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696Y1 - 쇼트 블라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쇼트 블라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696Y1
KR200220696Y1 KR2020000030374U KR20000030374U KR200220696Y1 KR 200220696 Y1 KR200220696 Y1 KR 200220696Y1 KR 2020000030374 U KR2020000030374 U KR 2020000030374U KR 20000030374 U KR20000030374 U KR 20000030374U KR 200220696 Y1 KR200220696 Y1 KR 2002206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st
shot
blast cabinet
balls
center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3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수
Original Assignee
박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수 filed Critical 박명수
Priority to KR20200000303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6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6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696Y1/ko

Links

Landscapes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수도 배관용 주철관과 같이 관의 일측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관접속부를 구비하는 형태로 제조되는 길이방향으로 긴 관상 제품을 쇼트 블라스트 처리하는 데에 보다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고안된 쇼트 블라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치의 전체 구성을 더욱 간소효율화하면서 장치의 작업효율성 내지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이송 장입되는 처리대상물(3)에 대하여 쇼트 블라스트에 의한 표면처리가 행하여지는 블라스트 캐비넷(2)과, 상기 블라스트 캐비넷(2) 내부의 처리대상물(3) 표면에 쇼트볼들을 투사 충돌시키도록 블라스트 캐비넷(2) 일측에 배치되는 임펠러유니트(4)와, 쇼트볼들을 저장하고 그 저장된 쇼트볼들을 상기 임펠러유니트(4)에 공급하도록 배치되는 쇼트볼 저장탱크(5)와, 상기 블라스트 캐비넷(2) 내부의 처리대상물(3)을 향해 투사 사용된 쇼트볼들을 회수하여 상기 저장탱크(5)로 재공급하는 수단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처리대상물(3)을 상기 블라스트 캐비넷(2)을 통해 그 길이방향으로 연속 이송시키는 동시에 그 길이방향중심축선 둘레로 회전시켜 주는 동작을 행하는 회전이송장치(10)를 또한 설치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쇼트 블라스트 장치{A SHOT BLAST MACHINE FOR BLASTING PIPE PRODUCT HAVING RADIALLY ENLARGED PIPE JOINT AT ITS END}
본 고안은 쇼트 블라스트 장치(SHOT BLAST MACHINE)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수도용 주철관과 같이 관의 일측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관접속부를 형성 구비하는 종류의 장척물품의 블라스트 가공처리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고안된 쇼트 블라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이 관련된 쇼트 블라스트 장치는 작은 직경의 쇼트 볼(SHOT BALL : 강구)들을 가공대상 물품의 표면에 랜덤하게 분사충돌시켜 표면가공을 행하는 장치를 말하며, 본 고안은 특히 이러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중에서도 예컨대 상수도용 주철관과 같이 관의 일측단부에 관접속부가 관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형태로 제조되는, 길이방향으로 긴 관상 제품의 표면처리에 관련된 것이다.
상수도 배관용으로 사용되는 주철관은 그 제조시에 사용된 모래나 기타 잡물들이 표면에 부착되어 있거나 혹은 장기보관중 표면에 녹이 발생하여 있게 되므로 배관전에 이들을 제거하기 위한 표면 처리를 행하게 되는 것이 보통이며, 현재 이러한 상수도용 주철관의 표면 처리는 본 고안이 관련된 바와 같은 쇼트 블라스트 장치를 사용하여 행하여지고 있다.
도1,도2는 이러한 용도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로서 종래에 사용되어 온 한 전형적인 쇼트 블라스트 장치의 구성을 보여 주는데, 이 장치는 처리대상물, 특히 상수도용 주철관과 같은 처리대상물(3)에 대하여 쇼트 블라스트에 의한 표면처리를 행하는 블라스트 캐비넷(2′)과, 상기 블라스트 캐비넷(2′) 내부에 장입된 처리대상물(3)을 향해 쇼트볼들을 투사 충돌시키도록 블라스트 캐비넷(2′)상에 배치된 임펠러유니트(4′)들과, 쇼트볼들을 저장하고 그 저장된 쇼트볼들을 상기 임펠러유니트(4′)들로 분배공급하도록 배치된 쇼트볼 저장탱크(5′)와, 상기 블라스트 캐비넷(2′) 내부로 분사되어 사용된 쇼트볼들을 회수하여 상기 저장탱크(5′)로 재공급하도록 배치된 버킷 엘리베이터(8′), 제1 스크류우 콘베이어(6′), 제2 스크류우 콘베이어(7′)와, 상기 블라스트 캐비넷(2′) 내부로 처리대상물(3)을 장입시키도록 배치된 로딩장치(14)와, 장입된 처리대상물(3)을 적정 속도로 회전시켜 주도록 블라스트 캐비넷(2′) 내부에 배치된 회전롤러(15)들과, 블라스트처리가 완료된 처리대상물(3)을 블라스트 캐비넷(2′) 외부로 인출시키도록 배치된 언로딩장치(16)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상기 로딩장치(14)와 회전롤러(15) 및 언로딩장치(16)를 사용하여 개개의 처리대상물(3)을 블라스트 캐비넷(2′)의 측방으로부터 하나씩 블라스트 캐비넷(2′) 내부로 장입시키고 장입된 처리대상물을 별도의 회전롤러(15)들로 회전시키면서 블라스트 처리를 행한 후 다시 동 블라스트 캐비넷(2′)의 반대쪽 측방으로 인출시켜 내도록 되어 있는 바, 이는 상기 처리대상물(3)이 전술한 형태의 상수도용 주철관으로서 관의 일측단부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관접속부(3a)로 인해 관의 길이방향을 따른 연속적인 이송 처리가 어렵기 때문에 위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위와 같이 처리대상물(3)의 로딩 및 언로딩 작업이 장치의 측 방향으로 비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구성으로 인해 장치의 구성이 복잡다단하게 되어 고가의 설치비용 및 가동비용이 소요되고 고장발생개소가 많으며 또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것등의 구조적인 폐단이 있는 것은 물론, 개개의 처리대상물(3)에 대한 로딩(블라스트 캐비넷(2′) 내부로의 장입)과 블라스팅, 언로딩(블라스트 캐비넷(2′) 외부로의 인출)등의 작업들이 각각 비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쁘고 생산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에 있어서 쇼트볼들의 투사를 위해 설치사용되는 임펠러유니트(4′)는 그 구조상 쇼트볼들의 투사각도범위가 일정 이내로 제한되어 있는 바, 상기 종래의 장치는 블라스트 캐비넷(2′) 내부에 장입된 긴 관상의 처리대상물(3)이 그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은 이루어지지 않고 회전롤러(15)들에 의한 제자리 회전만 하는 상태로 블라스팅 처리되기 때문에 상기 처리대상물(3)의 전체 표면을 커버하는 균일한 블라스팅 처리를 위해서는 그만큼 많은 대수의 임펠러유니트(4′)들을 예컨대 도1의 예와 같이 병렬설치하여 사용해야 함으로써 장치의 구성이 한층 더 복잡다단하고 비효율적으로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효과있게 해소하여 이러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의 설치구성을 보다 간소효율화하면서 그 생산성 및 작업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더욱 개선된 쇼트 블라스트 장치를 제공할 목적에서 연구고안된 것이다.
도1 은 종래 장치의 정면도,
도2는 종래 장치의 측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정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
도5는 본 고안중 회전이송장치의 한 구성례를 보인 평면도,
도6은 도5의 도식적인 정면도,
도7은 본 고안중 회전이송장치의 다른 가능한 구성례룰 보인 평면도,
도8은 도7의 도식적인 측면도,
도9는 도7에 있어서 한 고무코팅 롤러의 정면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메인 프레임 2 : 블라스트 캐비넷
3 : 처리대상물 3a: 관접속부
4 : 임펠러유니트 5 : 쇼트볼 저장탱크
6,7 : 스크류우 콘베이어 8 : 버킷 엘리베이터
9 : 쇼트볼 전처리수단 10: 회전이송장치
11 : 스큐롤러 11a: 캠면
12 : 고무코팅 롤러쌍 13 : 고무코팅 롤러
13a: 경사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수도용 주철관과 같이 그 일측단부에 관접속부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긴 관상의 제품 표면을 쇼트 블라스트 처리하기 위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로서, 내부에 이송 장입되는 처리대상물에 대하여 쇼트 블라스트에 의한 표면처리가 행하여지는 블라스트 캐비넷과, 상기 블라스트 캐비넷 내부의 처리대상물 표면에 쇼트볼들을 투사 충돌시키도록 블라스트 캐비넷 일측에 배치되는 임펠러유니트와, 쇼트볼들을 저장하고 그 저장된 쇼트볼들을 상기 임펠러유니트에 공급하도록 배치되는 쇼트볼 저장탱크와, 상기 블라스트 캐비넷 내부의 처리대상물을 향해 투사 사용된 쇼트볼들을 회수하여 상기 저장탱크로 재공급하는 수단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처리대상물을 상기 블라스트 캐비넷을 통해 그 길이방향으로 연속 이송시키면서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수단들을 또한 설치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개요를 보여 주는 정면도, 도4는 그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 도시된 예와 같이 본 고안은 메인 프레임(1)의 대략 중앙위치에 블라스트 캐비넷(2)을 설치구비하고, 이 블라스트 캐비넷(2)을 통해 상수도용 주철관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긴 관상의 처리대상물(3)을 일방향으로 연속 이송 및 회전시켜 주면서 상기 처리대상물(3)의 표면을 연속적으로 쇼트 블라스트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블라스트 캐비넷(2)의 일측에는 이 블라스트 캐비넷(2)의 내부를 통과하는 처리대상물(3)의 표면을 향해 쇼트볼들을 투사 충돌시키기 위한 임펠러유니트(4)가 설치제공되고, 또 상기 임펠러유니트(4)에 쇼트볼들을 저장 공급하기 위한 저장탱크(5)와, 상기 임펠러유니트(4)를 통해 블라스트 캐비넷(2) 내부로 투사 사용된 쇼트볼들을 회수, 전처리하여 상기 저장탱크(5)로 재공급하기 위한 제1 스크류우 콘베이어(6), 제2 스크류우 콘베이어(7), 버킷엘리베이터(8), 쇼트볼 전처리수단(9)등이 도시된 양태로 장치의 적소에 설치구비된다.
이러한 구성과 함께 본 고안은 또한,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긴 관상의 몸체 일측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관접속부를 가지는 형태로 만들어지는 상수도용 주철관과 같은 처리대상물(3)을 그 길이방향으로 원활하게 연속 이송시키면서 회전시켜 주어서 상기 처리대상물(3)에 대한 연속적인 쇼트 블라스트 처리를 가능하게 하여 주는 처리대상물의 회전이송장치(10)를 설치구비한다.
도5,도6은 상기 회전이송장치(10)의 한 바람직한 구성례를 보여 주는데, 도5는 동 장치의 평면도, 도6은 그 정면도를 각각 도식적인 방법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도5,도6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이송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대상물(3)의 진행방향중심축선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의 회전중심축선을 가지도록 하여 일정 피치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스큐롤러(SKEW ROLLER)(11)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큐롤러(11)들은 바람직하게는 각 스큐롤러(11)의 회전중심축선이 처리대상물(3)의 진행방향중심축선에 대해 70°정도로 기울어져 있도록 하여 배치되며, 이들 스큐롤러(11)의 각 일측면에는 도6에 예시된 바와 같은 캠면(11a)이 교호적인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형성제공된다. 이러한 스큐롤러(11)들의 배치에 의해, 동 스큐롤러(11)들상에 도시된 방향으로 얹혀진 길이방향으로 긴 관상의 처리대상물(3)은 상기 스큐롤러(11)들의 작용으로 일방향으로 일정하게 그 길이방향중심축선 둘레로의 회전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의 이송동작을 동시에 이루면서 임펠러유니트(4)들의 쇼트볼 투사에 의한 쇼트 블라스트가 행하여지는 블라스트 캐비넷(2) 내부를 통과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처리대상물(3)에 대한 균일한 품질의 쇼트 블라스트 처리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서 이러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의 작업효율 내지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여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처리대상물(3)이 전술한 상수도용 주철관과 같이 관의 일측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관접속부(3a)를 가지는 형태의 제품인 경우에도 상기 스큐롤러(11)들의 캠면(11a)의 작용에 의해 처리대상물(3)의 원활한 이송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장치는 상기와 같은 회전이송장치(10)의 작용에 의해 처리대상물(3)을 연속적으로 회전이송시키면서 연속적인 쇼트 블라스트 처리를 할 수 있으므로, 블라스트 캐비넷(2′) 내부에 장입된 개개의 처리대상물(3)을 정지상태로 회전시키면서 쇼트 블라스트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종래의 장치에 비해 도1,도3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쇼트볼 투사를 위한 임펠러유니트(4)들을 훨씬 더 적은 댓수로 설치해주어도 목적하는 바의 양호한 쇼트 블라스트 처리를 이루어낼 수가 있으며, 이에 따라 장치 전체의 설치구성을 종전보다 훨씬 더 간소효율화할 수 있는 이점도 제공한다.
나아가서, 도7∼도9는 상기 회전이송장치(10)의 다른 가능한 구성례를 도시한 것인데, 이 실시예의 경우는 상기 회전이송장치(10)가 처리대상물(3)의 진행방향중심축선에 대해 약 15°정도로 기울어진 회전중심축선을 가지도록 하여 일정 피치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고무코팅 롤러쌍(12)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롤러쌍(12)은 해당 처리대상물(3)의 이송에 적합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두 개씩의 고무코팅 롤러(13)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 롤러(13)들은 상기 처리대상물(3) 단부의 확대된 직경의 관접속부(3a)가 롤러(13)를 용이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그 롤러 가장자리부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면(13a)을 가진다. 이와 같은 고무코팅 롤러쌍(12)들의 배치에 의해 동 롤러쌍(12)들상에 도시된 방향으로 얹혀진 길이방향으로 긴 관상의 처리대상물(3)은 앞서 든 도5 ∼도6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그 길이방향 중심축선 둘레로의 회전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의 이송동작을 동시에 이루면서 블라스트 캐비넷(2) 내부를 통과하게 되어서 이에 대한 연속적인 쇼트 블라스트 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작용에 의해 이러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의 설치구성을 종전보다 훨씬 더 간소효율화하면서 그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작업의 단순화와 에너지절감, 보수작업성 등의 향상으로 원가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 신규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3)

  1. 내부에 이송 장입되는 처리대상물(3)에 대하여 쇼트 블라스트에 의한 표면처리가 행하여지는 블라스트 캐비넷(2)과, 상기 블라스트 캐비넷(2) 내부의 처리대상물(3) 표면에 쇼트볼들을 투사 충돌시키도록 블라스트 캐비넷(2) 일측에 배치되는 임펠러유니트(4)와, 쇼트볼들을 저장하고 그 저장된 쇼트볼들을 상기 임펠러유니트(4)에 공급하도록 배치되는 쇼트볼 저장탱크(5)와, 상기 블라스트 캐비넷(2) 내부의 처리대상물(3)을 향해 투사 사용된 쇼트볼들을 회수하여 상기 저장탱크(5)로 재공급하는 수단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처리대상물(3)을 상기 블라스트 캐비넷(2)을 통해 그 길이방향으로 연속 이송시키는 동시에 그 길이방향중심축선 둘레로 회전시켜 주는 동작을 행하는 회전이송장치(10)를 또한 설치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이송장치(10)는 상기 처리대상물(3)의 진행방향 중심축선에 대해 경사진 회전중심축선을 가지도록 하여 일정 피치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각각의 일측면에 캠면(11a)이 교호적인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스큐롤러(11)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이송장치(10)는 상기 처리대상물(3)의 진행방향 중심축선에 대해 경사진 회전중심축선을 가지도록 하여 일정 피치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고무코팅 롤러쌍(12)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각 롤러쌍(12)은 경사면(13a)을 가지고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고무코팅 롤러(13)들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
KR2020000030374U 2000-10-31 2000-10-31 쇼트 블라스트 장치 KR2002206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374U KR200220696Y1 (ko) 2000-10-31 2000-10-31 쇼트 블라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374U KR200220696Y1 (ko) 2000-10-31 2000-10-31 쇼트 블라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696Y1 true KR200220696Y1 (ko) 2001-04-16

Family

ID=73090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374U KR200220696Y1 (ko) 2000-10-31 2000-10-31 쇼트 블라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69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754B1 (ko) 2004-07-20 2006-11-23 박종건 석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
KR100826594B1 (ko) 2007-02-14 2008-04-30 (주)세광쇼트기계인천공장 선재 전용 쇼트 블라스팅장치
KR101021432B1 (ko) * 2008-04-21 2011-03-11 신대광 유리표면 가공용 쇼트 브라스트
KR101096565B1 (ko) 2010-05-31 2011-12-22 (주)지디스톤 석재의 표면가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27234B1 (ko) * 2009-09-21 2012-03-29 김택영 쇼트 블러스트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754B1 (ko) 2004-07-20 2006-11-23 박종건 석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
KR100826594B1 (ko) 2007-02-14 2008-04-30 (주)세광쇼트기계인천공장 선재 전용 쇼트 블라스팅장치
KR101021432B1 (ko) * 2008-04-21 2011-03-11 신대광 유리표면 가공용 쇼트 브라스트
KR101127234B1 (ko) * 2009-09-21 2012-03-29 김택영 쇼트 블러스트 장치
KR101096565B1 (ko) 2010-05-31 2011-12-22 (주)지디스톤 석재의 표면가공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36784A (zh) 弹丸处理机和用于弹丸处理的夹具
KR200220696Y1 (ko) 쇼트 블라스트 장치
JP4818995B2 (ja) 両頭平面研削盤
CN105436113A (zh) 刷片式清洗机
US3903652A (en) Continuous cleaning apparatus
CN111730484A (zh) 一种针对钢管除锈的打磨设备
CN207533691U (zh) 一种铜杆加工冷却装置
CN201613509U (zh) 弧形弹簧的抛丸装置
CN108326695B (zh) 一种轴承内圈磨床
US2732925A (en) Pechy
CN209665139U (zh) 内外壁喷砂设备
KR100815871B1 (ko) 연속식 쇼트 블라스트 장치
CN110842795A (zh) 一种复杂零件的高效喷丸清洗装置
JP2010149215A (ja) ブラスト装置
CN208557191U (zh) 一种钢管抛丸机
JP5021995B2 (ja) 乾燥処理装置
US2604734A (en) Blasting machine
KR101127234B1 (ko) 쇼트 블러스트 장치
KR20110058923A (ko) 회전식 임펠러 블라스트 장치
US343985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wire into a surface treating chamber
JP4066300B2 (ja) 連続式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CN213536261U (zh) 一种环保型管式输送装置
CN205572181U (zh) 钢瓶钢管外壁专用抛丸清理机
KR20160010933A (ko) H-빔 구조물 표면 처리용 쇼트 블라스트 장치
CN211217860U (zh) 一种抛丸机钢球清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