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679Y1 - 기중차단기의 변류기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기중차단기의 변류기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679Y1
KR200220679Y1 KR2020000029144U KR20000029144U KR200220679Y1 KR 200220679 Y1 KR200220679 Y1 KR 200220679Y1 KR 2020000029144 U KR2020000029144 U KR 2020000029144U KR 20000029144 U KR20000029144 U KR 20000029144U KR 200220679 Y1 KR200220679 Y1 KR 2002206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transformer
air circuit
circuit breaker
bus ba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원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9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6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6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679Y1/ko

Links

Landscapes

  • Transformers For Measur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중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기중차단기가 동작할 때,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진동으로부터 변류기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변류기가 전원측부스바에 대해 항상 일정한 위치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2개의 코일부(151)가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관통코아(152)에 의해 관통되어 형성되는 변류기(150)와, 상기 변류기의 코일부(151) 사이에 끼워지는 전원측부스바(31)와, 상기 변류기(150)와 상기 전원측부스바(31)가 설치되는 도체고정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중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의 관통코아(152) 양측에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여 완화하는 충격흡수재(154)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도체고정부(140)에는 상기 변류기(150)의 외형을 따라 상기 변류기(140)가 고정 설치되도록 변류기장착홈(141)을 형성하여, 상기 변류기장착홈(141)에 상기 변류기(150)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변류기(150)의 위치가 이동하지 않고 일정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변류기 고정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기중차단기의 변류기 고정구조{Structure for fixing current transformer in Air Circuit Breakers}
본 고안은 기중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중차단기에 인가되는 전류를 측정하여, 과전류 인가시 기중차단기를 차단하기 위한 변류기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중차단기(ACB : Air Circuit Breakers)는 빌딩, 공장, 선박 등의 산업 플랜트용과 발전기의 보호를 위한 발전기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배선설비에 설치되어 정상부하시의 개폐 및 사고전류를 차단하는 기기이다.
도 1 은 종래 기중차단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중차단기는 크게 고정접점부(10) 및 가동접점부(20)와, 상기 고정접점부(10)에 연결되는 전원측부스바(31) 및 상기 가동접점부(20)와 연결되는 부하측부스바(32)와, 상기 전원측부수바 및 부하측부스를 고정 설치하는 도체고정부(40)와, 상기 전원측부스바(31)에 끼워지는 변류기(50)와, 상기 변류기(50)에서 측정된 전류의 출력값을 전달받는 트립릴레이(60)와, 상기 트립릴레이(60)에 의해 트립되는 트립기구부(70)와, 상기 트립기구부(70)와 연동되어 상기 가동접점부(20)를 회동시키는 링크기구부(80)와, 트립시에 상기 접점부(10),(20)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시키는 아크소호부(90)로 크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중차단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변류기(50)는 상기 전원측부스바(31)를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상기 트립릴레이(60)에 출력값을 전달한다.
만약, 기중차단기에 과전류가 인가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변류기(50)에 의해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트립릴레이(60)에 전달되고, 상기 트립릴레이(60)는 과전류를 인식하여 상기 트립기구부(70)를 트립시킨다.
그러면, 상기 트립기구부(70)와 연결된 상기 링크기구부(80)가 상기 가동접점부(20)를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가동접접부(20)가 상기 고정접점부(10)로부터 떨어짐으로써 기중차단기가 차단되는 것이다.
한편, 도 2a 는 종래 기중차단기에 구비되는 변류기의 정면도이고, 도 2b 는 측면도로써, 종래 변류기(50)는 코일이 감겨진 2개의 코일부(51)가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관통코아(52)에 의해 관통되어 결합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코일부(51)를 연결하는 관통코아(52)의 양측부에는 상기 관통코아(52)를 고정하기 위한 코아고정판(53)이 구비되어 리벳 결합된다.
특히, 코일부(51)의 사이 공간은 전원측부스바(31)가 끼워질 수 있도록 충분히 이격되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변류기(50)가 구비되는 도체고정부(40)에 상기 변류기(50)를 고정해 주는 구조없이, 상기 전원측부스바(31)에 상기 변류기(50)가 끼워진 상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기중차단기가 동작할 때,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진동에 의해, 변류기(50)가 전원측부스바(31)의 전후 또는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변류기(50)가 움직이게 되면, 상기 전원측부스바(31)에 대한 상기 변류기(50)의 위치 역시 변하게 된다.
결국, 상기 변류기(50)가 상기 전원측부스바(31)의 중앙에 정확히 위치하지 못하고, 일측으로 치우치게 됨에 따라 상기 변류기(50)에서 측정하는 전류값이 변하게 되어, 정확한 전류값을 측정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체고정부(40)에는 변류기(50)를 고정해 주는 구조가 없어, 전원측부스바(31)에 상기 변류기의 코일부(51)가 걸쳐진 상태로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부(51)가 상기 전원측부스바(31)에 직접 접촉하게 되어, 통전시에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상기 코일부(51)가 소손될 우려가 있으며, 특히 기중차단기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상기 전원측부스바(31)에 접촉된 코일부(51)의 소손에 의해 기중차단기가 동작하지 않아 대형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중차단기가 동작할 때,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진동으로부터 변류기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변류기가 전원측부스바에 대해 항상 일정한 위치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변류기의 코일부 사이에 끼워지는 전원측부스바가 코일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통전시에 발생하는 열에 의한 코일부의 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중차단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a,2b 는 종래 기중차단기에 구비되는 변류기의 정면도와 측면도
도 3a,3b 는 본 고안에 따른 변류기의 정면도와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도체고정부에 변류기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체고정부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40. 도체고정부 141. 변류기장착홈
150. 변류기 151. 코일부
152. 관통코아 153. 코아고정판
154. 충격흡수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른면, 본 고안은 2개의 코일부가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관통코아에 의해 관통되어 형성되는 변류기와, 상기 변류기의 코일부 사이에 끼워지는 부스바와, 상기 변류기와 상기 부스바가 설치되는 도체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중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의 관통코아 양측에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여 완화하는 충격흡수재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도체고정부에는 상기 변류기의 외형을 따라 상기 변류기가 고정 설치되도록 변류기장착홈을 형성하여, 상기 변류기장착홈에 상기 변류기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변류기의 위치가 이동하지 않고 일정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변류기 고정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충격흡수재는 관통코아의 양측에 도포되어 경화되는 수지물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 3a,3b 와 도 4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에 따른 기중차단기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전술한 종래와 동일하므로,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본 고안의 특징인 도체고정부와 상기 도체고정부에 장착되는 변류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 는 본 고안에 따른 변류기의 정면도이고 도 3b 는 본 고안에 따른 변류기의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변류기(150) 역시 코일이 감겨진 2개의 코일부(151)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관통코아(152)에 의해 관통되어 결합되고, 상기 관통코아(152)는 코아고정판(153)에 의해 리벳결합등으로 고정된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 관통코아(152)의 양측 끝부분에 기중차단기가 동작할 때,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진동에 의한 변류기(150)의 유동을 방지함과 함께 관통코아(152)를 보호하기 위해 충격흡수재(154)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충격흡수재(154)의 일 예로써는, 에폭시수지와 같은 고분자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분자화합물을 상기 관통코아(152)의 상하 양측 끝부분에 도포하여 경화시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재(154)로는 그 밖에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실리콘계 혹은 고무계열의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체고정부(140)에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류기(150)가 장착되어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변류기(150)의 외형을 따라 변류기장착홈(141)을 형성하고, 상기 변류기장착홈(141)에 상기 변류기(150)를 고정 설치함으로써, 전원측부스바(31)에 대한 변류기(150)의 위치가 변화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변류기(150)가 상기 변류기장착홈(141)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코일부(151)가 전원측부스바(31)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변류기(150)가 도체고정부(140)에 형성된 변류기고정홈(141)에 고정 설치됨에 따라, 전원측부스바(31)를 흐르는 전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기중차단기의 동작시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진동이 발생할 경우에 변류기의 관통코아(152)에 구비된 충격흡수재(154)에 의해 충격 및 진동이 흡수되어 완화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변류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설치함으로써, 변류기에서 측정하는 전류의 출력값이 정확히 측정되어 기중차단기의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변류기의 코일부가 전원측부스바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통전시 발생하는 열에 의한 코일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2개의 코일부가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관통코아에 의해 관통되어 형성되는 변류기와, 상기 변류기의 코일부 사이에 끼워지는 부스바와, 상기 변류기와 상기 부스바가 설치되는 도체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중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의 관통코아 양측에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여 완화하는 충격흡수재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도체고정부에는 상기 변류기의 외형을 따라 상기 변류기가 고정 설치되도록 변류기장착홈을 형성하여, 상기 변류기장착홈에 상기 변류기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변류기의 위치가 이동하지 않고 일정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변류기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재는 관통코아의 양측에 도포되어 경화되는 고분자화합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차단기의 변류기 고정구조.
KR2020000029144U 2000-10-19 2000-10-19 기중차단기의 변류기 고정구조 KR2002206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144U KR200220679Y1 (ko) 2000-10-19 2000-10-19 기중차단기의 변류기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144U KR200220679Y1 (ko) 2000-10-19 2000-10-19 기중차단기의 변류기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679Y1 true KR200220679Y1 (ko) 2001-04-16

Family

ID=7305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144U KR200220679Y1 (ko) 2000-10-19 2000-10-19 기중차단기의 변류기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6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6234A1 (ko) * 2016-08-05 2018-02-08 주식회사 아모센스 변류기용 코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6234A1 (ko) * 2016-08-05 2018-02-08 주식회사 아모센스 변류기용 코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6096B (fi) Elektrisk fullskyddskoppling
US20180090292A1 (en) Miniature circuit breaker capable of rapid breaking
EP3729482B1 (en) Power electronic switching device, for example a solid state circuit breaker or a combination motor starter, comprising a fusible safety disconnect
KR101229746B1 (ko) 아크 에너지 흡수형 안전 지킴이 배전반
US6629044B1 (en) Electrical distribution analysis method and apparatus
EP2455961B1 (en) Electric switching device
JPS6153813B2 (ko)
FI97428C (fi) Kytkentäelin sähköistä kytkintä varten ja tällä kytkentäelimellä varustettu sähköinen kytkin
KR200220679Y1 (ko) 기중차단기의 변류기 고정구조
JP4172916B2 (ja) 短絡防護装置
Das Protection planning and system design to reduce arc flash incident energy in a multi-voltage level distribution system to 8 CAL/CM 2 (HRC 2) or less–part II: Analysis
KR100277920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KR200439071Y1 (ko) 영상변류기의 고정구조체
CA2296983C (en) Ground fault circuit breaker
KR100434332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전류 검출장치
AU734007B2 (en) Device for triggering an overload circuit breaker
KR200268190Y1 (ko) 대전류 트립 코일이 내장된 배선 및 누전용 차단기
KR200234477Y1 (ko) 영상 변류기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
KR100358197B1 (ko) 보호 계전기 시험보조장비
KR20210067621A (ko) 소형 차단기
ITUA20164207A1 (it) Modulo di controllo compatto, per dispositivi di riarmo automatico
CA1121497A (en) System for protecting power distribution circuit against ground faults
JPH08182220A (ja) 過電流保護継電装置
CA1191934A (en) Molded case switch having improved performance and single-phase protection
CN103515160A (zh) 触发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