방법
Li et al. Impact of detector selection on commissioning of Leipzig surface applicators with improving immobilization in high-dose-rate brachytherapy
JPH10201864A (ja) 放射線治療システム
JP4225655B2 (ja) 放射線治療装置
Houdek et al. The role of transverse axial tomography in three-dimensional treatment planning
Botha The evaluation of an algorithmic model, created for the image guided radiotherapy treatment couch for integration into the Pinnacle Treatment Planning System
Randall et al. Teletherapy Alignment: A simplified method of quality control
JPS625630B2 (ko)
JP2022537041A (ja) 放射線治療(rt)計画作成のためのレーザー皮膚マーキング
JPH06224A (ja) 定位的放射線治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