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536Y1 - 훈증기 - Google Patents

훈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536Y1
KR200221536Y1 KR2020000033886U KR20000033886U KR200221536Y1 KR 200221536 Y1 KR200221536 Y1 KR 200221536Y1 KR 2020000033886 U KR2020000033886 U KR 2020000033886U KR 20000033886 U KR20000033886 U KR 20000033886U KR 200221536 Y1 KR200221536 Y1 KR 2002215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cover
center
heating plate
fumiga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8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엽
Original Assignee
이주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엽 filed Critical 이주엽
Priority to KR20200000338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5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5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536Y1/ko

Link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원터치방식으로 상하부로 선회가 가능한 안전덮개를 가진 훈증기를 구비함으로써 훈증기에 충격이 가해저서 훈증기가 뒤집히더라도 발열판에 놓여진 향매트가 항상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는 훈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대응하여 결합되고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벽체가 형성되며 상기 벽체의 내주연에 단턱이 형성된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중공부내에 요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 양단부에 회전안내 손잡이를 가지며 상기 회전안내 손잡이의 내측에 안착부가 형성되고 이의 중앙에 판상의 발열판이 설치되며 발열판의 전면 상면에는 고정홈이 일체로 형성된 회전판; 상기 발열판에 안치되는 향매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판의 안착부에 일단이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통기공을 가지며 중앙 저면에 상기 향매트를 압착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안전덮개; 상기 안전덮개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어 덮개를 회전판상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과 안전덮개에 의해 훈증기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뒤집히더라도 향매트가 항상 안전하게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훈증기{Smoke generator}
본 고안은 하절기에 발생하는 모기를 잡기 위하여 향매트를 지속적으로 가열하여 모기향이 외부로 확산되도록 하는 훈증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원터치방식으로 상하부로 선회가 가능한 안전덮개를 가진 훈증기를 구비하여 훈증기에 충격이 가해저서 훈증기가 뒤집히더라도 발열판에 놓여진 향매트가 항상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훈증기에 관한 것이다.
훈증기는 이제까지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훈증기들은 바닥면에 놓고 사용하는 것과 벽면의 콘센트에 직접적으로 체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전자의 경우 훈증기 본체의 내부에 일정한 길이의 전선이 권취되어 있고, 본체의 상단부에는 발열판을 고정 설치하여서 사용자가 이 발열판의 상부면에 모기 살충용 향매트를 재치하면 발열판위의 향매트가 가열되면서 향이 외부로 확산되어 모기를 살충시키고 있다.
위와 같은 형태의 훈증기를 사용하여서 모기를 살충할 때 훈증기의 발열판상에 향매트를 얹고, 훈증기의 발열판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향매트를 훈증하여서 소기의 살충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훈증기의 경우 향매트가 대부분 외부로 노출이 되어 있거나 내부에 삽입하는 것으로, 이때 향이 소진된 향매트를 교체하기 위하여 훈증기를 들어서 거꾸로 향하게 하거나 손가락을 넣어 집어넣는 행위를 하여야 함으로서 고온의 발열판에 손을 데어 화상을 입는 경우가 빈번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고온의 발열판상에 단순히 향매트를 올려 놓고 훈증하므로 유아들의 손에 닿아서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는 동시에 훈증기에 충격이 가해저서 훈증기가 뒤집히게 되면 향매트가 밖으로 튀어나와 화재의 위험이 되는 결함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원터치방식으로 상하부로 선회가 가능한 안전덮개를 가진 훈증기를 구비함으로써 훈증기에 충격이 가해저서 훈증기가 뒤집히더라도 발열판에 놓여진 향매트가 항상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는 훈증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대응하여 결합되고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벽체가 형성되며 상기 벽체의 내주연에 단턱이 형성된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중공부내에 요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 양단부에 회전안내 손잡이를 가지며 상기 회전안내 손잡이의 내측에 안착부가 형성되고 이의 중앙에 판상의 발열판이 설치되며 발열판의 전면 상면에는 고정홈이 일체로 형성된 회전판; 상기 발열판에 안치되는 향매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판의 안착부에 일단이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통기공을 가지며 중앙 저면에 상기 향매트를 압착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안전덮개; 상기 안전덮개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어 덮개를 회전판상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과 안전덮개에 의해 훈증기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뒤집히더라도 향매트가 항상 안전하게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훈증기의 하부케이스 저면 일단에 건물의 벽면에 벽걸이 식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걸이홈을 형성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 훈증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하부케이스의 저면을 보인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훈증기 10:하부케이스
11:걸이홈 12:상부케이스
13:중공부 14:벽체
15:단턱 20:회전판
21:회전안내 손잡이 22:안착부
23:발열판 24:고정홈
30:안전덮개 31:선회축
32:통기공 33:고정돌기
40:고정수단 41:훅
42:걸림돌기 42:걸림부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 구조를 보인 사용상태 정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전체를 부호 1로 표시한 훈증기는 바닥면에 놓을 수 있도록 저면에 다수개의 받침대가 형성된 하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2)와 상부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20)과 회전판의 내부에 선회가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덮개(30)와 안전덮개를 회전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10)는 평상시에는 바닥면에 놓고 사용하다가 상황에 따라서는 하부케이스(10)의 저면 일단에 형성된 걸이홈(11)을 이용하여 건물의 벽면에 구비된 못이나 돌기에 훈증기(1)를 벽걸이 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케이스(12)는 상기 하부케이스(10)와 대응하여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부케이스(12)의 중앙에는 중공부(13)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벽체(14)가 형성되며, 이 벽체(14)의 내주연에는 경사면을 가지는 단턱(15)이 형성되어 이후에 설명할 회전판(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판(20)은 상기 상부케이스(12)의 중공부(13)내에 요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벽체(14)내의 단턱(15)에 회전판(20)이 지지되는 동시에 면접촉을 하면서 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이 회전판(20)은 도 2와 같이 저면에 형성된 고정축(20a)에 전선(51)의 일단이 권취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케이스(10)를 관통하여 벽면에 형성된 콘센트에 꽂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전원플러그(52)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회전판(20)의 상면 양단부에 회전안내 손잡이(21)를 구비하여 회전판(20)의 고정축(20a)에 권취된 전선(51)을 쉽게 감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판(20)의 중앙에는 이후에 설명할 상기 안전덮개(3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안착부(22)가 형성되고, 이 안착부(22)의 중앙에는 향매트(50)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향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도록 발열판(2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판(20)의 전면에는 고정홈(24)을 형성하여 이후에 설명할 고정수단(40)의 걸림부재(43)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안전덮개(30)는 발열판(23)에 놓여지는 향매트(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판(20)의 안착부(22)에 일단이 선회축(31)으로 축지되어 이를 중심으로 상하부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과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전덮개(30)의 중앙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통기공(32)을 형성하여 발열판(23)에서 가열된 향매트(50)의 향이 외부로 빠르게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향매트(50)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안전덮개(30)의 중앙 저면에는 발열판(23)에 놓여진 향매트(50)를 압착하기 위한 고정돌기(33)가 돌출 형성되어 훈증기(1)에 충격이 가해저서 뒤집히더라도 향매트(50)를 항상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안전덮개(30)는 전체적으로 라운드형상을 이루고 있어서 외관을 수려하게 하는 동시에 향매트(50)가 외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덮개(34)의 전면 상부에는 요철로된 누름부(34)를 형성하여 야간이나 또는 시각장애자를 위하여 안전덮개(30)의 개폐되는 방향을 인식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안전덮개(30)의 전면 하부에 훅(41)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는 위치 즉, 상기 회전판(20)의 고정홈(24)에 스프링(S)에 의해 탄력적으로 승하강을 반복하도록 내측에 걸림돌기(42)를 가지는 걸림부재(43)가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도 2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전덮개(30)의 누름부(34)를 하측방향으로 누르면 훅(41)의 일단이 걸림부재(43)의 걸림돌기(42)에 고정되면서 안전덮개(30)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안전덮개(30)를 한번 더 누르게 되면 체결상태가 해지되면서 안전덮개(30)가 스프링(S)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개폐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구성되는 본 고안은 회전판(20)의 내부에 안전하게 위치되는 발열판(23) 상부에 향매트(50)를 올려놓으면 향매트(50)는 일부가 상부로 노출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안전덮개(30)를 도 2와 같이 하측으로 내리게되면 안전덮개(30)의 훅(41)이 회전판(20)의 걸림부재(43)에 고정이 되면서 상기 안전덮개(30)의 고정돌기(33)가 향매트(50)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훈증기(1)의 하부케이스(10)에 권취된 전선(51)을 외부로 인출하여 벽면의 콘센트에 전원플러그(52)를 연결한 다음 원하는 장소에 훈증기(1)를 이동시켜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사용자는 훈증기(1)를 원하는 곳 즉, 평평한 바닥면에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도 4와 같이 훈증기(1) 하부케이스(10)의 걸이홈(11)을 이용하여 벽면에 걸어 놓고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사용중 훈증기(1)의 향매트(50)가 다되어서 교체하여야 될 경우에는 안전덮개(30)의 누름부(34)를 한번 누르게 되면 고정수단(40)의 훅(41)이 걸림부재(43)의 걸림돌기(42)에서 해제되면서 스프링(S)의 탄발력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발열판(23)에 놓여진 향매트(50)를 교체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훈증기(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회전판(20)의 회전안내 손잡이(2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선이 회전판(2)의 고정축(20a)을 중심으로 감아지면서 하부케이스(10)의 내부에 권취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훈증기(1)는 하부케이스(10)에 전원플러그(52)가 일체로 형성된 벽걸이식의 훈증기(1)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훈증기의 발열판과 향매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는 동시에 이의 상부에 안전덮개를 구비하여 훈증기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훈증기가 뒤집히더라도 향매트가 발열판에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안전덮개를 원터치식으로 고정 및 해지할 수 있어서 향이 소진된 향매트를 간단하게 인출할 수 있으므로 향매트의 파지 및 인출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 회전판에 회전안내 손잡이를 형성하여 밖으로 인출된 전선을 쉽게 감을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고안의 훈증기는 바닥면에 놓고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벽면등에 벽걸이 식으로도 겸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대응하여 결합되고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로 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벽체가 형성되며 상기 벽체의 내주연에 단턱이 형성된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중공부내에 요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 양단부에 회전안내 손잡이를 가지며 상기 회전안내 손잡이의 내측에 안착부가 형성되고 이의 중앙에 판상의 발열판이 설치되며 발열판의 전면 상면에는 고정홈이 일체로 형성된 회전판;
    상기 발열판에 안치되는 향매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판의 안착부에 일단이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통기공을 가지며 중앙 저면에 상기 향매트를 압착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안전덮개;
    상기 안전덮개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어 덮개를 회전판상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안전덮개의 전면 하부에 훅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판의 고정홈에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승하강을 반복하도록 내측에 걸림돌기를 가지는 걸림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안전덮개를 누르면 훅이 걸림부재의 걸림돌기에 고정되고 이후 상기 안전덮개를 누르면 체결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저면 일단에 건물의 벽면에 벽걸이 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걸이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증기.
KR2020000033886U 2000-12-04 2000-12-04 훈증기 KR2002215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886U KR200221536Y1 (ko) 2000-12-04 2000-12-04 훈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886U KR200221536Y1 (ko) 2000-12-04 2000-12-04 훈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536Y1 true KR200221536Y1 (ko) 2001-04-16

Family

ID=7306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886U KR200221536Y1 (ko) 2000-12-04 2000-12-04 훈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5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736Y1 (ko) * 2019-01-31 2019-07-30 김삼남 모기향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736Y1 (ko) * 2019-01-31 2019-07-30 김삼남 모기향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56926A (en) Electric fogging apparatus
JP3766696B2 (ja) 電気薫蒸装置
US6503459B1 (en) Heated volatile dispenser
KR102086915B1 (ko) 휴대용 훈연식 모기향 연소 케이스
EP1259267B1 (en) A diffuser
US6389739B1 (en) Adjustable burnable coil container
KR200221536Y1 (ko) 훈증기
AU2001273338A1 (en) Adjustable burnable coil container
KR200397533Y1 (ko) 전기향로
US6285829B1 (en) Radiant electric space heater
JPS5837259Y2 (ja) 電気燻香器
KR200166072Y1 (ko) 포켓식 모기향 홀더
JPH0350799Y2 (ko)
KR100281445B1 (ko) 해충 퇴치기
JPS593730Y2 (ja) 電気燻蒸殺虫器の保持台
JP3123954U (ja) 芳香燃料体
KR200215735Y1 (ko) 모기잡이향 훈증기
KR200221471Y1 (ko) 훈증기
KR200210849Y1 (ko) 모기향 연소기
JPH0534544Y2 (ko)
JPS584448Y2 (ja) 電気蚊取器
KR100281446B1 (ko) 전기 훈증기
KR0134289Y1 (ko) 매트훈증기
KR900004755Y1 (ko) 모기향 훈증기가 부설된 선풍기
JP2003310733A (ja) 芳香発生方法及び芳香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