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334Y1 - 학생용 책상의 상판취부구조 - Google Patents

학생용 책상의 상판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334Y1
KR200222334Y1 KR2020000023815U KR20000023815U KR200222334Y1 KR 200222334 Y1 KR200222334 Y1 KR 200222334Y1 KR 2020000023815 U KR2020000023815 U KR 2020000023815U KR 20000023815 U KR20000023815 U KR 20000023815U KR 200222334 Y1 KR200222334 Y1 KR 200222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support legs
plywood
assembly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8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주
Original Assignee
김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주 filed Critical 김기주
Priority to KR20200000238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3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334Y1/ko

Link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학생용 책상의 상판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측 지지다리(3)가 결합되는 위치에 각각 조립공(24a)이 형성된 하부합판(24)과, 이 하부합판(24)에 적층되는 상부합판(22)으로 구성되는 상판부재와; 상기 하부합판(24)의 각각의 조립공(24a)에 양측의 지지다리(3)가 볼트(4)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너트(1)가 나합되어 구성됨으로써, 상판부재의 조립설치에 따른 작업성이 우수하게 됨은 물론 책상 사용에 따른 견고성이 함께 제공되며 간단한 구조에 의한 재료비의 절감으로 경제성이 우수하게 제공되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학생용 책상의 상판취부구조{joint unit of desk's plate}
본 고안은 학생용 책상의 상판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을 구성하는 상판과 지지다리의 취부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에 따른 설치작업이 간단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상판과 지지다리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학생용 책상의 상판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의 학생용 책상은 다량을 필요로 하며 학교의 재정상 저렴한 가격대의 책상을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한 학생용 책상은 저렴하고 양산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책상을 구성하는 상판과 지지다리 및 설합이 극히 간단한 구조로 제작되고 있는바, 이는 단순히 볼트의 결합에 의해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성장기 학생들의 지나친 장난이나 부주위로 인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어 책상의 교체내지는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 지출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한 단점을 보안하고자 종래에도 상판부재의 취부구조를 개선하여 견고성이 제공된 다양한 책상이 고안되어 실용화 되고 있다.
도 4 및 도 5는 종래 책상의 상판부재 취부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그 내용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먼저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책상 상판(2')은 두장의 합판(22')(24')을 적층시켜서 제작되는 것으로 하부의 합판(24')에 나사공(12')이 형성된 이붙이 너트(1')를 타설하여 조립하고, 그 위에 또 다른 합판(22')을 적층시켜서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붙이 너트(1')를 타설하여 조립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위치설정이 요구되며 조금만 이격되게 타설되어도 측판부재(3')를 볼트(4')로 상판(2')에 조립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붙이 너트(1') 타설시 실수로 인해 합판(24')이 파손될 우려가 있어 작업에 따른 상당한 주위가 요구되는 등 여러가지 불편한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도 5는 도 4에서 보여주는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조립홈(24a')이 측판부재(3')와의 조립위치에 형성된 상판부재(2')와 이붙이 너트(1')가 삽입고정된 채로 조립홈(24')에 끼워져 나사로(7) 결합되는 조립편(6)으로 구성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별도로 마련된 조립편(6)에 이붙이 너트(1')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조립편(6)을 상판(24')의 조립홈에 나사결합 해주어야 하는등 작업공정수가 많아져 조립설치에 따른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그 구조 또한복잡하여 제조원가의 상승으로 제품의 단가가 올라가게 되는 문제점이 대두 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립구성된 책상을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상판의 조립홈(24a')에 결합된 조립편(6)이 상기 조립홈(24a')에서 쉽게이격되어 책상의 흔들거림이 발생하는등 사용에 따른 불편한 문제점과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 중앙에 나사공이 형성되고 외면이 하부측으로 좁아져 경사면과 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너트를 하부합판의 지지다리가 결합되는 위치에 간단하게 나합하여 조립하고 그 상부에 상부합판을 적층접착하여 줌으로써, 조립에 따른 작업성이 및 견고성이 우수하게 됨은 물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므로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게되는 학생용 책상의 상판 취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책상 상판의 취부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도 1의 일부확대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의자에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일부 분해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책상 상판의 취부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분해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책상 상판의 취부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결합너트 12 : 나사공
14 : 경사면 14a : 나사부
16 : 작동홈 2 : 상판부재
22 : 상부합판 24 : 하부합판
24a : 조립공 3 : 지지다리
32 : 체결공 4 : 볼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고안의 학생용 책상의 상판취부구조는 조립공이 형성된 하부합판과 이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합판으로 구성된 상판부재와; 상기 조립공에 끼워져 나합되는 결합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지지다리가 볼트로 결합되는 책상 상판부재의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재(2)는 양측 지지다리(3)가 결합되는 위치에 각각 조립공(24a)이 형성된 하부합판(24)과, 이 하부합판(24)에 적층접착되는 상부합판(22)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합판(24)의 각각의 조립공(24a)에는 양측의 지지다리(3)가 볼트(4)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너트(1)가 나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부합판(22)의 상면에는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흠집이나 긁힘을 방지하기 위해 경질합성수지재판과 같은 흠집이나 긁힘 방지용 장식판을 접착가공하여 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너트(1)는 하부합판(24)의 조립공(24a)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14)을 형성하고, 이 경사면(14)의 외주면에는 결합너트(1)가 상기 조립공(24a)에 견고하게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부(14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상판부재(2)는 먼저 하부합판(24)의 양측 지지다리(3)가 결합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된 조립공(24a)에 결합너트(1)를 각각 위치시킨 다음 상기 결합너트(1)의 상부에 형성된 작동홈(16)에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작업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조립공(24a)에 간단하게 나합하여 고정시킨 후 그 상부에 장식판이 접착가공된 상부합판(22)을 적층접착시켜주면 되는 것으로, 그 조립작업이 매우 간단용이하다.
또한, 상기 결합너트(1)는 그 경사면(14)에 형성된 나사부(14a)에 의해 조립공(24a)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판부재(2)의 조립작업이 완료되면 그 하부측에 마련된 지지다리(3)의 체결공(32)을 상기 결합너트(1)의 나사공(12)과 일치되도록 하여 볼트(4)로 체결고정하면 책상의 조립이 완료되게 되는 것으로 볼트(4)를 조여주면 줄 수록 결합너트(1)는 더욱 더 견고하게 하부합판(24)에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결합너트(1)를 조립공(24a)에 나합하여 설치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지지다리(3)를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립에 따른 작업성이 우수하게 되고, 또한 결합너트(1)가 상기 조립공(24a)에 나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오랜기간 사용에도 쉽게 이격이 발생되지 않아 책상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의자(5)의 등받이판(52)과 좌판(54)에 각각 본 고안의 기술구성이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의 상판취부구조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너트를 하부합판에 간단하게 나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결합너트의 나사공에 지지다리가 볼트에 의해 체결고정되게 함으로써, 조립에 따른 작업성이 우수하게 되고, 상판부재에 결합되는 지지다리의 지속적이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양측의 지지다리가 볼트로 결합되는 책상 상판부재의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판부재(2)는 상부합판(22)과 하부합판(24)으로 분리구성하여 적층하고,상기 하부합판(24)은 양측의 지지다리(3)가 결합고정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조립공(24a)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조립공(24a)에는 내부중앙에 나사공(12)이 관통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부(14a)가 형성되어 있고 상광하협 형태로 경사면(14)이 형성된 결합너트(1)가 상기 경사면(14)에 형성된 나사부(14a)에 의해 나합되도록 볼트(4)에 의해 지지다리(3)가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용 책상의 상판 취부구조.
KR2020000023815U 2000-08-22 2000-08-22 학생용 책상의 상판취부구조 KR200222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815U KR200222334Y1 (ko) 2000-08-22 2000-08-22 학생용 책상의 상판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815U KR200222334Y1 (ko) 2000-08-22 2000-08-22 학생용 책상의 상판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334Y1 true KR200222334Y1 (ko) 2001-05-02

Family

ID=73087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815U KR200222334Y1 (ko) 2000-08-22 2000-08-22 학생용 책상의 상판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3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077B1 (ko) 2008-03-19 2008-06-09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상의 상판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077B1 (ko) 2008-03-19 2008-06-09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상의 상판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2334Y1 (ko) 학생용 책상의 상판취부구조
JP2982712B2 (ja) 天板付き家具
JP4749038B2 (ja) アンテナの取付構造
JP2007130099A (ja) ブラケット支持構造
KR101913132B1 (ko) 테이블
US20070034121A1 (en) Cabinet
JPH032209Y2 (ko)
KR200319398Y1 (ko) 가구용 다리의 결합구조
KR0137819Y1 (ko) 책상 상판부재의 취부구조
KR200299575Y1 (ko) 책상의 결합구조
KR200393670Y1 (ko) 조립식 의자의 좌판 연결구조
US20050217543A1 (en) Tool cabinet fixing and supporting structure
KR200302430Y1 (ko) 침대다리
KR200291079Y1 (ko) 가구용 다리의 설치구조
KR200318517Y1 (ko) 의자의 좌판 결합 구조
JP2011038378A (ja) フロアパネル用支持脚
CN219578478U (zh) 一种多适应桌架结构
AU2020103831A4 (en) Combination table
US11412847B2 (en) Combination table
KR200320340Y1 (ko) 조립식 테이블
KR200228193Y1 (ko) 책상용다리
KR200437233Y1 (ko) 일체형 하부체결구조를 가지는 테이블
JP4080838B2 (ja) パネル付き机
KR200360857Y1 (ko) 조립식 테이블의 구조
KR200368449Y1 (ko) 책상의 다리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0

Year of fee payment: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