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930B1 -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930B1
KR101077930B1 KR1020090125734A KR20090125734A KR101077930B1 KR 101077930 B1 KR101077930 B1 KR 101077930B1 KR 1020090125734 A KR1020090125734 A KR 1020090125734A KR 20090125734 A KR20090125734 A KR 20090125734A KR 101077930 B1 KR101077930 B1 KR 101077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control unit
monitoring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8668A (ko
Inventor
김진철
김영억
이석범
조용준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5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930B1/ko
Publication of KR20110068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제시스템과 보안등 사이에 양방향으로 보안등을 감시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개시발명은 제어통보부 및 다수의 감시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어통보부는 관제시스템으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감시제어부로 전달하고, 감시제어부는 제어통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보안등을 제어하고 보안등 상태 데이터를 제어통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기존 보안등 관리를 위하여 소요되었던 다액의 유지보수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데이터의 오류발생 가능성을 줄이고, 보안등의 교체 시기를 비교적 정확히 예측할 수 있어 민원이 발생할 소지를 사전에 예방하고 적기에 유지보수 및 관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시스템{Bi-directional Secutiry Light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보안등 감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제시스템과 보안등 사이에 양방향으로 보안등을 감시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안등은 어두운 곳을 밝혀주는 전기장치의 한 종류로서 전기, 전자 및 가로나 광산 등의 소형물건에서부터 특정지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배치 또는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보안등의 점소등 방법으로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빛의 밝기를 판단함으로써 어두우면 점등되고, 밝으면 소등되는 조도광센서를 이용하거나, 일년치의 날짜별 점, 소등 시간데이터를 미리 프로그램으로 보관하고 있으면서 내장된 시계I.C의 시각에 따라 점소등을 제어하는 타이머 방식이 있다.
상기 조도광센서 방식은 대기오염으로 인한 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나 분진 등이 많아지면 광량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오동작이 자주 발생하며, 타이머 방식은 날짜 및 시간을 보정할 수 없고 인력에 의존하여 계절에 따라 점소등 시간에 차이가 발생할 때에는 전력의 낭비가 생기고, 또한 날짜 및 시간 보정 시에는 제어기에 일일이 시간을 재설정해야 하는 과다한 인력소요의 문제가 있다.
상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원격지에서 송신되는 RF무선신호를 수신하여 그 명령에 따라 점소등을 제어하는 무선원격제어 방식이 제안되어 있으나, 상기 RF 무선통신 방식은 원격지에 다수의 송신장치 및 중계기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과다한 비용부담과 날짜 및 시간 보정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보정 데이터를 송신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에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조명등 제어시스템은 원하는 시각에 선별적으로 또는 일시에 조명등의 점소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는 주제어장치에서 지역 번호를 포함한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고 이를 조명등 콘트롤러에서 수신하여 제어신호 중에 포함된 지역번호가 자신의 지역번호와 동일한지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 연속되는 제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할당된 조명등기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명등 제어 시스템의 조명등 콘트롤러에서는 조명등기구를 원격에서 점소등을 제어할 수 있지만, 조명등기구의 절전 제어 및 램프, 안정기, 점화기 등의 조명등의 전반적인 상태를 원격제어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다른 조명등기구에서는 전력선을 이용하여 조명등의 고장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가 있었으나, 조명등의 점소등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고주파 노이즈 성분을 차단할 수 없어서 조명등기구와 전력선을 공유하는 다른 부하에 노이즈의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부하 소비전 력이 고정되어 있는 일반 안정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온/오프의 점소등 제어만이 가능하고 상황에 따라서, 예를 들면 사람 또는 차량의 통행이 적은 심야 시간대나 외부 조도가 밝을 경우에 통행에 불편함이 없는 최소의 조도를 유지시켜주는 절전제어로서 조명등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가로를 밝히는 가로등 시스템의 발전과정은, 초기에는 국부적으로 관리자가 직접 차단기를 수동으로 온/오프 시키든 것이 밤과 낮의 조도를 감지하여 점소등 하는 가로등 콘트롤러와, 프로그램에 의해 점소등이 제어되는 가로등 콘트롤러와, 단방향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제어가 가능한 가로등 제어시스템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가로등 제어시스템은 원거리에서 원하는 시각에 선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가로등의 점소등을 제어할 수 있으나, 관리자가 단방향으로만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있어 가로등 시스템의 고장상태를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현재 주류를 이루는 보안등 감시 제어 시스템은 단방향 시스템으로써 보안등 관리를 위하여 많은 유지보수 인력을 필요로 한다. 현재 보안등 관리는 지역자치단체별로 담당하고 있으며, 기존의 보안등 관리 방법에 의하면 보안등 상태를 사람이 직접 현장에 출장하여 유관상 확인해야 하고 수기로 장부를 관리하는 수기 대장 관리에 의하는데, 이러한 수기 대장 관리 방법은 보안등의 상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할 여지가 많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관제 시스템과 연동하여 구동되는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어통보기, 감시제어기를 포함하되, 제어통보부는 주제어부, 제어통보부에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제어통보부 및 감시제어부의 상태 및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표시부, 조작키에 의하여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조작키 입력부, 관제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CDMA 모뎀을 포함하는 CDMA 모뎀 제어부, 감시제어부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모뎀을 포함하는 무선 모뎀 제어부 및 정해진 시간에 보안등을 점등하거나 소등하기 위한 보안등 제어부를 포함하고, 감시제어부는 주제어부, 감시제어부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감시제어부의 상태 및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표시부, 조작키에 의하여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조작키 입력부, 제어통보부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모뎀 제어부 및 정해진 시간에 보안등을 점등하거나 소등하기 위한 보안등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기존 보안등 관리를 위하여 소요되었던 다액의 유지보수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데이터의 오류발생 가능성을 줄이고, 보안등의 교체 시기를 비교적 정확히 예측할 수 있어 민원이 발생할 소지를 사전에 예방하고 적기에 유지보수 및 관리가 가능하다.
이하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참조로 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시스템은 제어통보부(100) 및 다수의 감시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제어통보부(100)는 관제시스템으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감시제어부(200)로 전달한다.
감시제어부(200)는 제어통보부(100)의 제어명령에 따라 보안등을 제어하고 보안등 상태 데이터를 제어통보부(100)로 전송한다.
도 2는 도 1의 제어통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통보부(100)는 주제어부(110), 전원부(120), 제어통보부(100) 및 감시제어 부(도시되지 않음)의 상태 및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표시부(130), 조작키에 의하여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조작키 입력부(140), 관제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CDMA 모뎀을 포함하는 CDMA 모뎀 제어부(150), 감시제어부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모뎀을 포함하는 무선 모뎀 제어부(160), 및 정해진 시간에 보안등을 점등하거나 소등하기 위한 보안등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주제어부(110)는 제어통보부(1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연산 및 보안등에 관련한 상태 자료 등의 저장 및 주변장치의 제어를 수행한다. 주제어부(1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1 저장장치, 및 제2 저장장치를 포함한다. 제1 저장장치는 관제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지역 정보에 따라 점등 및 소등 편차, 심야설정시간을 저장하고 있고, 설치 지역의 시간 테이블도 저장하고 있어 각 감시 제어기에 운용데이터 송출시 현재시간, 지역번호, 및 해당 운용데이터를 자동으로 송출한다. 제어통보부(100)는 1일 2회 자동으로 운용 데이터를 송출하거나 관제시스템에서 운용데이터 송출명령이 오면 그때마다 감시제어부(200)로 데이터를 송출한다. 제어통보부(100)는 고유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관제시스템의 변경명령에 의하여 고유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통보부(100)가 관리할 수 있는 보안등 감시제어부는 최대 128대로 할 수 있다. 감시제어부(200)에서 고장 및 상황 발생시 고장 내용이 수신되면 즉시 그 내용을 CDMA 모뎀을 통한 TCP/IP통신에 의하여 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전원부(120)는 제어통보부(100)의 동작을 위한 직류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20)는 220VAC±15%, 60Hz의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12VDC±5%, 5.0VDC±5%, 및 3.3VDC±5%의 직류전원을 만들어 제어통보부(100)에 공급한다.
표시부(130)는 관제시스템으로부터의 명령, 감시제어부로부터 온 상태 데이터, 및 사용자에 의한 조작명령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기기의 전력소모를 경감하기 위하여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한 화면에 6자 x 2자 이상을 표시하도록 구성하고, 122 x 32 픽셀의 해상도를 갖는 그래픽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표시할 내용은 한글, 영문,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는 외부에서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어통보부(100)가 설치되는 장소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표시화면상에 나타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 내에 표시되는 한글 1자의 크기는 16 x 16 픽셀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바람직하게는 표시부는 제어통보기 상태 표시부 및 감시제어부 상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키 입력부(140)는 제어통보부(100)에 제어명령을 하거나, 제어통보부(100)에 저장되어 있는 필요한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조작명령을 하기 위한 부분이다. 제어통보부(100)에서 입력할 수 있는 조작키는 조작의 편의를 위하여 적어도 4개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조작키를 이용하여 제어통보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제어통보기 상태 표시부 및 감시제어부 상태 표시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조작키도 각각 별개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통보기에 배치된 조작키를 이용하여 현장에 설치된 보안등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또한, 조작키를 누를 경우 음향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조작이 있음을 알리는 기능을 부가할 수도 있다.
CDMA 모뎀 제어부(150)는 CDMA 모뎀을 포함하여 관제시스템과 제어통보부(100) 사이의 통신을 제어한다. CDMA 모뎀은 제어통보부(1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시리얼 통신이 가능하며 관제시스템과 CDMA 방식에 의한 통신을 수행한다. CDMA 모뎀 제어부(150)는 패킷 서비스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패킷 서비스를 위하여 CDMA 모뎀 내부에 TCP/IP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CDMA 모뎀 제어를 위한 서버 IP 및 포트번호는 관제 시스템에서 직접 설정할 수 있다. 관제시스템으로부터 감시제어부 전체 또는 개개의 감시제어부를 점등 또는 소등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통보부(100)는 이를 감시제어부로 전송한다. 감시제어부는 전송받은 제어명령에 따라 보안등을 제어하고 제어결과를 제어통보부(100)를 통하여 다시 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한다.
관제시스템은 원격 비상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는데, 제어통보부(100)는 원격 비상제어 명령을 받고 이를 감시제어부로 전송하고, 감시제어부의 제어와 동시에 그 결과를 제어통보부(100)를 통하여 관제시스템으로 통보한다. 보안등의 점등 또는 소등 시간이 되면, 제어통보부(100)는 감시제어부의 상태를 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한다. CDMA 모뎀 제어부(150)는 CDMA 모뎀과 통신시 모뎀이 응답하지 않는 경우 CDMA 모뎀을 리셋할 수 있다.
관제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감시제어부에 필요한 운용 데이터를 원격 변경, 운용할 수 있고, 항상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어야 하는데, 그 보관해야 할 데이터로는 제어통보부, 감시제어부 별 개별 식별자, 지역 식별자 변경 및 설정 내용, 현재시간 변경 및 설정 내용, 점등 편차, 소등편차, 심야소등 시작시간, 심야소등 종료시간, 서버 IP, 포트번호, 관제시스템으로의 통신주기 설정 내용, 관리 PDA의 전화번호, 통지여부, 그룹설정 정보, 감시제어부 별 현재상태 데이터 저장 내용 등이다.
무선 모뎀 제어부(160)는 제어통보부(100)와 감시제어부 사이의 통신을 제어한다. 소전력 무선 통신대 무선 모뎀을 이용하여 감시제어부와 통신하여 감시제어부의 상태를 관제시스템으로 통보한다. 무선 모뎀 제어부(160)는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는데,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검침 프로토콜을 수행하며 감시제어부와 통신한다. 제어통보부(100)가 감시제어부와 통신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제어통보부(100)는 그 사실을 관제시스템으로 통보한다. 제어통보부(100)는 현장에 설치된 별도의 조작키(140)로 감시제어부의 동작 상태를 알 수 있다. 또한, 제어통보부(100)가 특정 감시제어부와 직접 통신을 할 수 없는 경우 근처의 다른 감시제어부를 중계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어통보부(100)는 감시제어부와의 통신시 무선채널 상태가 불량하거나 사용중인 경우에 다른 채널로 변경할 수 있는 멀티채널 액세스 기능을 가진다. 무선 모뎀 제어부(160)에서 사용하는 무선채널로 제어채널 1개와 통신용 채널 20개를 사용한 예는 표 1과 같다.
채널 주파수(MHz) 비고 채널 주파수(MHz) 비고
0 424.7000 제어채널 11 424.8375
1 424.7125 12 424.8500
2 424.7250 13 424.8625
3 424.7375 14 424.8750
4 424.7500 15 424.8875
5 424.7625 16 424.9000
6 424.7750 17 424.9125
7 424.7875 18 424.9250
8 424.8000 19 424.9375
9 424.8125 20 424.9500
10 424.8250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모든 데이터 프레임은 프레임의 선두에 상호 동기를 위한 동기 신호를 가진다. 소출력 무선통신 모뎀 송수신 규약에 따라, 주파수 대역은 424MHz 대역을 사용하고, 전파형식은 F1D방식을 사용하고, 공중선전력은 10mW 이하로 하며, 점유주파수 대역폭은 8.5KHz로 하고, 주파수 허용편차는 할당주파수 ±4 x 106 이하로 하며, 송신 공중선 절대이득은 2.14dB 이하로 한다.
보안등 제어부(170)는 정해진 시간에 보안등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고, 제어통보부(100)와는 시리얼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보안등 점등 및 소등시간을 제어통보부(100)로부터의 요구시 시리얼통신으로 전송한다. 관제시스템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통보부(100)의 무선 모뎀을 이용하여 감시제어부로 전송한다. 보안등이 이상 점등 또는 점등 불량 등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고장내용을 제어통보부(100)로 전송한다. 고장내용으로는 램프불량, 안정기불량, 점등/소등여부, 누전여부, 제어통보부(100)와 감지제어부 사이의 통신불량 등을 들 수 있다. 고압방전등과 안정기의 역기전류에 의한 접점 스위치의 융착 및 공진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회로를 내장할 수 있다.
제어통보부(100) 및 감시제어부는 위상동기회로(PLL, Phase-locked loop)를 사용한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21개 채널을 모두 내장하고 있으며, 통신시마다 채널 변경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1의 감시제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 면, 감시제어부(200)는 주제어부(210), 전원부(220), 표시부(230), 조작키 입력부(240), 무선 모뎀 제어부(250) 및 보안등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주제어부(2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1 기억장치 및 제2 기억장치를 포함한다. 제1 기억장치는 통상의 보안등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중요 데이터는 정전시에도 그 내용이 지워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2 기억장치에 저장한다.
감시제어부(200)는 고유번호가 있으며 양산시에 고유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감시제어부(200)는 초기설치시 제어통보부(도시되지 않음)에서 전달받아 저장된 경위도 좌표값을 통한 일출 및 일몰시간 데이터에 맞게 보안등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할 수 있다. 감시제어부(200)는 별도의 RTC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감시제어부(200)는 별도의 회로를 통하여 보안등의 램프 및 안정기 불량을 감지하여 불량 내용을 제어통보부로 통보할 수 있다. 감시제어부(200)는 정전시에도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도록 데이터를 제2 기억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누전차단기가 동작했을 경우 제어통보부로 누전발생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전원부(220)는 교류를 입력으로 하여 감시제어부(200)에 직류전원을 공급한다. DC출력전압으로 12VDC±5% 및 5.0VDC±5%를 공급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감시제어부(200)의 상태 및 조작내용을 시각화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이다. 표시부(200)는 기기의 전력소모를 경감하기 위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한 화면에 감시제어부(200)의 표시내용을 나타낼 수 있고, 표시내용은 한글, 영문, 및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조작키 입력부(240)는 감시제어부(200)에 필요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키를 포함한다. 조작키를 이용하여 보안등을 수동으로 점등 및 소등할 수 있다. 감시제어부(200)의 조작키는 4개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조작키를 이용하여 감시제어부(200)의 고유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조작키를 이용하여 감시제어부(200)의 동작상태를 알 수 있다.
무선 모뎀 제어부(250)는 제어통보부와의 통신을 담당하는데, 소전력 무선 통신 424MHz 대역의 무선 모뎀을 이용하여 제어통보부와 통신하여 감시제어부(200)의 상태를 관제시스템으로 통보할 수 있다. 무선 모뎀 제어부(250)는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는데,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검침 프로토콜을 수행하며 감시제어부(200)와 인터페이스한다. 무선채널은 제어채널 1개와 통신용 20개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모든 데이터 프레임은 프레임의 선두에 상호 동기를 위한 동기 신호를 가진다. 소출력 무선통신 모뎀 송수신 규약에 따른 감시제어부(200)의 통신사양은 제어통보부에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보안등 제어부(260)는 정해진 시간에 보안등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한다. 제어통보부와 통신 두절시에도 정해진 감시제어부(200)의 내부 설정시간에 의하여 보안등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보안등 제어부(260)는 고압방전등과 안정기의 역기전류에 의한 접점 스위치의 융착 및 공진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회로를 내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 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제어통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및
도 3은 도 1의 감시제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Claims (14)

  1. 보안등 감시제어시스템으로서, 제어통보부 및 다수의 감시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통보부는 관제시스템으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감시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감시제어부는 상기 제어통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보안등을 제어하고 보안등 상태 데이터를 상기 제어통보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통보부는, 주제어부; 상기 제어통보부에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상기 제어통보부 및 상기 감시제어부의 상태 및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표시부; 조작키에 의하여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조작키 입력부; 상기 관제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CDMA 모뎀을 포함하는 CDMA 모뎀 제어부; 상기 감시제어부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모뎀을 포함하는 무선 모뎀 제어부; 및 정해진 시간에 보안등을 점등하거나 소등하기 위한 보안등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CDMA 모뎀 제어부와의 통신시 상기 CDMA 모뎀의 응답이 없는 경우 상기 CDMA 모뎀을 리셋하고, 상기 무선 모뎀 제어부와의 통신시 상기 무선 모뎀의 응답이 없는 경우 상기 무선 모뎀을 리셋하며,
    상기 제어통보부의 무선 모뎀 제어부는 상기 제어통보부와 상기 감시제어부 사이의 통신채널이 불량하거나 사용중인 경우에 다른 채널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통보부의 주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제1 기억장치; 제2 기억장치; 및 RT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CDMA 모뎀사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보안등 제어부사이, 및 상기 보안등 제어부와 상기 무선 모뎀사이의 통신은 직렬통신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통보부의 표시부는 상기 제어통보부의 상태 및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제어통보부 표시부 및 상기 감시제어부의 상태 및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감시제어부 표시부를 포함하고, 액정표시장치에 의하여 각 상태 및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통보부의 액정표시장치는 외부에서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DMA 모뎀 제어부는 패킷 서비스 기능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DMA 모뎀은 상기 패킷 서비스를 위하여 TCP/IP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통보부의 서버 IP, 포트번호는 상기 관제 시스템에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시스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통보부의 보안등 제어부는 보호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회로에 의하여 고압방전등과 안정기의 역기전류에 의한 접점 스위치의 융착 및 공진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제어부는 주제어부; 상기 감시제어부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감시제어부의 상태 및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표시부; 조작키에 의하여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조작키 입력부; 상기 제어통보부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모뎀 제어부; 및 정해진 시간에 보안등을 점등하거나 소등하기 위한 보안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제어부의 보안등 제어부는 보호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회로에 의하여 고압방전등과 안정기의 역기전류에 의한 접점 스위치의 융착 및 공진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시스템.
KR1020090125734A 2009-12-16 2009-12-16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시스템 KR101077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734A KR101077930B1 (ko) 2009-12-16 2009-12-16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734A KR101077930B1 (ko) 2009-12-16 2009-12-16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668A KR20110068668A (ko) 2011-06-22
KR101077930B1 true KR101077930B1 (ko) 2011-10-31

Family

ID=44400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734A KR101077930B1 (ko) 2009-12-16 2009-12-16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9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531B1 (ko) * 2014-10-24 2016-06-08 류황정 고장난 램프의 교체를 유보할 수 있는 조명 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668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5598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가로등 조명제어 시스템
KR101175996B1 (ko) 가로등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267057B1 (ko) 원격 가로등 제어 시스템
KR101132660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u-센서 무선 가로등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75134B1 (ko) 원격제어기능이 구비된 고효율 안정기 및 이를 이용한보안등/가로등 제어 시스템
KR20130067492A (ko) 지그비 네트워크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가로등 및 보안등의 등주감시와 조명제어 시스템
KR101648865B1 (ko)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분전함과 무선통신이 가능한 가로등 제어장치
US20220132424A1 (en) Managing a Network Comprising Multiple Communication Devices
KR101077930B1 (ko) 양방향 보안등 감시제어시스템
KR20110107071A (ko) 경관 조명 무선 제어장치
KR101091825B1 (ko) 보안등의 제어 시스템
KR100267056B1 (ko) 역율 조정이 가능한 가로등 콘트롤러
KR19980019410A (ko) 원격 가로등 제어 시스템의 주제어장치(Master controller of remote street lighting controlling system)
KR100361214B1 (ko) 원격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
KR100624847B1 (ko) 무선전화시스템을 이용한 가로등 제어장치
KR20130096839A (ko) 전등 유지 관리 시스템
JP2002083694A (ja) 街灯異常検出システム及び点灯異常検出装置及び街灯制御装置
JPH11283760A (ja) 街路灯異常通知システム
KR200396948Y1 (ko) 양방향 보안등 원격제어장치
KR20030054153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가로등 원격 운영 시스템
KR100661139B1 (ko) 양방향 보안등 원격제어장치
KR200220101Y1 (ko) 원격 조명등 양방향 제어시스템
KR200310279Y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등기구 제어 시스템
KR20000056008A (ko) 주파수공용통신을 이용한 항로표지장치의 원격제어 및 동기점멸장치
KR930023792A (ko) 가로등 원격제어 및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