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076Y1 - 패킹 - Google Patents

패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076Y1
KR200221076Y1 KR2020000031877U KR20000031877U KR200221076Y1 KR 200221076 Y1 KR200221076 Y1 KR 200221076Y1 KR 2020000031877 U KR2020000031877 U KR 2020000031877U KR 20000031877 U KR20000031877 U KR 20000031877U KR 200221076 Y1 KR200221076 Y1 KR 2002210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tube
elastic
hollow
pack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수창
Original Assignee
고려알파라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알파라인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알파라인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1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0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076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호 기밀을 요하는 두 부분의 기밀유지를 위한 패킹에 관한 것으로서, 폐공간의 중공을 형성하는 탄성재질의 패킹관과; 상기 중공내에 삽입되어 상기 패킹관의 탄성복원력을 향상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패킹의 탄성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킹의 변형이 적정범위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패킹의 마모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패킹{packing}
본 고안은, 패킹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복원력을 향상시키고 마모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패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킹은 상호 접하는 두 부분간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패킹은 용도에 따라 그 형태나 재질이 다양하며,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가정 내에서는 도 5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용기의 뚜껑에 부착된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뚜껑에는 그 연부에 둘레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함몰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삽입홈에는 패킹(51)이 삽입되어 용기와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도 5의 a)에 도시되어 있는 패킹(51)은 속이 꽉찬 패킹(51)으로서, 패킹(51) 자체의 재질에 따라 탄성복원력이 결정되나 속이 비어있는지 차있는지에 따라 변형되는 정도가 결정되므로, 속이 꽉찬 패킹(51)은 속이 비어있는 패킹에 비해 변형이 적고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편이다. 그러나, 패킹(51) 자체의 크기에 따라 용기와의 간격이 결정되기 때문에 뚜껑과 용기와의 간격에 따라 패킹(51)의 크기를 정확하게 재단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되어 있는 패킹(53)은 속이 비어있는 관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패킹(53)내에는 폐공간을 가지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패킹(53)은 중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과 용기와의 결합시 뚜껑과 용기와의 간격에 따라 패킹이 유동적으로 크기가 변하기 때문에 패킹(53)의 크기를 정확하게 제조하지 아니하여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중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복원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고, 뚜껑과 용기와의 결합시 패킹(53)이 가압되어 변형이 심해지면 변형된 영역이 용기와의 접촉으로 인해 마모가 발생하여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탄성복원력이 우수하면서도 적절한 정도의 변형이 이루어지는 패킹(51,53)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탄성복원력이 우수하고 적절한 정도의 변형이 이루어지는 패킹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킹이 설치된 용기뚜껑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패킹만을 발췌시킨 상태의 확대 단면도,
도 4의 a) 내지 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킹의 단면도,
도 5의 a) 내지 b)는 종래의 패킹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킹 3 : 패킹관
5 : 볼 10 : 내관
13 : 돌기 15 : 스프링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상호 기밀을 요하는 두 부분의 기밀유지를 위한 패킹에 있어서, 폐공간의 중공을 형성하는 탄성재질의 패킹관과; 상기 중공내에 삽입되어 상기 패킹관의 탄성복원력을 향상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패킹관의 내벽면에 접하도록 상기 중공내에 수용되며 실리콘으로 형성된 볼로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패킹관보다 큰 탄성계수를 갖는 탄성물질로 형성된 관으로 상기 패킹관내에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패킹관내에는 폭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한 적어도 한 쌍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돌기에 의해 각 단부가 고정된 스프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패킹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30) 뚜껑(20)의 둘레방향을 따라 부착되며, 뚜껑(20)에는 패킹(1)의 삽입을 위한 삽입홈(21)이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뚜껑(20)의 상면 중앙영역에는 본원 고안자가 실용신안으로 선등록한 88100호 공기 유출입밸브(40)가 설치되어 있다.
패킹(1)은, 폐공간의 중공이 형성된 패킹관(3)과, 패킹관(3)내에 삽입되어 패킹관(3)의 탄성복원력을 증가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패킹은, 패킹관(3)이 실리콘으로 형성되며, 탄성체는 패킹관(3)과 탄성계수가 상이한 물질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탄성체는 원형의 볼(5)이며, 패킹관(3)내에는 전 영역에 걸쳐 볼(5)이 수용된다. 이러한 볼(5)이 패킹관(3)내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5)을 수용시킨 다음, 접착제를 이용하여 볼(5)을 패킹관(3)의 내측벽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패킹(1)은 도 3에서 상세하게 볼 수 있듯이 볼(5)에 의해 탄성복원력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볼(5)과 볼(5) 사이의 틈으로 인해 패킹관(3)의 내측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공간이 형성된 범위내에서 패킹(1)은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4의 a) 내지 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킹의 단면도이다. 도 4의 a)의 실시예에 따른, 패킹(1)은, 중공이 형성된 패킹관(3)과, 패킹관(3)의 중공내에 삽입되는 내관(10)을 갖는다. 내관(10)은 패킹관(3)보다 탄성계수가 큰 물질로 형성되며, 내관(10)의 외경면이 패킹관(3)의 내벽면에 밀접하도록 내관(10)의 직경은 패킹관(3)의 중공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패킹(1)은 내관(10)에 의해 탄성복원력이 증가하게 되며, 내관(10)의 내부에도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관(10)내의 중공의 폭만큼 패킹(1)의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내관(10)의 중공의 폭은 패킹관(3)의 중공의 폭보다 작으므로 패킹(1)이 심하게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의 b)의 실시예에 따른 패킹(1)은, 패킹관(3)과, 패킹관(3)내에 패킹관(3)의 직경을 따라 설치된 스프링(15)을 갖는다. 스프링(15)은 설계에 따라 탄성계수를 변형시킬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패킹관(3)보다 큰 탄성계수를 갖는 스프링(15)을 사용한다. 패킹관(3)내에는 스프링(15)의 고정을 위해, 직경을 따라 상호 대향되는 두 지점에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1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15)의 각 단부를 돌기(13)에 삽입하여 스프링(15)을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한 패킹(1)은, 스프링(15)의 탄성에 의해 탄성복원력이 향상되며, 스프링(15)의 탄성에 의해 소정의 범위내에서만 패킹(1)의 변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패킹(1)은 중공이 형성된 패킹관(3)내에 탄성계수가 상이한 탄성체인 볼(5), 내관(10), 스프링(15)을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탄성계수가 상이한 탄성체에 의해 패킹(1)의 탄성복원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패킹관(3)내의 공간에 의해 패킹(1)의 변형이 적정범위에서 이루어지므로 심한 변형으로 인해 패킹이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킹(1)의 크기에 어느 정도 유동성을 가지게 되므로, 패킹(1)을 표준화할 수도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패킹(1)을 공기유출입밸브(40)가 설치된 뚜껑(20)의 하부연에 설치하고 용기(30)(식품진공용기)의 개구를 뚜껑으로 덮은 후 뚜껑(20)을 가압하면, 뚜껑(20)이 가압되는 만큼 용기(30) 내부의 공기가 공기유출입밸브(40)를 통해 흡출됨으로써 용기(30) 내부는 진공상태가 이루어져 뚜껑(20)은 용기(3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진공용기용 뚜껑(20)에 패킹(1)을 설치하면 뚜껑을 임시적으로 진공 폐쇄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패킹의 탄성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킹의 변형이 적정범위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패킹의 마모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상호 기밀을 요하는 두 부분의 기밀유지를 위한 패킹에 있어서,
    폐공간의 중공을 형성하는 탄성재질의 패킹관과;
    상기 중공내에 삽입되어 상기 패킹관의 탄성복원력을 향상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패킹관의 내벽면에 접하도록 상기 중공내에 수용되며 실리콘으로 형성된 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패킹관보다 큰 탄성계수를 갖는 탄성물질로 형성된 관으로 상기 패킹관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관내에는 폭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한 적어도 한 쌍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돌기에 의해 각 단부가 고정된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KR2020000031877U 2000-11-14 2000-11-14 패킹 KR200221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877U KR200221076Y1 (ko) 2000-11-14 2000-11-14 패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877U KR200221076Y1 (ko) 2000-11-14 2000-11-14 패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076Y1 true KR200221076Y1 (ko) 2001-04-16

Family

ID=73091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877U KR200221076Y1 (ko) 2000-11-14 2000-11-14 패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0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3676B2 (en) Combination umbrella and inverted bi-directional valve
JP6710677B2 (ja) 医療用コネクタ
US20220331205A1 (en) Teat for an infant feeding bottle
KR100508275B1 (ko) 패스닝 기구용 압축 기체 캐니스터와 중간 밀폐부에 끼워넣기 위한 어댑터 캡
PL198982B1 (pl) Korpus zaworowy
EP1632698A3 (en) Cylindrical gate valve
US7588048B2 (en) Air pump nozzle
EP0983885A3 (en) Air passage switching system for air conditioner
JP3492600B2 (ja) 逆流防止容器
CA2336552A1 (en) Slotted closing valve for openings of containers
RU2004107797A (ru) Гибкий тюбик с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й головкой без обратного поступления воздуха
KR200221076Y1 (ko) 패킹
US20030106872A1 (en) Nipple with air intake valve
KR101827129B1 (ko) 진공밀폐 용기
KR200251372Y1 (ko) 조립공정과 밀폐력을 강화시킨 밀폐용기
WO1999004187A1 (en) Duckbill valve
CN215077983U (zh) 一种清洁设备
JP3683511B2 (ja) バルブユニット及び容器
KR0116408Y1 (ko) 생수통용 물펌프의 결합부 구조
CN1330507C (zh) 书写工具用的帽
JPH1034579A (ja) 吸着パッド
KR100462455B1 (ko) 밸브 기능을 갖는 스트로우
KR200204641Y1 (ko) 부압 발생 용기
KR200192606Y1 (ko) 우유병의 공기유입장치
KR200356799Y1 (ko) 물리치료용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