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293Y1 - Tangram game assembly made three-dimensional shape - Google Patents

Tangram game assembly made three-dimensional sha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293Y1
KR200222293Y1 KR2019990002840U KR19990002840U KR200222293Y1 KR 200222293 Y1 KR200222293 Y1 KR 200222293Y1 KR 2019990002840 U KR2019990002840 U KR 2019990002840U KR 19990002840 U KR19990002840 U KR 19990002840U KR 200222293 Y1 KR200222293 Y1 KR 200222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s
dimensional
chisel
coupling member
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284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34705U (en
Inventor
최준영
Original Assignee
최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영 filed Critical 최준영
Priority to KR20199900028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293Y1/en
Publication of KR199900347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70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293Y1/en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놀이기구 및 교구로 사용되는 입체 칠교놀이 조립기구에 관한 것으로, 가로 세로의 길이가 동일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일정 높이로 이루어진육면체로부터 유도되는 7개의 입체 칠교조각(20) 그리고 상기 각 입체 칠교조각(20)의 측면부위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각 칠교조각(20)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자석 또는 벨크로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30)로 구성되어, 각 입체 칠교조각(20)의 측면 결합부재(30)를 통해 칠교조각(20)이 서로 결합되어 다양한 모양의 입체형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육면체의 높이는 가로의 1/2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면상에 상기 칠교조각(20)의 결합부재(20)와 결합되는 다른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칠교조각(20)을 지지하는 베이스기판(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재(30)는 각 칠교조각(20)의 측면부위를 따라 설치되는 판상자석 또는 소형의 원형자석이 각 칠교조각(20)의 측면부위에 다수 개 매설되도록 하거나 벨크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각 칠교조각(20)들이 결합부재(30)에 의해 결합됨으로서 입체적 형상의 조립이 가능해져 사용자의 공간지각력 향상을 위한 창의력개발이 이루어지는 잇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chilgy play assembly equipment used as a play equipment and teaching aids, seven three-dimensional chisel pieces 20 derived from a cube consisting of a certain height so that the length and width of the same length and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t is installed along the side portion of each three-dimensional chisel pieces 20, consisting of a coupling member 30 made of a magnet or a Velcro to allow each of the seven pieces 20 to be bonded to each other, the sides of each three-dimensional chisel pieces 20 Seven pieces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upling member 30 to form a three-dimensional shape of various shapes. And, the height of the hexahedron is preferably to be 1/2 of the horizontal, the other coupl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surface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20 of the chisel piece 20 to support the chisel piece 20 The base substrate 40 further comprises. The coupling member 3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laques or small circular magnets installed along the side portions of each of the seven pieces 20, embedded in a plurality of side pieces of each of the seven pieces 20, or a velcro. Accordingly, the seven pieces 20 are combined by the coupling member 30, thereby enabling the assembly of a three-dimensional shape,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creativity is developed for improving spatial perception of the user.

Description

입체 칠교놀이 조립기구{TANGRAM GAME ASSEMBLY MADE THREE-DIMENSIONAL SHAPE}Three-dimensional Tangram play assembly equipment {TANGRAM GAME ASSEMBLY MADE THREE-DIMENSIONAL SHAPE}

본 고안은 놀이기구 및 교구로 사용되는 칠교놀이 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상세하게는 각 조립부재인 칠교조각을 입체적으로 형성하고 각 조각의 소정면끼리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삼차원공간에서 다양한 입체적 형상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입체 칠교놀이 조립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lyo play toy used as a play equipment and a parish, and more specifically, to form a three-dimensional sculpture of each assembly member three-dimensionally and to allow the predetermined surfaces of each piece to be detached in various three-dimensional shape It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chisel play assembly mechanism to be assembled.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의 놀이기구로서 많은 장난감 및 완구들이 개발 판매되고 있으며, 이러한 놀이기구들 중 총, 로봇, 인형 등과 같이 단순한 사물의 형상을본뜬 장난감들은 미리 완성된 제품을 판매하거나 또는 각 부품의 조립을 통해 완성된 제품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장난감들은 단순히 어떤 특정한 하나의 모형을 나타내는데 불과하고, T.V 등을 통한 인지도에 의해 어린이들의 관심을 자극하여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장난감들은 어린이들에게 어떠한 교육적 효과를 전혀 나타낼 수 없으며, 단순히 일회성에 불과할 뿐이다.In general, many toys and toys are developed and sold as children's play equipment, and toys such as guns, robots, and dolls, which are models of simple objects, sell pre-finished products or assemble each component. The finished product is achieved. Toys such as the above merely represent a certain one model, the situation is being sold to stimulate the interest of children by recognition through T.V. Therefore, these toys can not have any educational effect on children, they are merely a one-off.

이와는 달리 어린이들의 창의력 발달 및 지능교육을 위한 놀이기구가 현재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놀이기구들은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어린이들의 창의력, 수리력, 공간지각력 등의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즉, 상술한총, 로봇 등과 같은 장난감들은 단순히 어린이들의 시각을 자극하고 일회성인 반면에, 놀이기구들은 다양한 방법의 놀이를 통하여 자연스러운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여 예전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유아교육의 중요성이 보다 강조되고 있는 최근에는 이러한 놀이기구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또한 보다 나은 유아교육을 위하여 지금도 끊임없이 다양한 놀이기구들이 개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various rides for children's creativity development and intelligent education are currently being released. These rides allow children's creativity, numeracy, and spatial perception to be naturally developed through play. That is, toys such as guns, robots, and the like are simply used to stimulate children's vision and are one-time, while rides have been widely used since it is possible to perform natural education through various methods of play.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and interest in such playground equipment has been increased, and various playground equipment has been constantly developed for better early childhood education.

이러한 놀이기구들 중 기원전 육백년경 중국에서 처음 시작되어 우리나라에전해진 칠교놀이는 옛날부터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른들 사이에서도 널리 이용되어오던 놀이기구이다. 이러한 칠교놀이는 7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조각들의 배열을 달리하여 수백가지의 다양한 형상을 조합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들의교육을 위한 놀이기구로서 뿐만 아니라 어른들의 지적호기심을 위한 기구로서 사용되어져 왔다.Among these rides, Chilgyo Play, which was first introduced in China around 600 C.E., has been widely used not only for children but also for adults. The seven-legged play consists of seven pieces, and since the arrangement of the pieces can be combined with hundreds of various shapes, it has been used not only as a play equipment for children's education but also as an apparatus for intellectual curiosity of adults.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칠교놀이는 극히 소수를 제외하고는 서양의 놀이기구 및 다양한 장남감들로 말미암아 사람들의 뇌리에서 잊혀져갔다. 한편, 칠교놀이는 서양으로 전래되어 탱그램(Tangram)이라는 명칭으로 불리어져 왔으며, 이 놀이기구의 가치를 인식한 서양인들은 유아교육의 기구로서 활용하여 왔다. 그리고,최근의 유아교육에 관한 높은 관심에 편승하여 오히려 외국의 놀이기구로서 역수입됨으로서 칠교놀이에 대한 가치인식이 달라졌으며, 여전히 지금도 많은 사람들에게전통적인 우리의 놀이기구가 아닌 외국의 완구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se traditional pilgrimages have been forgotten in people's minds because of the few, but very few, western play equipment and various toys. On the other hand, Chilkyo play has been introduced to the West and has been called the name Tangram, and Westerners who have recognized the value of the play equipment have used it as a tool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ddition, due to the recent high interes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ather than being imported as a foreign play equipment, the value perception of the seventh school play has changed, and it is still recognized as a foreign toy rather than our traditional play equipment. It is true.

이하에서는 이러한 칠교놀이 기구를 도시한 도 1의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칠교놀이기구(1)는, 7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칠교조각(2)과, 베이스기판(3), 그리고 안내책자(4)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칠교조각(2)들이 조립된 최초모양에서는 한변이 약 10cm정도의 정사각형을 이루며, 대,중,소의 크기를 가지는 삼각형이 각각 2개,1개 2개로 이루어지고, 사각형이 1개 그리고 마름모가 1개의 총 7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칠교조각(2)들의 크기는 상기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최초모양이 정사각형을 이루면 되므로 상기 최초모양이 정사각형을 이루는 한도내에서 각 칠교조각들이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FIG. As shown, the play equipment 1 is composed of a seven-piece sculpture 7, a base substrate 3, and a guide book (4). In the initial shape of each of the seven pieces (2) assembled, one side constitutes a square of about 10 cm, each consisting of two, one and two triangles each having a large, medium and small size, one square and one rhombus. Consists of a total of seven pieces. On the other hand, the size of the seven pieces (2) is not limited as described above. That is, since the initial shape may be square, each of the seven pieces may be formed in various sizes within the limits of the initial shape.

그리고, 상기 각 칠교조각(2)의 저면에는 자석(미도시)이 부착되고, 베이스기판(3)의 면(3a) 역시 자석 또는 자석과 반응하는 철판을 부착하여 상기 칠교조각(2)들이 상기 베이스기판(3)의 면에 부착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상기 칠교조각(2)들을 배열하는 도중에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각 조각(2)들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상기 안내책자(4)에는 칠교조각(2)으로 형성 가능한 수백가지의 모형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상기 안내책자(4)를 통해 다양한 모양을 조립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magnet (not shown) is attached to a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seven pieces 2, and a surface 3a of the base substrate 3 also attaches a magnet or an iron plate that reacts with the magnets. It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3. This is to prevent scattering in the middle of arranging the seven pieces 2 and to prevent the loss of each piece 2. In addition, the guide book 4 is displayed with hundreds of models that can be formed as seven pieces 2 so that the user can assemble various shapes through the guide book 4.

상기 칠교조각(2)을 이용한 다양한 모양형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 2에 나타내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I)은 각 조각들을 이용하여 큰 삼각형의 모양을나타내고 있는 모습을 보인도이다. 예시(Ⅱ)는 마름모를 나타내고 있으며, 예시(Ⅲ),(Ⅳ) 및 (Ⅴ)는 각각 고기형상, 의자 및 새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예에서 나타나듯이, 칠교놀이 기구(1)는 단순한 7개의 각 칠교조각(2)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낸 모양이외에도 수백가지의 다양한 모양을 나타내므로 창의력개발을 위한 도구로서 각광받고 있다.2 shows an example of various shape formation using the chisel bridge (2). As shown, the example (I) shows the shape of a large triangle using the pieces. Example (II) shows a rhombus, and examples (III), (IV) and (V) show the shape of a meat, a chair, and a bird, respectively. As shown in the above example, the seven-legged play equipment (1) is in the spotlight as a tool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because it represents hundreds of various shapes in addition to the shapes shown in the above embodiment by using seven simple seven-legged sculptures (2).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창의력개발을 위한 놀이기구로서 사용되는 종래의 칠교놀이 기구(1)에는 다음과 같은 사용상의 문제점이 나타난다.However, the following seven problems of use in the conventional seven-legged play equipment (1) used as a playground equipment for creativity development as described above.

7개의 칠교조각(2)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모양 제작이 가능하나, 이차원적인 평면도형에서만 가능하여 입체적인 형상의 모형제작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어린이들의 교구로서 널리 활용되는 칠교놀이 기구(1)는 3차원에서 입체적 형상의 공간지각력을 위한 창의력개발에는 다소 미흡한 문제점이 있는것이다. 물론 3차원공간에서 조립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블록쌓기 놀이기구가 있으나, 이는 매우 많은 부품들로 구성되어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부피도 크게되어 손쉽게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t is possible to produce a variety of shapes using the seven chisels (2),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produce a three-dimensional model because only a two-dimensional plan. Therefore, Chilyo play equipment (1) widely used as a parish of children is a problem that is somewhat insufficient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for spatial perception of three-dimensional shape in three dimensions. Of course, there are various types of block stacking rides that can be assembl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but this is composed of a lot of parts not only expensive, but also bulky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easily used.

또한, 상기 블록쌓기 완구들은 동일한 형상을 가진 부품들이 서로 결합되어단순히 쌓아올리는 것으로서 모양을 제작하게 됨으로 다양한 응용력을 위한 창의력개발에는 한계가 있게 된다. 즉, 칠교놀이 기구에서는 각각 모양이 다른 조각들이서로 결합되어 새로운 모양을 형성함으로서 도형에 관한 교육적효과가 지대하나, 블록쌓기 완구에서는 이러한 도형관계 교육이 전혀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일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大) 삼각형의 두 개로 새로운 삼각형과 사각형이 만들어지고, 중(中) 삼각형 1개와 소(小)삼각형 2개를 이용하여 새로운 직삭각형의 모양이 이루어 짐으로서 각 도형간의 상호관계를 나타낼 수 있으나, 블록쌓기 완구에서는 이러한 도형간의 상호관계에 따른 창의력 개발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block stacking toys are limited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for a variety of applications by making a shape by simply stacking the parts having the same shape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other words, in the seventh play equipment, pieces having different shap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new shape, and the educational effect on the figure is enormous, but in the toy building, such shape relationship education cannot be achieved at all.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a new triangle and a quadrangle are made of two large triangles, and a new rectangular shape is formed using one medium triangle and two small triangles. It is possible to show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each figure as it is made, but it is impossible to develop creativity according t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hapes in block stacking toys.

그리고, 칠교놀이 기구에서는 지적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응용력을 배양하는데 반하여 블록쌓기 완구는 이러한 다양한 응용력 개발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있다. 즉, 칠교놀이는 7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칠교조각을 이용하여 제한된 환경내에서 각 조각들의 다양한 결합에 따른 배열로 수백가지의 모양을 만들므로 사용자의 지적인 사고능력을 최대한 이용하게 함으로서 창의력 개발에 많은 도움을 준다. 그러나, 블록쌓기 완구에서는 많은 수의 블록이 구비되고 단순히 주어진 블록을 쌓기만 하므로 다양한 응용력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ile cultivating a variety of applications for improving the intellectual ability in the seven school playground equipment, the block stacking toy has a problem in the development of such a variety of applications. In other words, Chilyo Nori uses hundreds of shapes by arranging various pieces of each piece within a limited environment by using seven pieces of seven pieces of sculptures, which helps to develop creativity by making the most of the users' intellectual thinking ability. Gives. However, in the block stacking toy, since a large number of blocks are provided and only a given block is stacked, there are limitations in providing various applications.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칠교놀이 기구를입체적으로 제작하고, 각 칠교조각들의 조합에 따른 입체적인 모양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공간지각력을 배양한 창의력 개발을 위한 칠교놀이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ree-dimensional play equipment to make the three-dimensional shape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seven pieces of the seven bridge pieces to provide a seven-piece play equipment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cultivating spatial perception power It aims to do it.

도 1 - 종래 칠교놀이 기구의 어셈블리 사시도.1-An assembly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hisel play equipment.

도 2 - 종래 칠교놀이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도.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conventional chilyo play.

도 3 - 종래 칠교조각의 결합에 따른 도형의 변형을 나타낸 도.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deformation of the figure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traditional chisel bridge.

도 4 - 본 고안에 의한 입체 칠교놀이 조립기구의 사시도.Figure 4-a perspective view of a three-dimensional Chilgyo play assembly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 본 고안에 의한 입체 칠교조각의 측면에 부착되는 결합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upling member attached to the side of the three-dimensional chisel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 본 고안에 의한 입체 칠교조각의 측면에 부착되는 결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Figure 6-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member attached to the side of the three-dimensional chisel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 본 고안에 의한 입체 칠교조각이 위치되는 베이스기판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substrate on which a three-dimensional chisel bridge is pla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 본 고안의 입체 칠교조각 조립기구에 의한 입체형상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Figure 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hree-dimensional shape by the three-dimensional chisel sculpture assembly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입체 칠교놀이조립기구 20 : 입체 칠교조각10: three-dimensional seven bridge play assembly mechanism 20: three-dimensional seven bridge sculpture

22 : 대삼각체 24 : 중삼각체22: large triangle 24: middle triangle

26 : 소삼각체 28 : 사각형육면체26: small triangle 28: rectangular cube

29 : 평행사변형육면체 30,30': 결합부재29: parallelogram cube 30, 30 ': coupling member

40 : 베이스기판40: base substrat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로 세로의 길이가 동일하고 높이가 상기 가로의 1/3 이상 3/4이하 되도록 이루어진 육면체로부터 유도되는 7개의 입체 칠교조각 그리고 상기 각 입체 칠교조각의 측면부위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각 칠교조각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어, 각 입체 칠교조각의 측면의 결합부재를 통해 각 칠교조각이 서로 결합되어 다양한 모양의 입체형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입체 칠교놀이 조립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요지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even lengths of the three-dimensional chisels and the sides of the three-dimensional chisels are derived from a hexahedron such that the length and width of the length and width is equal to or more than 1/3 of the width It is installed along the site, consisting of a coupling member for each of the seven piece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upling member of the side of each three-dimensional seven pieces, each seven piec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three-dimensional shape of various shapes There is a technical point in providing a play assembly device.

그리고, 상기 육면체의 높이는 가로의 1/2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면상에 상기 칠교조각의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다른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칠교조각을 지지하는 베이스기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각 칠교조각의 조립을 베이스기판에서 안정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각 칠교조각의 분실이 방지되는 잇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hexahedron is preferably to be 1/2 of the horizontal, the other coupl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surface coupled with the coupling member of the seven pieces to be made to further comprise a base substrate for supporting the seven pieces.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ably assemble each of the seven pieces on the base substrat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oss of each piece is prevented.

한편, 상기 결합부재는 자석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자석부재는, 자석입자가 라미네이트된 층들이 수평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판상이 각 칠교조각의 측면부위를 따라 부착 설치되도록 하거나, 또는 소형의 원형자석을 각 칠교조각의 측면부위에 다수개 매설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르게 상기 결합부재는 벨크로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member may be made of a magnet, the magnet member, the plate-shaped formed by the laminated layer of the magnetic particles are arranged horizontally attached to the side portion of each seven pieces, or a small circular A plurality of magnets may be embedded in the side portions of each seven pieces. Alternatively, the coupling member may be made of Velcro.

따라서 각 칠교조각들이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됨으로서 입체적 형상의 조립이 가능해져 사용자의 공간지각력 향상을 위한 창의력개발이 이루어지는 잇점이 있다.Therefore, the seven pieces are combined by the coupling member enables the assembly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 has the advantage that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for improving the user's spatial perception.

다음,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 4내지 도 6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입체 칠교놀이 조립기구(10)는, 각 칠교조각(20)을 입체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입체 칠교조각(20)을 3차원 공간상에서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입체적인 형상의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As shown, the three-dimensional chisel bridge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piece chisel (20) three-dimensionally formed, the three-dimensional chisel bridge 20 to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three-dimensional space of a three-dimensional shape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production is made.

각 칠교조각(20)은 육면체에서 분리되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육면체는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한다. 이는 칠교조각(20)이 분리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으로서 가로,세로의 길이는 동일하면 족하고, 길이의 정도는 어느것이나 가능하다. 바람직하기로는 어린이들이 가지고 놀기 적합한 길이 약 10cm내외가 되는 것이 적당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육면체의 높이는 칠교조각이 입체적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적당한 높이를 가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높이는, 가로의 1/3이상 3/4이하가 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기로는 가로의 약 1/2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가로의 1/2의 크기가 되도록 높이를 조절할 경우, 임의의 길이를 갖는 정육면체에서는 상기 입체 칠교놀이 조립기구(10)는 두 셋트 제작이 가능해진다. 즉, 정육면체 높이의 1/2 지점에서 수평으로 절단하고, 상기 두 개로 절단된 부재로 각 칠교조각(20)을 구성하는 것이다.Each seven pieces 20 are to be made separate from the cube. The hexahedron is such that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and the length of the vertical. This is the minimum condition for the seven pieces 20 to be separated if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vertical length is sufficient, and the degree of length can be any. Preferably it will be suitable to be about 10cm long, suitable for children to play with. And, the height of the cube may be to have a suitable height as to have a three-dimensional sculpture of the seven bridges. Preferably, the height is 1/3 or more of the horizontal and 3/4 or less, and preferably about 1/2 of the horizontal. Therefore, when the height is adjusted to the size of 1/2 of the width, the cube three-dimensional chisel play assembly mechanism 10 in the cube having an arbitrary length is possible to manufacture two sets. That is, it is horizontally cut at a half point of the cube height, and constitutes each of the seven pieces 20 by the two cut members.

상기 칠교조각(20)은, 삼각체(22,24,26) 네 개와, 사각형육면체(28) 하나 그리고 평행사변형육면체(29) 하나의 일곱조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삼각체(22,24,26)는, 크기가 다른 세 종류로 이루어지며, 대(大)삼각체(22) 두개와, 중(中)삼각체(24) 한 개, 그리고 소(小)삼각체(26) 두 개로 이루어진다. 대(大)삼각체(22)는, 가장 큰 변의 길이가 육면체의 가로,세로 길이와 동일하고, 나머지 두변의 길이는 육면체평면의 대각선의 절반길이를 갖는 동일한 이등변삼각형을 이루며, 높이는 임의대로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육면체의 1/2이 되는 높이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한다.The seven pieces 20 are composed of four pieces of triangular bodies 22, 24, and 26, one square cube 28 and one parallelogram cube 29. The triangles 22, 24, and 26 are made of three kinds of different sizes, two large triangles 22, one medium triangle 24, and a small one. It consists of two triangular bodies 26. The large triangle 22 has the largest side length equal to the lateral and vertical length of the cube, and the remaining two sides form the same isosceles triangle having a half length of the diagonal of the hexahedral plane, and the height can be arbitrarily arbitrary.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as having a height equal to 1/2 of the cube.

중(中)삼각체(24)는, 가장 큰 변의 길이가 상술한 대(大)삼각체(22)의 이등변의 길이와 동일하며, 나머지 두변의 각 길이가 육면체의 가로,세로의 1/2길이가되는 이등변삼각체이다. 상기 중(中)삼각체(24)의 높이는 상술한 대(大)삼각체(22)의 높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소(小)삼각체(26)는, 가장 큰 변의 길이가 상술한 중(中)삼각체(24)의 이등변의 길이와 동일하며, 나머지 두변의 각 길이는 대(大)삼각체(22)의 이등변의 1/2길이가 되는 이등변삼각체이다. 상기 소(小)삼각체(26)의 높이 역시 상술한 대(大)삼각체(22)와 중(中)삼각체(24)의 높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The middle triangle 24 has the length of the largest side equal to the length of the isosceles of the large triangle 22 described above, and the length of each of the remaining two sides is 1/2 of the width and length of the cube. It is an isosceles triangle with length. The height of the middle triangle 24 i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large triangle 22 described above. The small triangle 26 has the largest side length equal to the length of the isosceles of the middle triangle 24 described above, and each of the remaining two sides has a large triangle ( Isosceles triangle that is 1/2 the length of the isosceles of The height of the small triangle 26 is also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large triangle 22 and the middle triangle 24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 정사각형육면체(28)는 가로세로의 길이가 소(小)삼각체(26)의 이등변의 길이와 동일한 정사각형을 이루며, 높이는 상술한 삼각체(22,24,26)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평행사변형육면체(29)는, 가로의 큰변이 중(中)삼각체(24)의 이등변의 길이와 동일하고, 세로의 길이는 정사각형육면체(28)의 가로길이와 동일하며, 높이는 상술한 삼각체(22,24,26) 및 정사각육면체(28)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각 칠교조각(20)의 평면을 이루는 부위는 종래의 판상의 칠교조각과 동일하나, 각 칠교조각(20)이 동일한 일정한 높이를 가지므로 입체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square hexahedron 28 has a square length equal to the length of the isosceles of the small triangle (26), the height is made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triangular bodies (22, 24, 26). In addition, the parallelepiped cube 29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isosceles of the middle triangle 24 of the large side of the horizontal, the vertical length is the same as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square cube 28, the height is described above It is the same as one triangular body (22, 24, 26) and square cube (28). Therefore, the part constituting the plane of each of the seven pieces 20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plate-shaped seven pieces, but each of the seven pieces 20 is made of a three-dimensional shape because it has the same constant height.

한편, 상기 각 입체 칠교조각(20)들은 각 측면끼리 서로 결합되어 다양한 형상을 이루므로 입체적으로 3차원공간상에서 일정한 형상을 이루기 위해서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각 칠교조각(20)의 측면을이루는 부위에는 결합부재(30)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재(30) 상호간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결합부재(30)로는 자석(30,30') 또는 벨크로(미도시) 등을 이용할 수 있는 반면에, 블록쌓기 완구에서 사용되는 요철구조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는 상기 블록쌓기 완구는 결합되는 부위가 일정하므로 일정한 요철구조로상호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나, 칠교놀이 조립기구(10)는 결합되는 부위가 각 측면끼리 어느 부위나 가능하므로 각 측면부위 전체가 서로 서로 결합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부위만 결합 가능한 요철구조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three-dimensional chisel bridge 20 is coupled to each other side to form a variety of shapes to achieve a constant shape in three-dimensional space in three dimensions should not fall in the combined state. Therefore, the coupling member 30 is formed at a portion that forms the side surface of each of the seven pieces 20, and the coupling member 30 is coupled to each other. As the coupling member 30, magnets 30 and 30 'or Velcro (not shown) may be used, but the uneven structure used in the block stacking toy is not preferable. It is possible that the block stacking toys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constant concave-convex structure because the fixed portion is constant, but the chilgyol assembly assembly 10 is possible because any portion of each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is combined with each other as a whole each side portion This is because the concave-convex structure capable of binding only a predetermined site is impossible.

다음, 상기 결합부재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30)는 판상의 자석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판상자석(30)은 각각의 자석부재가 수평으로 라미네이트되어 스트립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스트립된 각 자석부재가 N극 및 S극이 교대로 이루어져 하나의 판상자석(30)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판상자석(30)은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일반적인것이므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Next, the coupling memb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rst, as shown in Figure 5, the coupling member 30 is made of a plate-shaped magnet. The box 30 is formed of a strip form by each of the magnet members are horizontally laminated, and each of the stripped magnet members are alternately composed of the N pole and the S pole to form a single box 30. Such a box 30 is a general one currently on the market, so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술한 판상자석(30) 대신에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소형의 원형자석(30')을 칠교조각(20)의 각 측면에 다수개 매설되도록 하는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칠교조각(20)의 측면에 노출되는 소형 원형자석(30')의 극은 교대로 N극 S극이 되도록 배열하여 다른 칠교조각(20)과 서로 결합되도록 할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as shown in FIG. 6 instead of the above-described plate box 30, it will be possible to have a plurality of small circular magnets 30 'embedded in each side of the chisel bridge 20. . The poles of the small circular magnet 30 ′ exposed to the side of the chisel piece 20 may be alternately arranged to be the N pole S pole to be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other chisel pieces 20.

한편, 상기 자석부재(30,30')는 각 칠교조각의 측면에 부착되거나 매설되도록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즉, 상기자석(30,30')은 각 칠교조각(20)들의 측면부분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각 칠교조각(20)의 측면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여 외형상으로는 상기 자석부재(30,30')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자석부재(30,30')로서 최근에 개발된 자석페인트(미도시)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각 칠교조각(20)의 측면에 자석페인트를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서 칠교조각(20)의 각 측면부위가 자석성을 띠게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Meanwhile, the magnet members 30 and 30 ′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attached to or embedded in each side of the seven bridge pieces,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magnets (30, 30 ') is to allow the side portions of each of the seven pieces 20 to be coupled to each other to be installed inside the side of each of the seven pieces (20) in appearance the magnet member (30,30') ) Can be made invisible. As the magnet members 30 and 30 ', a recently developed magnet paint (not shown) may be used. In other words, by applying a magnetic paint on the side of each of the seven pieces 20 and drying, it will be possible to make each side portion of the seven pieces 20 to be magnetic.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자석 대신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벨크로(valcro)(미도시)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벨크로 역시 각 칠교조각(20)의 측면부위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서 서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벨크로는 현재 일반적인 부착수단으로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may be composed of a velcro (not shown) which is generally widely used instead of a magnet. Such Velcro is also coupled to each other by being attached to the side portion of each seven pieces 20. The velcro is currently widely used as a general attachment means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한편, 상기 각 칠교조각(20)들을 지지하거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7에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기판(40)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기판(40)은 칠교놀이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베이스기판(40)의 면에 자석 또는 벨크로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기판(40)의 면위에서 칠교조각(20)을 조립하게 하는 것이다. 만일 칠교조작의 측면에 자석이 설치된 경우 베이스기판의 면 내부에 자석을 설치하여 칠교조각(20)의 측면이 상기 베이스기판(40)의 면에 부착되도록 하며, 칠교조각(20)의 측면에 벨크로가 부착된 경우 베이스기판(40)의 면외부에 동일한 벨크로가 부착되도록 하여 상기 칠교조각(20)이 베이스기판(40)의 면에 부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칠교놀이를 행할 경우, 상기 베이스기판(40)에서 수행되도록 하여 저면을 이루는 칠교조각(20)이 베이스기판(40)에 단단히 부착된 상태를 이룰 수 있고, 보관시에는 각 칠교조각(20)들이 베이스기판(40)에 부착된 상태로 보관 가능하므로 분실의 위험이 없어지게 된다.Meanwhile, in order to support the seven pieces 20 or prevent loss, the base substrate 40 may be provided. The base substrate 40 is to provide a space for the chilgy play to have a magnet or a velcro on th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40 to assemble the seven pieces 20 on th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40. If the magnet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pilyo operation by installing a magnet inside th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so that the side of the pilyo bridge 20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40, the Velcro When is attached to the same Velcro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40 so that the chisel bridge 20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40. Therefore, when the user performs a tangram play, the base piece 40 to be carried out in the base board 40 can be achieved to form a state that is firmly attached to the base board 40, each storage piece (7) 20) can be stored in a state attached to the base substrate 40, the risk of loss is eliminated.

다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입체 칠교놀이 조립기구(10)의사용과정을 도시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8 showing the use process of the three-dimensional Chilgyo play assembly mechanis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실시예(I)의 경우는 새의 형상을 조립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소(小)삼각체(26)의 이등변의 한면이 베이스기판(40)의 면에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소(小)삼각체(26)의 측면과 베이스가판(40)의 면에는 자석 또는 벨크로로 이루어져 서로 단단히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소(小)삼각체(26)의 이등변을 이루는 면이 베이스기판(40)에 부착된 소(小)삼각체(26)의 빗면에 일부 걸치도록 하여 부착시킨다. 이 역시 상기 각 소(小)삼각체(26)의 측면에는 결합부재(30)인 자석 또는 벨크로가 부착되어 있어 서로 충분히 부착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Example (I), the shape of a bird is assembled. As shown, first, one side of the isosceles of the small triangle 26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40. The side of the small triangle 26 and the surface of the base plate 40 is made of a magnet or Velcro to be firmly attached to each other. In the above state, the surface forming the isosceles of the small triangle 26 is partially attached to the comb surface of the small triangle 26 attached to the base substrate 40. This is also the side of each small (26) triangular (26) is a magnet or Velcro is attached to the coupling member 30 can be attached to each other sufficiently.

다음, 상기 소(小)삼각체(26)의 이등변을 이루는 하면에 대(大)삼각체(22)와정사각육면체(28) 및 평행사변형육면체(29) 그리고 중(中)삼각체(24)를 이용하여 각 칠교조각(20)들의 측면끼리의 자석 또는 벨크로로 이루어진 결합부재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순차적으로 부착시키게 된다. 완성된 상태에서는 상기 새의 형상은입체를 이루게 되고, 이는 도시한 도 2 실시예(V)에 나타낸 종래의 평면 새의 모양과 극명하게 대비된다.Next, a large triangle 22, a square cube 28, a parallelepiped cube 29, and a middle triangle 24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mall triangle 26. By using a coupling member made of magnets or Velcro of the sides of each of the seven pieces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sequentially. In the completed state, the shape of the bird is three-dimensional, which contrasts sharply with the shape of the conventional planar bird shown in FIG.

즉, 종래의 평면 칠교놀이에서는 단순히 평면상의 모양만으로 형성되므로 입체감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인 어린이들에게 충분한 창의력을 발휘하기에는미흡하였다. 그러나, 상기 도8의 실시예(I)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새의 형상이 입체적으로 뚜렸이 나타나므로 보다 현실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인 어린이에게 3차원의 공간에서 상기 각 칠교조각(20)들을 조립하게 됨으로서 공간개념을 익힐 수 있게 한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flat chilky play, it is simply formed in the shape of a plane, not only lacking a three-dimensional feeling but also insufficient to exhibit sufficient creativity for children as users. However, as shown in the embodiment (I) of FIG. 8,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hape of the bird appears three-dimensionally, not only there is more realism, but also each of the seven pieces of sculpture in a three-dimensional space to a user who is a user. By assembling the (20), you can learn the concept of space.

한편, 도시한 실시예(Ⅱ)에서는 도 3 실시예(Ⅳ)의 평면 의자모양을 본 고안에 따른 입체 칠교조각(20)으로 조립한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小)삼각체(26) 두 개를 대칭적으로 베이스기판(40)의 면에 부착되게 한 후, 나머지 칠교조각(20)으로 순차적으로 각 칠교조각(20)의 측면 결합부재를 따라 부착되도록 하여 의자의 형상을 3차원 공간상에서 조립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각 입체 칠교조각(20)들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자연적으로 공간개념을 터득하게 되며, 이에 따라 단순한 평면상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보다 사물을 형상화하는 시야를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합적인 사고력을 기르게 되어 창의력을 개발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I)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ssembling the three-dimensional chisel bridg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t chair shape of the embodiment (IV) of FIG. As shown, Two small triangles 26 are symmetrical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40, and then the remaining seven pieces 20 are sequentially attached along the side engaging members of each of the seven pieces 20. The shape of the chair is assembl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Therefore,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each of the three-dimensional chisel sculptures 20, the user naturally acquires the concept of space, thereby not only broadening the field of view of object shape but also comprehensive thinking power than when the work is performed on a simple plane. You will be able to develop your creativity.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비록 두가지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의 평면 칠교놀이에서 가능한 모든 모양이 입체적 형상으로 조립 가능하므로 간단한 칠교놀이를 통한 창의력 개발에 유익한 도구가 될 수 있는 것이다.Although the abov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two examples, it is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since all shapes possible in the conventional planar pilyo play can be assembled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it can be an advantageous tool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through simple pilyo pla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입체 칠교놀이 조립기구는 종래와 달리 3 차원공간상에서 입체적인 형상으로 조립되고, 또한 7개의 칠교조각을 이용하여 제한된 환경내에서 다양한 입체모양의 형성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조립하는과정에서 자연적으로 공간지각력을 향상시켜 창의력개발에 보다 유익해지는 효과가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hree-dimensional chisel bridg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in a three-dimensional space, unlike the prior art, and also can be formed in a variety of three-dimensional shape in a limited environment using the seven chisel pieces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it naturally improves spatial perception power, which is more beneficial for creativity development.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입체 칠교놀이 조립기구는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부피가 적으므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three-dimensional Chilgyo pla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ively simple and small in volume, there is another effect that anyone can easily use regardless of the place.

Claims (7)

가로 세로의 길이가 동일하고, 높이가 상기 가로의 1/3 이상 3/4이하 되도록이루어진 육면체로부터 유도되는 7개의 입체 칠교조각;그리고Seven solid chisel pieces derived from a hexahedron having the same length and width, and having a height greater than 1/3 and less than 3/4 of the width; and 상기 각 입체 칠교조각의 측면부위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각 칠교조각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어;It is installed along the side portion of each three-dimensional chisel pieces, it is composed of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seven pieces each other; 각 입체 칠교조각의 측면의 결합부재를 통해 각 조각이 서로 결합되어 다양한 모양의 입체형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칠교놀이 조립기구.The three-dimensional chisel play assembly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each piece is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coupling member of the side of each three-dimensional chisel sculpture to form a three-dimensional shape of various shape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육면체의 높이는 가로의 1/2이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칠교놀이 조립기구.The height of the hexahedron is a three-dimensional chilgyo play assembly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o be half of the width.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면상에 상기 칠교조각의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다른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칠교조각을 지지하는 베이스기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입체 칠교놀이 조립기구.The three-dimensional chisel play assembly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ase substrate for supporting the seven pieces to the other coupl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surface coupled with the coupling member of the seven pieces.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결합부재는 자석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칠교놀이 조립기구.The coupling member is a three-dimensional Chilgyo play assembly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magnet.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자석부재는 자석입자가 라미네이트된 스트립층들이 수평으로 배열되어이루어지는 판상자석이 각 칠교조각의 측면부위를 따라 부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칠교놀이 조립기구.The magnet member is a three-dimensional chisel play assembly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tice is formed by the horizontally arranged strip layers of the magnet particles are attached along the side portion of each of the seven pieces.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자석부재는 소형의 원형자석을 각 칠교조각의 측면부위에 다수개 매설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칠교놀이 조립기구.The magnet member is a three-dimensional chisel play assembly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mall circular magnets are embedded in the side portion of each chisel piece.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결합부재는 벨크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칠교놀이 조립기구The coupling member is a three-dimensional Chilgyo play assembly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Velcro
KR2019990002840U 1999-02-22 1999-02-22 Tangram game assembly made three-dimensional shape KR20022229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840U KR200222293Y1 (en) 1999-02-22 1999-02-22 Tangram game assembly made three-dimensional sha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840U KR200222293Y1 (en) 1999-02-22 1999-02-22 Tangram game assembly made three-dimensional sha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705U KR19990034705U (en) 1999-09-06
KR200222293Y1 true KR200222293Y1 (en) 2001-05-02

Family

ID=54756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2840U KR200222293Y1 (en) 1999-02-22 1999-02-22 Tangram game assembly made three-dimensional sha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293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50926A1 (en) * 2009-06-24 2010-12-29 Paik Nam Heon Tangram s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459B1 (en) 2015-03-23 2016-07-20 차동식 Tangram set consist of dozen pieces
KR200487634Y1 (en) 2016-10-05 2018-12-18 김지선 Snack for improving spatial cognition abil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50926A1 (en) * 2009-06-24 2010-12-29 Paik Nam Heon Tangram 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705U (en)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1713B2 (en) Three dimensional geometric puzzle
US4334870A (en) Tetrahedron blocks capable of assembly into cubes and pyramids
US5928052A (en) Cube toy blocks
JPH01305983A (en) Set or game for constituting figure, shape or pattern
KR102519226B1 (en) Toy Block Elements
KR200222293Y1 (en) Tangram game assembly made three-dimensional shape
KR101160431B1 (en) A puzzle block having the function of the korean language studying
JPS61284282A (en) Assembling toy
JP3217628U (en) 3D modeling block
JP3149263U (en) Form grasp exercise device
CN211798803U (en) Magnetic building toy
CN112370797A (en) Digital transformation educational toy building block
WO1997026963A1 (en) The modular, adaptable puzzle
CN211724645U (en) Wall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plug-in for children entertainment
JP3046068U (en) 3D combination building toys
KR200271892Y1 (en) Block toy with squeaker on all sides
JP3238841U (en) Domino game tiles and domino game set using the same
KR200189795Y1 (en) A game set comprising of seven blocks
KR100740408B1 (en) Studying assembly block
KR20130007930A (en) Block toy
JPH0233837Y2 (en)
KR200218939Y1 (en) Tangram set consist of ten pieces
JPH09155072A (en) Toy for child
CN209630623U (en) Meccano splicing-picture toy bricks
CN210992930U (en) Rock magic c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