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282Y1 - 수평 측량기 - Google Patents

수평 측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282Y1
KR200221282Y1 KR2020000030787U KR20000030787U KR200221282Y1 KR 200221282 Y1 KR200221282 Y1 KR 200221282Y1 KR 2020000030787 U KR2020000030787 U KR 2020000030787U KR 20000030787 U KR20000030787 U KR 20000030787U KR 200221282 Y1 KR200221282 Y1 KR 2002212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weight
horizontal
fix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김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태 filed Critical 김경태
Priority to KR2020000030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2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2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282Y1/ko

Links

Landscapes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평을 측량할 수 있는 수평 측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목 공사장이나, 건축 공사장의 단위별 공사장에서 간단한 조립으로 동일한 수평위치를 동시에 측량할 수 있도록 레이저를 이용한 수평 측량기에 관한 것이다.
장소를 불문하고 위치할 수 있는 측량대가 형성되고 상기 측량대 중앙에는 아래 방향으로 같은 높이에서 작동이 자유로운 추가 형성되고 상기 추에서 레이저가 발사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추가 어떤 위치에서건 중력 방향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측량대의 위치를 교정하지 않고 신속하게 설정 위치를 측량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평 측량기 {Horizontal surveying instrument}
본 고안은 수평을 측량할 수 있는 수평 측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목 공사장이나, 건축 공사장의 단위별 공사장에서 간단한 조립으로 동일한 수평위치를 동시에 측량할 수 있도록 레이저를 이용한 수평 측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평을 측량하기 위한 기구 또는 기계는 다양하게 구비된 것이 사실이다. 토목공사장이나 건축공사장의 기초공사 시에는 측량기로 측량위치에서 원 거리 까지를 측량하게 되어 오차의 범위가 커질 수 있으므로 정밀을 요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관계로 상기와 같은 측량은 측량대의 위치부터 정교한 설정이 요구되어 원거리 측량에 주로 이용된다.
공사장에는 상기와 같은 원 거리 측량 뿐 아니라 단위별 공사장에서는 상이한 공사를 하게 된다. 예로, 목수의 경우 기초에서부터 완성시 까지 공사에 참여하게 되며 구조물의 수평과 수직을 수시로 측량하게 되며 그 기구로 수평대 또는 긴 호스에 물을 넣고 물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하는 방법으로 수평을 측량하게 된다. 같은 방법으로 미장, 조적 역시 수평, 수직을 측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측량기와 같은 고가이면서 정밀한 기계는 상기 목수, 미장은 조작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구입 자체에 어려움이 있고, 상기와 같은 수평기, 투명 물호스를 이용한 측량은 구입상 용이하고 조작이 간편하다는 점은 강조할 수 있으나, 오차의 범위가 크고 일정한 범위를 벗어나면 측량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정확성이 크고 가격이 저렴하며 일반 기능공이 정확하게 측량할 수 있는 수평측량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한정된 지역을 측량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은 설정된 지역을 수평 측량하기 위해 측량기의 수평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
본 고안은 레이저 광선으로 수평지점을 설정하므로 레이저광선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장소를 측량토록 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플레트 12 : 지지대
13 : 볼트 14 : 롤러
15 : 회전판 16 : 손잡이
17 : 지지체인 18 : 고정대
19 : 추 20 : 구멍(a,b)
21 : 조사구 22 : 고정부재
23 : 스위치박스 24 : 동력박스
25 : 케이블 26 : 홈
27 : 베어링 28 : 개구부
첨부된 도면과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측량대와 추와 추를 지지하는 지지체인과 추를 회전시키는 회전판과 추의 상. 하 위치를 변경시키는 구멍과 고정대,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는 전원으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정한 규격의 장방형 플레이트(11)가 형성되며 그 저부의 4 귀퉁에는 슬리브 모양의 고정부재(22)가 고정되고, 고정부재(22)의 측면에는 볼트(13)가 형성되며 플레이트(11) 중심에는 개구부(28)가 천공되고 상기 개구부(28) 원주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환상 베어링(27)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11) 일측에는 전원 스위치박스(23)가 형성되고 그 저부에는 전원박스(24)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8) 상부에는 회전판(15)이 형성되고 회전판(15) 중앙에는 구멍(20a)이 천공되며 구멍(20a)을 중심으로 크로스 홈(26)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판(15)의 구멍(20a)에는 고정대(18)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20b)이 형성된 지지체인(17)이 통과되며 지지체인(17)의 일측은 손잡이(16)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레이저가 조사되는 조사구(21)가 형성된 추(19)의 상부와 연결 고정된다.
상기 레이저는 전원박스(24)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대(12)의 하부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롤러(14)가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장방형의 플레이트(11) 저부에 슬리브형의 고정부재(22)를 4귀특에 부착 고정시키고 단부에 롤러(14)가 형성된 지지대(12)를 삽입시킨 후 볼트(13)로 조여서 지지대(12)는 고정부재(2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플레이트(11) 중심에 개구된 개구부(28)에 환상형 베어링(27)을 끼워 고정시키고 회전판(15)을 상기 베어링(27) 위에 씌우듯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며, 플레이트(11) 일측 저부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직류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동력박스(24)가 형성되고 케이블(25)에 의해 추(19)에 연결되어 레이저 광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레이저광선의 제어는 플레이트(11) 상부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 박스(23)의 스위치 작동에 의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작용을 실시 예와 같이 설명하고자 한다.
건설현장의 골조가 완성되고 일정한 규격의 바닥을 미장 시공 하고자 할 때, 그 바닥의 높이를 동일하게 시공해야하므로 일차적으로 공동의 높이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즉 일정한 곳에 기점을 설정하고 그 기점의 아래에 일정한 수치로 하강하여 설정된 기점이 전체 바닥 높이의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바닥의 높이가 설정되면 전체의 바닥을 같은 높이로 시공하기 위해서 표시가 용이한 지점에 같은 높이로 표시를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표시 작업을 종래에는 일정한 길이의 투명 호스에 물을 주입하여 어느 한끝 부분을 처음 설정한 기점에 고정하고 다른 끝 부분을 표시가 필요한 지점을 옮기면서 표시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 방법은 호스에 기포가 발생하면 수면의 정밀성이 떨어지므로 정밀성을 기대하기 어렵고 신속하게 작업할 수 없으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며 투명호스 자체가 내구성이 떨어지므로 수시로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약 500평의 실내의 바닥 평탄 작업을 한다고 할 때, 바닥고가 설정된 상태에서 작업을 하게 되고 상기 설정된 바닥고의 실시는 작업자가 실시해야하므로, 작업장이 500평인 경우 두변의 길이가 각각50m,30m의 직사각형으로 이해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크기의 면적의 바닥 높이를 투명호스로 작업한다고 한다면 최소한 50m 이상의 호스가 필요할 것이며 이와 같은 호스에 물을 주입하고 이동조차 힘들 것이며 이와 같은 길이의 호스에 기포 없이 물을 주입한다는 것 역시 어려움이 있다.
본원 고안에 의해 상기와 같은 조건의 작업을 한다고 할 때, 내벽의 어느 위치에 설정된 높이를 표시한다.
본원 고안의 수평측량기를 일정한 곳에 위치시키면 일정한 중량으로 구성된 원추형의 추는 어떤 조건하에서 건 중력 방향으로 향하므로 추의 지지체인은 수직으로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추(19)는 지지체인(17)의 일단에 고정되며 지지체인(17)의 다른 일단은 손잡이(16)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체인(17)은 그 길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20b)이 형성되어 추(19)의 높이를 조절할 때 고정대(18)를 상기 구멍(20b)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고 크로스홈(26)에 안착되므로 외압에 의해 이동하지 않으므로 작업 중 추(19)의 높이에 변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 상태에서 스위치를 ON 하면 동력이 추(19)의 레이저 전원으로 인가되어 레이저가 조사구(21)로 조사된다. 상기와 같이 조사되는 레이저를 설정된 표시 점에 고정하기 위해 손잡이(16)를 상. 하로 조절하여 레이저와 표시점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추(19)를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에서 회전판(15)을 회전시키면 추(19)가 회전판(15)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표시하고 싶은 곳에 레이저를 고정하고 표시하면 레이저의 직진성에 의해 모든 표시 점은 동일한 높이에 표시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수평측량기는 간단한 구조이므로 염가로 구입할 수 있으며, 수평을 측량하기 위해 수평측량기의 수평을 별개로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바닥의 형태에 관계없이 작업할 수 있다.

Claims (1)

  1. 수평측량기에 있어서, 중앙에 개구부(28)가 형성된 플레이트(11)와 그 저부에 고정되는 3개 이상의 고정부재(22)와 상기 고정부재(22)에 삽입 고정되고 단부에는 롤러(14)가 형성된 지지대(12)와 상기 개구부(28)에 고정 결합되는 환상의 베어링(27)과 상기 베어링(27)과 결합되어 회동이 자유롭고 그 중앙에 천공된 구멍(20a)과 상기 구멍(20a)을 중심으로 크로스 홈(26)이 형성된 회전판(15)과 상기 회전판(15)의 구멍(20a)을 통과하여 상. 하로 이동되는 지지체인(17)과 상기 지지체인(17) 아래 단부에 고정되고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는 레이저 조사구(21)와 상기 레이저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25)이 연결된 추(19)와 상기 지지체인(17)의 윗 단부에 상기 추(19)를 상. 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16)와 상기 추(19)의 이동상태에서 그 높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멍(20b)에 삽입되고 크로스홈(26)에 안착되는 고정대(18)와 상기 레이저의 작업을 제어하는 스위치 박스(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측량기.
KR2020000030787U 2000-11-03 2000-11-03 수평 측량기 KR2002212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787U KR200221282Y1 (ko) 2000-11-03 2000-11-03 수평 측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787U KR200221282Y1 (ko) 2000-11-03 2000-11-03 수평 측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282Y1 true KR200221282Y1 (ko) 2001-04-16

Family

ID=7309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787U KR200221282Y1 (ko) 2000-11-03 2000-11-03 수평 측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2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930Y1 (ko) 2012-07-25 2013-09-0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안테나 치구 이동받침대
KR102555460B1 (ko) 2022-07-26 2023-07-13 주식회사 대영씨앤티 측량기 교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930Y1 (ko) 2012-07-25 2013-09-0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안테나 치구 이동받침대
KR102555460B1 (ko) 2022-07-26 2023-07-13 주식회사 대영씨앤티 측량기 교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6895B1 (en) Laser level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JP2004212058A (ja) 作業位置測定装置
KR101349377B1 (ko)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
KR200221282Y1 (ko) 수평 측량기
US11193766B2 (en) Apparatus and methods in installation of objects
US7797845B2 (en) Levelling device
KR101550403B1 (ko) 개량형 포터블 프리즘 수신장치와 개량형 포터블 gps 수신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측량방법
KR101984507B1 (ko) 개량형 포터블 프리즘 수신장치와 이를 이용한 측량방법
JP2007271627A (ja) 作業位置測定装置
KR101613240B1 (ko) 고층 건물의 시설물 설치용 레벨장치
JP3134970U (ja) 光墨出し器具
KR101566685B1 (ko) 레이저빔 포인팅 장치의 수평 유지 장치
KR20080048771A (ko) 레이저 수평 수직장치용 삼발이
JP2509123B2 (ja) 基準器基準点の通り測定装置
ITMI992509A1 (it) Strumento di livello
CN220625269U (zh) 一种便携式建筑测绘用测高装置
KR20080048979A (ko) 레이저 수평 수직장치
CN213120564U (zh) 一种站房施工塔吊垂直度监测工具
JP3368251B2 (ja) 墨出し用装置
CN219869731U (zh) 一种墙体垂直度检测装置
KR0140004B1 (ko) 법면 시공용 규준틀 설치기
KR200232390Y1 (ko) 측량기
CN220542058U (zh) 一种精准控制坡率的坡比控制仪
KR100520018B1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수평 측정기
KR20040028855A (ko) 레이저를 이용한 수평과 수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