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477Y1 - 영상 변류기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 - Google Patents

영상 변류기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477Y1
KR200234477Y1 KR2020000034033U KR20000034033U KR200234477Y1 KR 200234477 Y1 KR200234477 Y1 KR 200234477Y1 KR 2020000034033 U KR2020000034033 U KR 2020000034033U KR 20000034033 U KR20000034033 U KR 20000034033U KR 200234477 Y1 KR200234477 Y1 KR 200234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urrent transformer
circuit breaker
circuit
shor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00034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4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47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영상 변류기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하선로의 단락전류 및 과전류를 차단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에 부하선로의 누전상태를 감지하는 영상 변류기를 내장시켜 누전상태가 표시 및 확인되는 누전 화재 경보기와 접속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함으로서 작업성이 용이하고 설치공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영상 변류기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부하선로의 단락전류 및 과전류를 차단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 일측에 상기 부하선로의 누전으로 인한 지락전류가 감지되는 영상 변류기를 내장하고 상기 영상 변류기의 권선단자를 외부로 노출시켜 부하선로에 대한 누전상태가 표시 및 확인되는 누전 화재 경보기를 접속함으로서 단락전류 및 과전류의 차단과, 누전에 의한 지락전류의 감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영상 변류기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영상 변류기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Disconnecting switch included image current transformer}
본 고안은 영상 변류기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하선로의 단락전류 및 과전류를 차단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에 부하선로의 누전상태를 감지하는 영상 변류기를 내장시켜 누전상태가 표시 및 확인되는 누전 화재 경보기와 접속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함으로서 작업성이 용이하고 설치공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영상 변류기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규모 이상의 건축물 전기설비에는 배선용 차단기와 누전 차단기를 선택적으로 분기 설치하여 배전 계통과 각종 분기선로의 단락 또는 지락사고로 인한 과대전류가 사용부하로 흐르는 것을 차단 및 단속함으로서 부하의 사용에 따른 인체의 감전이나 누전부하에 의한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되는데,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는 각각의 선로에서 발생되는 누전상태를 알지 못함에 따라 지락사고에 의한 인체의 감전이나 화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와같은 문제점으로 사용부하와 연결되는 단상이나 3상 또는 중성선이 포함된 배선용 차단기의 출력선로에 각상으로 흐르는 전류균형의 붕괴가 감지되는 영상 변류기를 관통시켜 누전 발생시 영상변류기의 권선단자에 여기되는 기전력으로 누전상태를 신속하게 표시하는 누전 화재 경보기가 작동되게 함으로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었으나, 이는 배선용 차단기와 누전 화재 경보기의 사이에 영상 변류기를 고정 부착하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함으로서 설치공간과 설치비용이 증가되는 등의 여러가지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데 있는 것으로 부하선로의 단락전류 및 과전류를 차단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 일측에 상기 부하선로의 누전으로 인한 지락전류가 감지되는 영상 변류기를 내장하고 상기 영상 변류기의 권선단자를 외부로 노출시켜 부하선로에 대한 누전상태가 표시 및 확인되는 누전 화재 경보기를 접속함으로서 단락전류 및 과전류의 차단과, 누전에 의한 지락전류의 감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영상 변류기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코자 한 데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절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배선용 차단기
1,1' : 소호 그리드 2 : 소호장치
3 : 자력증대 소자 4 : 한류장치
5 : 과전류 트립장치 6,6' : 인입단자
7,7' : 부하단자 8 : 개폐 스위치
9 : 영상 변류기 10,10' : 권선단자
11 : 누전 화재 경보기 12 : 단자부
과전류에 의한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의 이격으로 발생 아크를 냉각소멸시키는 다수의 소호 그리드(1)(1')가 적층된 소호장치(2)와, 단락전류에 의한 도전성 아크가 상기 소호장치(2)로 신속하게 유도되는 코어 또는 아크런너와 같은 자력증대 소자(3)를 고정접점에 부착시킨 한류장치(4) 및 상기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를 차단하는 과전류 트립장치(5)가 내부에 설치된 외측 상하부에는 배전반등에서 분기되는 단상 또는 중성선을 포함한 3상선로가 상기 소호장치(2)와 연결되는 다수의 인입단자 (6)(6')와, 과전류 트립장치(5)와 연결되는 다수의 부하단자(7)(7')를, 전면 일측에는 상기 3상 선로를 부하선로와 차단하는 개폐 스위치(8)가 장착된 통상의 배선용 차단기(가)에 있어서, 상기 인입단자(6)(6')와 부하단자(7)(7')가 설치된 배선용 차단기(가)의 내부 일측에 단상 또는 중성선을 포함한 3상 선로가 관통되는영상 변류기(9)를 장착하고 이의 권선단자(10)(10')가 배선용 차단기(가)의 전면 일측으로 노출되어 통상의 누전 화재 경보기(11)와 결합되는 단자부(12)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내부에 소호장치(2)와 한류장치(4) 및 과전류 트립장치(5)를 설치하여 부하선로에 대한 과전류 및 단락전류를 차단하는 배선용 차단기(가)의 내부 일측에 단상이나 중성선을 포함한 3상 선로를 관통하는 영상 변류기(9)를 장착하고 이의 권선단자(10)(10')가 통상의 누전 화재 경보기(11)와 결합될 수 있게 배선용 차단기(가)의 전면 일측으로 노출되는 단자부(12)를 형성한 것이므로 배전반등에서 분기되는 단상 또는 중성선을 포함한 3상선로가 연결된 다수의 인입단자(6)(6')를 통해 배선용 차단기(가)에 공급전류가 흐르게 될 때 부하단자(7)(7')와 연결된 부하선로의 상태에 따라 접점이격에 따른 발생 아크를 냉각소멸시키는 다수의 소호 그리드(1)(1')가 적층된 소호장치(2)와, 상기 도전성 아크를 전자 반발력으로 신속하게 감쇄하는 코어 또는 아크런너와 같은 자력증대 소자(3)를 고정접점에 부착시킨 한류장치(4) 및 트립장치(5)로 개폐 스위치(8)를 작동시켜 부하선로로 흐르는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를 차단함으로서 부하선로와 연결된 각종 기기들을 보호하는 것은 공지된 바와 같고, 배선용 차단기(가)의 내부 일측에 장착된 영상 변류기 (9)로 부하선로의 누전에 의한 단상 또는 중성선을 포함한 3상선로로 흐르는 누전전류를 감지하여 이의 감지여부에 따라 여기되는 기전력이 발생되는 권선단자(10) (10')가 배선용 차단기(가)의 전면 일측으로 형성된 단자부(12)에 노출됨에 따라 상기 단자부(12)와 결합된 통상의 누전 화재경보기(11)로 부하선로에 대한 누전발생 여부를 표시함으로서 과부하 또는 단락사고에 의한 과전류의 차단과 누전에 의한 지락사고의 발생을 신속히 알 수 있게 되어 이의 발생원인과 사후 처리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부하선로에 흐르는 과전류 및 단락전류를 차단하는 배선용 차단기(가)의 내부에 누전에 의한 지락전류를 감지하는 영상 변류기(9)를 장착하여 이의 권선단자(10)(10')와 결합되는 누전 화재 경보기(11)로 부하선로에 흐르는 누전에 의한 지락상태를 신속히 알 수 있게 함으로서 과전류 및 단락전류를 차단하여 각종기기의 보호 뿐만 아니라 지락사고에 의한 화재나 인체의 감전을 예방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또한 누전 화재 경보기(11)와 결합되는 영상 변류기(9)의 권선단자(10)(10')가 배선용 차단기(가)의 전면 일측으로 노출되는 단자부(12)를 형성하여 간편한 접속으로 작업성이 용이할 뿐 아니라 설치공간과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그 효과가 매우 크다.

Claims (1)

  1. 과전류에 의한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의 이격으로 발생 아크를 냉각소멸시키는 다수의 소호 그리드(1)(1')가 적층된 소호장치(2)와, 단락전류에 의한 도전성 아크가 상기 소호장치(2)로 신속하게 유도되는 코어 또는 아크런너와 같은 자력증대 소자(3)를 고정접점에 부착시킨 한류장치(4) 및 상기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를 차단하는 과전류 트립장치(5)가 내부에 설치된 외측 상하부에는 배전반등에서 분기되는 단상 또는 중성선을 포함한 3상선로가 상기 소호장치(2)와 연결되는 다수의 인입단자 (6)(6')와, 과전류 트립장치(5)와 연결되는 다수의 부하단자(7)(7')를, 전면 일측에는 상기 3상 선로를 부하선로와 차단하는 개폐 스위치(8)가 장착된 통상의 배선용 차단기(가)에 있어서, 상기 인입단자(6)(6')와 부하단자(7)(7')가 설치된 배선용 차단기(가)의 내부 일측에 단상 또는 중성선을 포함한 3상 선로가 관통되는 영상 변류기(9)를 장착하고 이의 권선단자(10)(10')가 배선용 차단기(가)의 전면 일측으로 노출되어 통상의 누전 화재 경보기(11)와 결합되는 단자부(12)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영상 변류기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
KR2020000034033U 2000-12-05 2000-12-05 영상 변류기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 KR2002344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033U KR200234477Y1 (ko) 2000-12-05 2000-12-05 영상 변류기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033U KR200234477Y1 (ko) 2000-12-05 2000-12-05 영상 변류기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477Y1 true KR200234477Y1 (ko) 2001-09-26

Family

ID=73061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033U KR200234477Y1 (ko) 2000-12-05 2000-12-05 영상 변류기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4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231U (ko) 2021-03-10 2022-09-19 양전관 영상변류기와 일체로 된 단자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231U (ko) 2021-03-10 2022-09-19 양전관 영상변류기와 일체로 된 단자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14807B2 (en) A Residual-Current Circuit Breaker
KR100506477B1 (ko) 누전차단기
KR101451387B1 (ko) 계기용 변류기 2차 단자 개방 감시 및 보호 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EP2455961B1 (en) Electric switching device
CA2358978A1 (en) Electrical distribution panel employing a surge protector
KR20150084048A (ko) 보조 단락 회로를 갖는 자동 회로 차단기
EP2506283B1 (en) Compact residual current breaker with overcurrent protection
US20070132531A1 (en) Two pole circuit interrupter employing a single arc fault or ground fault trip circuit
KR200430939Y1 (ko) 배선용 차단기의 경보장치
US8149550B2 (en) Protective device having a circuit breaker, in particular a low-voltage circuit breaker
CN111834170A (zh) 紧凑型保护开关设备
KR200234477Y1 (ko) 영상 변류기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
CN106571270B (zh) 漏电断路器
RU2742927C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цепи и узел защиты цепи, включающий в себя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цепи
KR200266485Y1 (ko) 가정용 소형 차단기
KR840001584B1 (ko) 휴대용 비상 안전장치
KR100510715B1 (ko) 누전 차단기
KR200305335Y1 (ko) 옥외형 써지분전함
KR100596357B1 (ko) 누설전류 검출장치
KR200261377Y1 (ko) 영상변류기가 내장된 배선용 차단기
KR200407366Y1 (ko) 가정용 소형 차단기
JP3399292B2 (ja) 回路遮断器
KR200436790Y1 (ko) 분전반용 누전 차단기
JP2000149758A (ja) 漏電検出装置
KR200428491Y1 (ko) 모터보호용 차단기의 트립아세이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1009

Effective date: 20040225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40426

Effective date: 2005101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40617

Effective date: 2005101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40426

Effective date: 20051017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402

Effective date: 20041015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1111

Effective date: 2006072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803

Effective date: 20060921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