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101Y1 - 원격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101Y1
KR200220101Y1 KR2020000031922U KR20000031922U KR200220101Y1 KR 200220101 Y1 KR200220101 Y1 KR 200220101Y1 KR 2020000031922 U KR2020000031922 U KR 2020000031922U KR 20000031922 U KR20000031922 U KR 20000031922U KR 200220101 Y1 KR200220101 Y1 KR 200220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information
lamps
lighting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9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국제전자제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전자제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국제전자제어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19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1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101Y1/ko

Link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통신망으로 원격지에서 조명등(가로등, 보안등 등등) 램프의 제어 및 조명등 소손상태를 수집하여서 경제적인 조명등 사용을 이루게 함과 동시에 소손이 발생된 조명등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원격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등을 기지국중계망을 통해 직접 송신하여 원격제어하는 주제어장치와, 상기 주제어장치로 소정의 정보를 보내고 적어도 하나이상 군단위로 형성된 조명등의 이상유무정보를 수신하는 제1,2정보집합수신기와, 상기 제1정보집합수신기로 이상유무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된 제1,2군의 조명등 릴레이 중계기능으로 소출력무선신호를 송신하여 최종 정보를 양방향통신하는 조명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조명등의 점등 및 소등을 원격제어하여 양호하고 편리한 사용을 이루게 하면서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릴레이 중계기능으로 안정기 및 조명등 램프의 상태와 불량이 발생된 조명등의 위치가 표시된 코드화된 정보가 제어관리실에 제공되므로, 불량이 발생된 조명등의 안정기 및/또는 조명등램프를 신속하고 적절하게 조치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인력과 시간 낭비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격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for Street Lightings}
본 고안은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망으로 원격지에서 조명등(가로등, 보안등 등)램프의 제어 및 조명등 소손상태를 수집하여서 경제적인 조명등 사용을 이루게 함과 동시에 소손이 발생된 조명등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은 어두운 곳을 밝혀주는 전기장치의 한 종류로서 전기, 전자 및 가로나 광산 등의 소형물건에서부터 특정지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배치 또는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조명등과 보안등을 일예로 보면, 조명등과 보안등의 점소등 방법으로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빛의 밝기를 판단함으로서 어두우면 점등되고, 밝으면 소등되는 조도광센서를 이용하거나, 일년치의 날짜별 점, 소등 시간데이터를 미리 프로그램으로 보관하고 있으면서 내장된 시계I.C의 시각에 따라 점소등을 제어하는 타이머 방식이 있다.
상기 조도광센서 방식은 대기오염으로 인한 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나 분진 등이 많아지면 광량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오동작이 자주 발생하며, 타이머 방식은 날짜 및 시간을 보정할 수 없고 인력에 의존하여 계절에 따라 점소등 시간에 차이가 발생할 때에는 전력의 낭비가 생기고, 또한 날짜 및 시간 보정 시에는 제어기에 일일이 시간을 재설정해야 하는 과다한 인력소요의 문제가 있다.
상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원격지에서 송신되는 RF무선신호를 수신하여 그 명령에 따라 점소등을 제어하는 무선원격제어 방식이 제안되어 있으나, 상기 RF 무선통신 방식은 원격지에 다수의 송신장치 및 중계기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과다한 비용부담과 날짜 및 시간 보정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보정 데이터를 송신하여여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에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조명등 제어시스템은 원하는 시각에 선별적으로 또는 일시에 조명등의 점소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는 주제어장치에서 지역 번호를 포함한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고 이를 조명등 콘트롤러에서 수신하여 제어신중에 포함된 지역번호가 자신의 지역번호와 동일한지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 연속되는 제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할당된 조명등기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명등 제어 시스템의 조명등 콘트롤러에서는 조명등기구를 원격에서 점소등을 제어할 수 있지만, 조명등기구의 절전 제어 및 램프, 안정기, 점화기등의 조명등의 전반적인 상태를 원격제어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다른 조명등기구에서는 전력선을 이용하여 조명등의 고장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가 있었으나, 조명등의 점소등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고주파 노이즈 성분을 차단할 수 없어서 조명등기구와 전력선을 공유하는 다른 부하에 노이즈의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부하 소비전력이 고정되어 있는 일반 안정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온/오프의 점소등 제어만이 가능하고 상황에 따라서, 예를 들면 사람 또는 차량의 통행이 적은 심야 시간대나 외부 조도가 밝을 경우에 통행에 불편함이 없는 최소의 조도를 유지시켜주는 절전제어로서 조명등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양방향통신을 이용한 릴레이 중계기능으로 조명등(가로등, 보안등 등)의 정상 또는 불량 등의 이상여부 진단을 자체에서 판별 후, 이 정보를 소출력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통제실로 전송하여 어느 곳의 안정기 및 조명등 램프가 소손되었는지와, 소손된 조명등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여 고장개소 수신기의 불량상태를 확인 조치를 취할 수 있어 보수작업과 원인파악에 불필요한 인력과 시간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원격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은, 기지국중계망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조명등(가로등, 보안등 등)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이상의 조명등을 기지국중계망을 통해 직접 송신하여 원격제어하는 주제어장치와, 상기 주제어장치로 소정의 정보를 보내고 적어도 하나이상 군단위로 형성된 조명등의 이상유무정보를 수신하는 제1,2정보집합수신기와, 상기 제1정보집합수신기로 이상유무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배치된 제1,2군의 조명등이 릴레이 중계기능으로 소출력무선신호를 송신하여 최종 정보를 양방향통신되는 조명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2군 조명등은 정역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릴레이 중계되고 있다. 또한 상기 주제어장치는, 제1,2정보집합송신기에서 기지국중계망을 통하여 얻어진 정보를 연산한 코드를 제어관리실에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코드는 적어도 7자리의 식별기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제어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제어시스템의 구성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100n; 제1군조명등 200,200n; 제2군조명등
110; 제1정보집합송신기 220; 제2정보집합송신기
300; 주제어장치 400; 기지국중계망
500; 제어관리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제어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제어시스템의 구성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원격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은, 제 1군에 속하는 조명등(100)(100n)으로 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원격으로 받아 처리하는 제1정보집합송신기(110)와, 제2군에 속하는 조명등(200)(200n)으로 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원격으로 받아 처리하는 제2정보집합송신기(220)와, 상기 제1정보집합송신기(110) 및 제2정보집합송신기(220)의 출력신호를 원격으로 주제어장치(300)에 공급하는 기지국중계망(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정보집합송신기(110) 및 제2정보집합송신기(220)는 통상의 기술 구성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제1군 및 제2군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여기에 국한하지 않고 두개 이상의 군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중계망(400)을 통해 전송되는 감지신호는 주제어장치(300)를 통해 제어관리실(500)로 공급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로서, 주제어장치(300), 통신부(320), 제1,2정보집합송신장치(110) (220), 제1,2군의 조명등(100)(100n)(200)(200n)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주제어장치(300)는 미리저장된 소정의 데이터에 따라 조명등(100)(100n)(200)(200n)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으며, 통상의 만년달력 및 시간데이터등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통신부(320)는 양방향 유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주제어장치(300)에 대응하여 상기 조명등(100)(100n)(200)(200n)의 안정기 및 램프 등의 상태와 불량이 발생된 제1,2군의 조명등(100)(100n)(200)(200n)의 위치를 기지국중계망(400)를 통해 제어관리실(500)로 전송하고 있다.
상기 제1, 제2정보집합송신장치(100)(220)는 양방향유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2군의 조명등(100)(100n)(200)(200n)의 정상 또는 불량등의 이상여부 진단을 자체에서 판별한 후 얻어지는 정보를 소출력무선신호를 이용하여 기지국중계망(400)을 통해 제어관리실(500)에 송신하고 있다.
상기 제1,2군의 조명등(100)(100n)(200)(200n)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군락을 이루어 제1군 및 제2군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경우에 다수개의 군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등(100)(100n)(200)(200n)은 양방향통신을 이용한 릴레이 중계기능으로 조명등의 정상 또는 불량등의 이상여부를 진단하여 소출력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제1,2정보 집합송신기(110(220)으로 송신하고 있다. 여기서 조명등(100)(100n) (200)(200n)의 릴레이 중계는 근접하여 있는 다른 조명등(100n)(200n)의 수신기에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기의 번호, 불량개소가 들어있는 정보를 다시 근접한 수신기에게 송신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조명등(100)(100n)(200)(200n)의 릴레이중계는 정역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명등(100)(100n)(200)(200n)의 수신기를 기초로 소출력무선신호로 릴레이 중계되어 얻어진 최종정보는, 제1,2 정보집합송신기(110)(220)를 통하여 기지국중계망(400)을 통해 주제어장치(300)에서 재어관리실(500)로 보내어져 필요한 데이터가 컴퓨터에 저장되며, 이를 관리하는 운용자는 고장 개소 수신기의 불량 상태를 확인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 정상적인 조명등의 사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조명등(100)(100n)(200)(200n)의 수신기를 기초로 하여 송수신되는 정보는 7자리의 코드로 표시된다.
즉, 0000000 ; 1,2자리는 구룹번호, 3,4자리는 개별번호, 5,6,7자리는 고장부위판별코드로 표시하여 그 식별을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원격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은, 주제어장치(300)가 제어관리실(500)과 연결된 상태에서 가동되어 미리 입력된 각종 데이터가 송신조건에 따라 조명등을 점등 및/또는 소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기지국중계망(400)을 통하여 제1군 및 제2군의 조명등(100)(100n)(200)(200n)에 보내어 제어상태를 이룬다.
여기서 시간데이터에 따라 주제어장치(300)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은 통상의 과정과 동일하게 동작되므로, 여기서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주제어장치(300)의 제어신호가 지국중계망(400)을 통하여 제1군 및 제2군의 조명등(100)(100n)(200)(200n)에 보내어져 이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등(100) (100n)(200)(200n)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이 구동신호를 받은 조명등(100)(100n)(200)(200n)은 점등 또는 소등된다.
상기 조명등(100)(100n)(200)(200n)의 이상여부 진단을 위한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수신기가 조명등(100)(100n)(200)(200n)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조명등(100)(100n)(200)(200n)에 대하여 양방향통신을 이용한 릴레이 중계기능으로 보안등의 정상 또는 불량 등의 이상여부 진단을 자체에서 판별한 후 여기서 얻은 정보를 소출력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근접하는 다른 조명등(100n)(200n)에 송신하고, 또다시 동일한 릴레이 중계기능에 의해 근접하여 있는 조명등 수신기에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기의 번호, 불량개소가 들어있는 정보를 다시 근접한 조명등(100n)(200n)의 수신기에 송신한다.
이와 같은 릴레이 중계는 정역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진행된 후 최종 조명등(100)(200)에서 최종정보를 수신한 후 제1,2정보집합송신기(110)(220)에 송신하고, 제1,2정보집합송신기(110)(220)는 기지국중계망(400)를 통해 주제어장치(300)로 보내고, 주제어장치(300)는 수신된 정보를 판단하여 데이터화 하여 제어관리실(500)에 저장하며, 이를 관리하는 운용자는 고장개소 수신기의 불량 상태를 확인 후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관리실(500)에 저장되는 정보는 7자 코드로 표시되며 그 식별 방안을 표1로 나타낸다.
표1
구분 식별코드 그룹 개별번호 수신기상태
경우1 1001000 A그룹 01번 정상동작
경우2 101000 B그룹 01번 정상동작
경우3 101001 B그룹 01번 안정기불량
경우4 101010 B그룹 01번 등고장
경우5 · · · 입력전원고장
경우6 · · · 송신기불량
따라서 운영자로 부터 지령을 받은 조치자는 불량이 발생된 조명등의 안정기 및 램프 등을 적절하며 신속하게 조치하여 항상 정상상태의 조명등 및 그 부속품의 사용을 이루게 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일탈(逸脫)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실시가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격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는 조명등의 점등 및 소등을 원격제어하여 양호하고 편리한 사용을 이루게 하면서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릴레이 중계기능으로 안정기 및 램프의 상태와 불량이 발생된 조명등의 위치가 표시된 코드화된 정보가 제어관리실에 제공되므로, 불량이 발생된 조명등의 안정기 및/또는 램프를 신속하고 적절하게 조치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인력과 시간 낭비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기지국중계망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조명등(가로등, 보안등 등)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이상의 조명등을 기지국중계망을 통해 직접 송신하여 원격제어하는 주제어장치와;
    상기 주제어장치로 소정의 정보를 보내고 적어도 하나이상 군단위로 형성된 조명등의 이상유무정보를 수신하는 제1,2정보집합수신기와;
    상기 제1정보집합수신기로 이상유무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배치된 제1,2군의 조명등이 릴레이 중계기능으로 소출력무선신호를 송신하여 최종 정보를 양방향통신되는 조명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군 조명등은 정역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릴레이 중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장치는 제1,2정보집합송신기에서 기지국중계망을 통하여 얻어진 정보를 연산한 코드를 제어관리실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적어도 7자리의 식별기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
KR2020000031922U 2000-11-15 2000-11-15 원격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 KR200220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922U KR200220101Y1 (ko) 2000-11-15 2000-11-15 원격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922U KR200220101Y1 (ko) 2000-11-15 2000-11-15 원격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448A Division KR100361214B1 (ko) 2000-11-14 2000-11-14 원격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101Y1 true KR200220101Y1 (ko) 2001-04-16

Family

ID=73091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922U KR200220101Y1 (ko) 2000-11-15 2000-11-15 원격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1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086B1 (ko) 2006-12-19 2008-04-18 한국전기연구원 저전력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한 가로등 원격감시제어시스템
KR100877298B1 (ko) 2008-02-22 2009-01-07 (주)유비엔씨 유무선 복합망을 이용한 조명의 전력제어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086B1 (ko) 2006-12-19 2008-04-18 한국전기연구원 저전력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한 가로등 원격감시제어시스템
KR100877298B1 (ko) 2008-02-22 2009-01-07 (주)유비엔씨 유무선 복합망을 이용한 조명의 전력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7057B1 (ko) 원격 가로등 제어 시스템
EP1078555A1 (en) Lamp fault detection
KR100361214B1 (ko) 원격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
KR200220101Y1 (ko) 원격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
KR20070021437A (ko) 로컬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도로 정보 수집 및 제어 시스템
KR100281222B1 (ko) 유무선송수신형가로등콘트롤러
JP3433608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100509785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가로등 제어장치
KR100823086B1 (ko) 저전력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한 가로등 원격감시제어시스템
KR100267056B1 (ko) 역율 조정이 가능한 가로등 콘트롤러
KR20120000146A (ko) 지그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KR19980019410A (ko) 원격 가로등 제어 시스템의 주제어장치(Master controller of remote street lighting controlling system)
CN106900126A (zh) 适用于照明路灯的监测控制系统
KR100547471B1 (ko) 컴퓨터양방제어와 지피에스를 활용한 가로등 중앙집중 관리 시스템
KR100267055B1 (ko) 원격 가로등 제어 시스템의 가로등기구
KR101546417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led 가로등 mtf 제어장치
JP2002083694A (ja) 街灯異常検出システム及び点灯異常検出装置及び街灯制御装置
JP4534456B2 (ja) 道路灯監視装置および監視方法
KR101077930B1 (ko)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시스템
KR200186634Y1 (ko) 가로등 자동 제어시스템
KR200396948Y1 (ko) 양방향 보안등 원격제어장치
KR200293217Y1 (ko) 가로등 원격제어장치
JPH11273875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166166B1 (ko) 무선 디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led 디밍 가로등기구
KR100661139B1 (ko) 양방향 보안등 원격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