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742Y1 - 부항기용 부항컵의 밸브구조 - Google Patents

부항기용 부항컵의 밸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742Y1
KR200219742Y1 KR2020000030769U KR20000030769U KR200219742Y1 KR 200219742 Y1 KR200219742 Y1 KR 200219742Y1 KR 2020000030769 U KR2020000030769 U KR 2020000030769U KR 20000030769 U KR20000030769 U KR 20000030769U KR 200219742 Y1 KR200219742 Y1 KR 2002197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ping
cup
valve
open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유자
Original Assignee
유유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유자 filed Critical 유유자
Priority to KR2020000030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7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7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742Y1/ko

Links

Landscapes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항기용 부항컵의 밸브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부항컵(110)의 융기부에 소정폭 돌출되어 고정되며, 상측 중앙에는 대경의 연통홀(121)이 그리고, 하측단에는 소경의 연통홀(122)이 형성되는 중공형의 밸브몸체(120)와; 상기 밸브몸체(120)의 연통홀(121)에 소정폭 억지 끼움되고,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배기홀(131)이 형성되는 중공형의 고정관(130)과; 상기 고정관(130)이 삽입된 밸브몸체(120)의 상측단부에 올려지며 내부에 안착홀(142)이 형성되는 손잡이(140)와; 하단부에 상기 밸브몸체(120)의 공간내에서 소정폭 승하강되며 상기 연통홀(122)을 개폐하게 되는 개폐밸브(151)가 구비되고, 상단부에 상기 손잡이(140)와 고정관(130)을 슬라이드 통과하여 상기 손잡이(140)의 안착홀(142)에 슬라이드 걸림되도록 확개단(152)을 갖는 개폐봉(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항기용 부항컵의 밸브구조{VALVE STRUCTURE OF CUPPING GLASS}
본 고안은 부항기용 부항컵의 밸브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항기로부터 인출된 흡인호스가 고정되어 피부에 밀착된 부항컵내의 공기를 흡인한 후 호스 제거시 부항컵내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부항컵의 밸브구조를 개선하여 진공압이 부여된 부항컵내를 완전 밀폐 또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부항컵이 인체로부터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부항기용 부항컵의 밸브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부항기는, 내부에 공기청정기, 압력게이지, 컴프레샤, 전원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호스로 연결되며 피부에 밀착되는 반구형의 부항컵으로 구성되어져, 전원 인가시 피부에 밀착된 부항컵내의 공기를 호스를 통해 흡인시켜 진공압에 의해 피부조직이 당겨지도록 하고 이에따라 인체의 혈관이 자극되어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부항컵은, 환부에 직접 접촉되는 것으로 흡인호스를 통해 내부가 진공상태로 되고 또한 흡인호스의 제거시에도 부항컵 내부에 진공압이 발생되도록 하는 밸브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한 부항컵의 밸브구조는 현재 다수 출원되어 등록된 바 있다.
그 한예로 실용신안 제20-158300호로 등록된 부항치료기용 부항컵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항컵 본체(1)의 융기측에 개방된 꼭지부(2)가 형성되고, 그 바닥면에 상하로 관통된 연통공(3)이 형성되며, 상기 꼭지부(2)에는 상기 연통공(3)을 커버하는 패킹(4)과 상기 패킹(4)이 끼워지며 승하강 하게되는 작동봉(5)과 상기 작동봉(5)을 안내하도록 홀(6)을 갖는 마개(7)로 이루어진 개폐부재(8)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부항컵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8)에 포함되는 마개(7)의 상면에 다수의 배출공(9)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외주면에는 상기 배출공(9)과 연통되는 다수의 요입홈(9a)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9)을 통한 공기의 흡인시에는 작동봉(5)과 패킹(4)이 상승되어 배출공(9)을 통해 공기를 흡인하게 되고, 공기 흡인을 멈추게 되면 부항컵 내부의 진공압에 의해 작동봉(5)이 하강되면서 패킹(4)이 연통공(3)을 막아 부항컵 내부에 진공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해제시에는 작동봉(5)을 당겨 패킹(4)이 상승되도록 하며 공기가 누출됨에 따라 부항컵이 밀착된 피부면으로부터 해제되게 된다.
상기한 부항컵은 해제시에 소경을 가지며 노출된 작동봉의 머리부를 당겨야 함에 따라 그 해제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또한 작동봉의 패킹은 잦은 사용에 따라 외면이 쉽게 파손되며 이때 패킹의 교체가 힘든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부항기로부터 공기 흡인시에 작동봉이 승강되면서 패킹의 외면이 요홈부를 막게되어 공기의 배출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본원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바 있는 실용신안등록 제
181530호가 있으며, 이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구형의 캡몸체(11)내의 공기압을 유지 및 해제시키는 역지밸브(10)를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한 역지밸브(10)는, 상기 캡몸체(11)의 융기된 정점에 구비되어 상하로 배기홀(12)이 형성된 배기몸체(13)와, 상기 배기홀(12)의 바닥에 형성된 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캡몸체(11)내의 진공압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역지밸브 로드(14) 및 그 상단의 손잡이(15)와, 상기 역지밸브 로드(14)가 상하 작용을 하도록 배기몸체(13)내에 끼움 고정된 역지밸브 케이스(16), 그리고 상기 역지밸브 로드(14)의 선단과 역지밸브 케이스(16) 상측 내벽에 지지되는 압축스프링(17)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하 그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시에 부항기의 전원을 온 동작시키면, 역지밸브(10)의 역지밸브 로드(14)가 부항기의 흡인되는 공기압력에 의해 압축스프링(17)을 압축시키며 배기관 쪽으로 상승되어지고 동시에 캡몸체(11)내의 공기는 배기홀(12)을 통해 빠져나가 내부에는 진공압이 발생된다. 이상태에서 부항기의 전원을 오프 동작시키면, 역지밸브 로드(14)가 진공압력 또는 압축스프링(17)의 복원력에 의해 하향 되면서 배기홀(12)을 차단하게 되어 캡몸체(11)내는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해제시에는 부항기와 연결된 배기관을 빼고 동시에 역지밸브 손잡이(15)를 당기면 캡몸체(11)내의 공기가 배기홀(12)과 역지밸브 케이스(16)를 통해 배출되어져 캡몸체(11)는 피부면으로부터 해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역지밸브는, 사용상 용이하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성이 불편하고 이에따른 가격이 크게 상승되는 요인이 있게 된다.
또한 역지밸브 손잡이가 배기몸체보다 극히 작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당길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부항컵의 융기부에 구비된 밸브 구조가 종래의 구조에 비해 단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연통홀을 안전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부항컵 내의 진공압을 해제시켜 부항컵이 피부면으로부터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부항컵의 밸브구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종래 부항컵의 밸브구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부항컵의 밸브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 요부 단면도,
도 7은 도 6의 'G - G'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밸브 110: 부항컵
120: 밸브몸체 121,122: 연통홀
130: 고정관 131: 배기홀
132: 슬라이드편 133: 확개단
140: 손잡이 141: 확개단
142: 안착홀 150: 개폐봉
151: 개폐밸브 152: 확개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부항기용 부항컵의 밸브구조에 있어서, 상기 부항컵의 융기부에 소정폭 돌출되어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통홀이 형성되는 중공형의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의 연통홀에 소정폭 억지 끼움되고,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배기홀이 형성되는 중공형의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이 삽입된 밸브몸체의 상측단부에 올려지며 내부에 안착홀이 형성되는 손잡이와; 하단부에 상기 밸브몸체의 공간내에서 소정폭 승하강되며 상기 연통홀을 개폐하게 되는 개폐밸브가 구비되고, 상단부에 상기 손잡이와 고정관을 슬라이드 통과하여 상기 손잡이의 안착홀에 슬라이드 걸림되도록 확개단을 갖는 개폐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봉은, 확개단을 갖는 상부몸체와 개폐밸브를 갖는 하부몸체로 분리되어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개폐밸브를 갖는 하부몸체가 상기 손잡이와 고정관을 하방으로 통과하는 상기 상부몸체에 소정폭 끼움된 상태로 고정 결합되며, 또한 상기 개폐밸브는, 하단 중심에서 상방향으로 확개되는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관의 내측 배기홀에는, 상기 개폐봉의 통과시 이들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이격틈새가 형성될 수 있도록 내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슬라이드편이 중심방향으로 소정폭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관의 상측단에는 상기 밸브몸체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확개단을 가지며, 상기 손잡이 또한 상측 테두리에 파지가 용이하도록 확개단이 형성된다.
상기 특징에 따른 본 고안은, 부항컵을 인체의 표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부항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밸브몸체와 끼움 연결된 흡인호스가 공기를 흡인하게 되고 이때 손잡이와 동시에 개폐봉이 상향으로 이동되면서 연통홀을 개방시켜 부항컵내가 진공상태가 되면서 피부를 흡인시키게 된다. 이후 흡인호스를 제거하면 개폐봉의 밸브가 하강되면서 연통홀을 폐쇄시키게 되어 부항컵내는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해제시 손잡이를 당기게 되면 개폐봉이 상승되면서 연통홀이 외부와 연통되어져 부항컵은 피부면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부항기용 부항컵의 밸브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부항컵의 요부를 분해시켜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5에서 분해된 부항컵의 구조를 결합시켜 요부 부분을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6에서 'G - G'선 평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부항기로부터 인출되는 흡인호스와 연결되며 공기흡인시 인체의 피부면에 밀착되어 응혈된 혈관조직을 지압 및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게 되는 부항컵에 있어서, 부항컵(110)내의 공기압을 유지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부항컵(110)의 융기부에 구비되는 밸브(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밸브(100)는, 부항컵(110)의 융기부에 구비된 밸브몸체(120)와, 상기 밸브몸체(120)내에 끼움 고정되는 중공형의 고정관(130)과, 상기 고정관(130)의 상측에 안착되는 손잡이(140)와, 일단부가 고정관(130)내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손잡이(140)를 통과하여 안착되는 개폐봉(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밸브몸체(120)는, 상기 부항컵(110)의 융기부에 소정폭 돌출되어 고정되며, 그 내측에는 상하 축방향으로 연통홀(121)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121)의 하측은 바닥면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에는 소경의 연통홀(12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관(130)은,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면이 상기 밸브몸체(120)의 연통홀(121)에 끼움 고정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개폐봉(150)이 상하 안내될 수 있도록 상하로 배기홀(1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기홀(131)의 내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소정폭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슬라이드편(132)이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개폐봉(150) 외주면과의 사이에 이격틈새가 형성되며, 상측단에는 안착을 위한 확개단(133)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관(130)의 외주면 상하 길이가 상기 밸브몸체(120)의 연통홀(121)의 상하 길이보다 작게 하여 그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140)는, 상측 외주단에 확개단(141)을 가지며 내부는 상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고, 그 바닥면에는 상기 개폐봉(150)의 상측이 통과될 수 있도록 안착홀(14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손잡이(140)는 하측단부가 상기 고정관(130)이 삽입된 밸브몸체(120)의 상측단부에 올려지게 된다.
상기 개폐봉(150)은, 상하부몸체(153)(154)로 분리되어 서로 끼움 결합된 것으로, 하측몸체(154)의 하단부에는 상기 밸브몸체(120)의 공간내에서 승하강되며 상기 연통홀(122)을 개폐하는 개폐밸브(151)가 구비되고, 상측몸체(153)의 상측단에는 상기 고정관(130)의 배기홀(131)을 하방으로 슬라이드 통과하여 상기 손잡이(140)의 안착홀(142)에 슬라이드 걸림되도록 확개단(152)이 구비된다.
상기 개폐밸브(151)는, 원추형상으로 하강시 그 원주면이 상기 연통홀(122)을 개폐시키게 되며, 상기 고정관(130)의 하측단부와 상기 밸브몸체(120)의 연통홀(121) 바닥측과의 사이에 제공되는 소정의 공간 내에서 승하강 하게된다.
또한, 상기 고정관(130)은 상기 밸브몸체(120)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접착재로서 고정됨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부항컵의 밸브가 작동되는 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부항기의 흡인호스 단부를 부항컵(110)의 융기부에 형성된 밸브몸체(120)의 외면에 끼움 고정시킨다. 그런다음, 부항컵(110)의 개방면 단부에 형성된 테두리와 인체의 피부면을 밀착시키고 동시에 부항기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부항기가 밸브몸체(120)와 끼움 연결된 흡인호스를 통해 공기를 흡인하게 되며 이때의 흡인력에 의해 손잡이(140)와 동시에 개폐봉(150)이 상향으로 이동되면서 개폐봉(150)의 개폐밸브(151)가 연통홀(122)을 개방시켜 부항컵(110)내의 공기가 흡인호스를 통해 배출 즉, 부항컵(110)내의 공기는 연통홀(122)을 통과하여 개폐밸브(151)에 의해 확산되면서 동시에 고정관(130)의 저면 틈새와 상기 슬라이드편(132) 사이의 틈새를 통해 흡인호스로 흡인되게 된다. 따라서 부항컵(110)내는 진공상태가 되면서 피부를 흡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피부가 어느정도 흡착되게 되면, 사용자는 흡인호스를 제거한다. 그러면 상승된 개폐봉(150)이 진공압에 의해 하향되면서 그 하단의 개폐밸브(151)가 하강되어 연통홀(122)을 폐쇄시키게 되고 이와동시에 부항컵(110)의 내부는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흡인된 피부조직은 흡인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게 된다.
일정시간후, 부항컵(110)을 해제시키고자 하면, 먼저 손잡이(140)를 당긴다. 그러면 개폐봉(150)의 확개단(152)이 손잡이(140)의 안착홀(142)에 의해 상승되면서 연통홀(122)이 외부와 연통되어지고, 이때 부항컵(110)내의 공기는 상기 고정관(130)과 개폐봉(150)의 사이에 제공된 이격틈새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져 상기 부항컵(110)은 피부면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부항기용 부항컵은, 피부면에 밀착된 부항컵내의 공기를 흡인 및 피부 흡착상태에서 부항컵내의 진공압을 유지시키는 밸브 구조가, 고정관과 승하강시 연통홀을 개폐시키게 되는 개폐봉으로 이루어져 구조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 공기의 흡인 및 흡인과정의 제거시 개폐봉의 개폐밸브가 연통홀을 차단하여 외부공기가 부항컵내로 전혀 침투되지 못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개폐봉의 상단이 확개단을 갖는 손잡이에 걸림 고정되도록 하므로써, 부항컵의 해제시 사용자가 손잡이를 당기면 간편하게 부항컵내의 진공압을 해제시킬 수 있어 부항컵이 피부면으로부터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부항기용 부항컵의 밸브구조에 있어서,
    상기 부항컵(110)의 융기부에 소정폭 돌출되어 고정되며, 상측 중앙에는 대경의 연통홀(121)이 그리고, 하측 바닥면에는 소경의 연통홀(122)이 형성되는 중공형의 밸브몸체(120)와;
    상기 밸브몸체(120)의 연통홀(121)에 소정폭 억지 끼움되고,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배기홀(131)이 형성되는 중공형의 고정관(130)과;
    상기 고정관(130)이 삽입된 밸브몸체(120)의 상측단부에 올려지며 내부에 안착홀(142)이 형성되는 손잡이(140)와;
    하단부에 상기 밸브몸체(120)의 공간내에서 소정폭 승하강되며 상기 연통홀(122)을 개폐하게 되는 개폐밸브(151)가 구비되고, 상단부에 상기 손잡이(140)와 고정관(130)을 슬라이드 통과하여 상기 손잡이(140)의 안착홀(142)에 슬라이드 걸림되도록 확개단(152)을 갖는 개폐봉(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용 부항컵의 밸브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봉(150)은, 확개단(152)을 갖는 상부몸체(153)와 개폐밸브(151)를 갖는 하부몸체(154)로 분리되어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개폐밸브(151)를 갖는 하부몸체(154)가 상기 손잡이(140)와 고정관(130)을 하방으로 통과하는 상기 상부몸체(153)에 소정폭 끼움된 상태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용 부항컵의 밸브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151)는, 하단 중심에서 상방향으로 확개되는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용 부항컵의 밸브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130)은, 상기 밸브몸체(120)내에 접착재로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용 부항컵의 밸브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130)의 내측 배기홀(131)에, 상기 개폐봉(150)의 통과시 이들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이격틈새가 형성될 수 있도록 내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슬라이드편(132)이 중심방향으로 소정폭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용 부항컵의 밸브구조.
  6.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130)의 상측단은 상기 밸브몸체(12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확개단(13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용 부항컵의 밸브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40)는, 상측 테두리에 파지가 용이하도록 확개단(1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용 부항컵의 밸브구조.
KR2020000030769U 2000-11-03 2000-11-03 부항기용 부항컵의 밸브구조 KR2002197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769U KR200219742Y1 (ko) 2000-11-03 2000-11-03 부항기용 부항컵의 밸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769U KR200219742Y1 (ko) 2000-11-03 2000-11-03 부항기용 부항컵의 밸브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742Y1 true KR200219742Y1 (ko) 2001-04-02

Family

ID=7309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769U KR200219742Y1 (ko) 2000-11-03 2000-11-03 부항기용 부항컵의 밸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7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411Y1 (ko) 2009-01-08 2010-01-25 김인순 물리원통캡의 밸브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411Y1 (ko) 2009-01-08 2010-01-25 김인순 물리원통캡의 밸브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5900A (en) Bottle cap with an air removing device
CN105408644B (zh) 可拆卸真空支撑装置
US4319570A (en) Tracheal suction pump designed primarily for aspiration purposes
US3068868A (en) Poison extractor
KR200219742Y1 (ko) 부항기용 부항컵의 밸브구조
CN204699105U (zh) 一种真空拔罐器
KR200167073Y1 (ko) 부항기용 마사지구
CN111494775A (zh) 湿化器及通气治疗设备
JP3040964B2 (ja) 痩身用吸引カップ
TW201739428A (zh) 手套配戴裝置
CN212297235U (zh) 一种气压式自动扶手
KR102251873B1 (ko) 식도 이물질 제거장치
KR200362560Y1 (ko) 부항기
CN211835528U (zh) 皮下气肿负压吸引装置
CN219062474U (zh) 内镜用吸引阀门
KR200181530Y1 (ko) 부항기용 부항캡
KR102132687B1 (ko) 전동식 부항기
KR100336492B1 (ko) 부항기용 부항캡
KR101142027B1 (ko) 공기밸브가 구비된 부항기
KR200362558Y1 (ko) 부항기용 진공흡입기
CN209464391U (zh) 妇科盆腹腔囊肿吸引装置
JP3425076B2 (ja) 痩身用吸引カップ
TWI416012B (zh) Liquid suction equipment
KR200176493Y1 (ko) 부항컵
CN215840698U (zh) 一种吸鼻涕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