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700Y1 - 실내 장식부재 - Google Patents

실내 장식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700Y1
KR200219700Y1 KR2020000028177U KR20000028177U KR200219700Y1 KR 200219700 Y1 KR200219700 Y1 KR 200219700Y1 KR 2020000028177 U KR2020000028177 U KR 2020000028177U KR 20000028177 U KR20000028177 U KR 20000028177U KR 200219700 Y1 KR200219700 Y1 KR 2002197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decoration
front plate
sound absorbing
plat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춘
Original Assignee
신종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춘 filed Critical 신종춘
Priority to KR2020000028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7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7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700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 장식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직육면체를 유지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21)가 형성된 전면판(20); 상기 전면판(20)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1)를 밀폐시키는 후면판(30); 및 상기 전면판(20)과 상기 후면판(30) 사이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21)를 구획하고, 상기 전면판(20)으로 개구되게 흡읍공(41)이 형성된 다수의 흡음판(4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소음 및 차음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장식부재에 의하여 실내장식을 함과 동시에 실내의 완벽한 흡음 및 차음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또한 방화재 및 흡음재가 내장되어 화재시에 견딜 수 있는 방화벽과 보온 및 진동에 대한 차단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실내 장식부재{AN INTERIOR DECORATION MATERIAL}
본 고안은 실내 장식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에 흡음재 및 방화재가 내장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일면으로는 다수의 흡음공이 형성된 장식부재로써 실내의 천정 및 벽등에 시공하여 실내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완벽하게 흡음 및 차음하게 되는 실내 장식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등의 구조물을 시공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시공하여 조립 유지 하게 되는데, 이는 통상적으로 철재빔을 상호 조립하여 건축물의 기초를 이룬 다음, 이에 콘크리트로써 각 층을 구획하여 시공하고 실내를 장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실내장식은 건물의 용도에 따라 다소의 차이를 가지고 시공하게 되는 것으로, 예컨대 아파트 및 회사 등의 공간에서는 편안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실내장식을 하게 되고, 그 밖의 공공장소 등에는 클래식한 분위기에 적정한 실내장식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실내장식은 통상적으로 공간의 분위기 연출에는 적절하나, 실내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에 대한 흡음 및 차음이 적절하게 이루어지 못하게 되어 다른 거주공간, 예컨대 아파트 및 건물 층간 및 옆집이나 사물실 등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그 대로 전달됨으로써 피해를 입히게 되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비싼 목재나 기타 재료등을 사용하여 실내의 진동 및 소음에 대한 흡음 및 차음을 방지하게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영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건물 실내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에 대한 완벽한 흡음 및 차음을 하게 되는 실내 장식부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과제는 직육면체를 유지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전면판; 상기 전면판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를 밀폐시키는 후면판; 및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 사이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를 구획하고, 상기 전면판으로 개구되게 흡읍공이 형성된 다수의 흡음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내 장식부재가 설치된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 장식부재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 A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 B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내 장식부재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내 장식부재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실내 장식부재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장식부재 11 : 방화재
20,30 : 전,후면판 21 : 공간부
31 : 유입공 32 : 차단부재
40 : 흡음판 41 : 흡음공
60 : 패킹부재 61 : 끼움홈
70 : 흡음부재 71 : 마감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한 일시예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내 장식부재가 설치된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내 장식부재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 A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 B선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실내 장식부재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실내 장식부재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 실내 장식부재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식부재(10)는 실내의 천정(1)이나 벽체의 외주면에 시공되어 실내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흡음 및 차음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강도가 강한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장식미를 부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칼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장식부재(10)는 적정 두께를 갖는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21)가 형성된 전면판(20)과, 상기 전면판(20)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1)를 밀폐시키는 후면판(30)과, 상기 전면판(20)과 상기 후면판(30) 사이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21)를 구획하고, 상기 전면판(20)으로 개구되게 흡읍공(41)이 형성된 다수의 흡음판(4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흡음판(40)은 공간부(21)를 구획하고, 전면판(20)으로 개구되게 원형의 흡음공(41)이 형성되어 실내의 소음 및 진동이 유입됨으로써 흡음 및 차음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판(30)에는 다수의 유입공(31)이 관통되어 공간부(21) 내부에는 모래 및 물 등의 방화재(11)가 내장되어 화재시 내력벽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다수의 유입공(31)에는 차단부재(32)가 각각 밀폐 삽입되어 방화재(12)를 보관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부재(10)의 후면판(30) 외주면에 고무재질의 패킹부재(60)가 삽입되어 장식부재(10) 간의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패킹부재(60)는 장식부재(10)의 후면판(30) 외주면이 삽입되도록 끼움홈(61)이 연장 형성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바닥(2)에 설치되어 건물 층간의 흡음 및 차음과 방수효과를 갖게 된다. 즉, 건물 바닥(2)에 장식부재(10)를 안착시킨 다음, 장식부재(10)의 흡음판(40)에 형성된 다수의 흠음공(41)과, 장식부재(10) 의 후면판(3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73)에 스폰지 및 종이, 스티로폼 등의 흡음재(70)를 삽입시키고, 마감부재(71)로써 마무리한 다음, 얇게 콘크리트를 시공하게 되면, 흡음재(70)에 의하여 층간 소음 및 진동의 흠음 및 차음을 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장식부재(10)의 재질의 특성, 즉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층간의 방수 효과를 얻게 된다.
이상에서는 하나의 장식부재(10)에 대하여서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장식부재(10)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그 개수를 적절하게 조절하게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건물의 시공후 천정 및 벽면(1)의 내측면에 다수개의 직육면체 형상을 유지하여 형성된 장식부재(10)의 후면판(30)을 순차적으로 밀착시켜 부착시키게 된다. 그러면, 천정 및 벽면(1)에 장식부재(10)의 후면판(30)이 순차적으로 부착되어 장식이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실내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의 파장이 장식부재(10)의 전면판(20)과 후면판(30) 사이에 구획 형성된 흡음판(40)의 흡음공(41) 내부로 유입되어 흡음공(40) 내부에서 흡음 및 차음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장식부재(10)의 전면판(20)에 형성된 공간부(21) 내부에 모래 및 물 등의 방화재(11)가 후면판(30)의 유입공(31)을 통하여 유입되고 차단부재(32)로써 밀폐됨으로써 화재시에 내력벽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장식부재(10)의 후면판(30) 외주면에 끼움홈(61)으로써 패킹부재(60)가 삽입되어 장식부재(10) 간의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건물의 바닥(2)에 설치되어 건물 층간의 흡음 및 차음과 방수효과를 갖게 된다. 즉, 건물 바닥(2)에 장식부재(10)를 안착시킨 다음, 장식부재(10)의 흡음판(40)에 형성된 다수의 흠음공(41)과, 장식부재(10) 의 후면판(3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73)에 스폰지 및 종이, 스티로폼 등의 흡음재(70)를 삽입시키고, 마감부재(71)로써 마무리한 다음, 얇게 콘크리트를 시공하게 되면, 흡음재(70)에 의하여 층간 소음 및 진동의 흠음 및 차음을 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장식부재(10)의 재질의 특성, 즉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층간의 방수 효과를 얻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소음 및 차음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장식부재에 의하여 실내장식을 함과 동시에 실내의 완벽한 흡음 및 차음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또한 방화재 및 흡음재가 내장되어 화재시에 견딜 수 있는 방화벽과 보온 및 진동에 대한 차단이 가능하고, 또한 장식부재를 건축물 층간에 사용하여 시공하게 됨으로써 건축물 층간의 흡음 및 차음과 방수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4)

  1. 직육면체를 유지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21)가 형성된 전면판(20);
    상기 전면판(20)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1)를 밀폐시키는 후면판(30); 및
    상기 전면판(20)과 상기 후면판(30) 사이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21)를 구획하고, 상기 전면판(20)으로 개구되게 흡읍공(41)이 형성된 다수의 흡음판(4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30)은
    다수의 유입공(31)이 관통되어 상기 공간부(21)에 방화재(11)가 내장되고,
    상기 유입공(31)에는 차단부재(32)가 밀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30) 외주면에는 끼움홈(61)이 형성된 패킹부재(60)가 삽입되어 상기 장식부재(10) 간의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판(40)의 흠음공(41)에 스폰지 및 종이 등의 흡음재(70)를 삽입시키고,
    상기 흡음재(70)를 마감부재(71)로써 마감시켜 콘트리트 시공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부재.
KR2020000028177U 2000-10-10 2000-10-10 실내 장식부재 KR2002197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177U KR200219700Y1 (ko) 2000-10-10 2000-10-10 실내 장식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177U KR200219700Y1 (ko) 2000-10-10 2000-10-10 실내 장식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700Y1 true KR200219700Y1 (ko) 2001-04-02

Family

ID=7308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177U KR200219700Y1 (ko) 2000-10-10 2000-10-10 실내 장식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7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717A (ko) * 2001-04-30 2001-07-25 박선민 진공패널 구조물, 그 조립방법 및 진공패널의 제작방법
US9764869B2 (en) 2011-04-26 2017-09-19 Kyul-Joo Lee Vacuum packaging device having a moisture-sensing capabil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717A (ko) * 2001-04-30 2001-07-25 박선민 진공패널 구조물, 그 조립방법 및 진공패널의 제작방법
US9764869B2 (en) 2011-04-26 2017-09-19 Kyul-Joo Lee Vacuum packaging device having a moisture-sensing capab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3002A (en) Acoustical room paneling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20190035376A1 (en) Enhanced inflatable sound attenuation system
KR100918304B1 (ko) 목재 방화도어
KR100718701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KR200219700Y1 (ko) 실내 장식부재
KR100762925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재
KR101081867B1 (ko) 방화문
KR200431159Y1 (ko) 건축내장용 방음패널
KR100650205B1 (ko) 방음벽 및 그를 사용한 방음 부스
KR20100046842A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CN206957112U (zh) 一种隔音保温装饰板
KR200421085Y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재
JPH0740002Y2 (ja) レゾネータ型防音パネル
KR101810914B1 (ko)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
JP2005120799A (ja) 木造建築物の壁断熱構造
KR20100047106A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0136830B1 (ko) 건축물바닥의방진패드
KR20130061340A (ko) 기밀성이 보강된 벽체
CN211257377U (zh) 一种组合式吸音板
KR200259046Y1 (ko) 마루바닥 방음구조
JPH0249352Y2 (ko)
KR200409721Y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KR200422622Y1 (ko) 목모를 이용한 칸막이 패널
KR200351214Y1 (ko) 건축 내장재
KR200304188Y1 (ko) 슬림형 고성능 경량 방음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