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620Y1 -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620Y1
KR200219620Y1 KR2019990003120U KR19990003120U KR200219620Y1 KR 200219620 Y1 KR200219620 Y1 KR 200219620Y1 KR 2019990003120 U KR2019990003120 U KR 2019990003120U KR 19990003120 U KR19990003120 U KR 19990003120U KR 200219620 Y1 KR200219620 Y1 KR 200219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gear
fishing line
prevention device
backl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1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581U (ko
Inventor
최경환
서신규
Original Assignee
정종오
주식회사반도레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오, 주식회사반도레포츠 filed Critical 정종오
Priority to KR2019990003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620Y1/ko
Publication of KR200000175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5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62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스풀의 측면과의 마찰 접촉에 의해 스풀의 백 래쉬를 방지하기 위한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는 손잡이를 회전함에 따라 본체 내에서 회전하며 자체의 외주상에 낚시줄이 감기게 되는 스풀을 갖는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에 있어서, 자체의 대체로 중간 부분은 상기 본체에 고정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스풀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고 자체의 대체로 전방에는 상기 스풀로부터 낚시줄이 풀려나갈 때 상기 낚시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봉이 설치되어 있으며 자체의 후방에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밀대가 구비되어 있는 링크 부재, 상기 지지봉이 상기 낚시줄을 상부로 지지하도록 상기 링크 부재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스프링, 상기 지지봉이 상기 낚시줄에 의해 장력을 가하지 않을 때 상기 밀대에 의해 회동하도록 위치된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에 치합되어 회동되며 중심축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중심축에 설치되어 있으며 수 개의 돌출된 보스를 갖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가 회동될 때, 상기 보스와 접촉되어 상기 제2 기어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중심축에 설치되어 있는 캠, 및 상기 제2 기어가 축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스풀의 측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중심축 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REMOVING DEVICE BACK LASH OF BAIT CAST REEL}
본 고안은 양 베어링 릴(bait cast reel)의 백 래쉬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스풀의 측면과의 마찰 접촉에 의해 스풀의 백 래쉬를 방지하기 위한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 베어링 릴을 사용하여 낚시줄을 던질 경우에는 초기에는 스풀에 감겨진 낚시줄이 정상적으로 풀려나가게 된다. 그 후 낚시줄이 대체로 포물선 형상을 그리면서 물을 향해 떨어지게 되면 가속도에 의해 스풀의 회전 속도가 낚시줄이 인출되는 속도보다 빨라지게 되는 현상이 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백 래쉬(back lash)'로 칭해지며 이 경우 낚시줄이 엉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자성체가 이용되고 있다. 즉, 릴의 측판에 구비된 핸들의 회전으로 스풀(spool)이 회전되도록 되어있는 양 베어링 릴에서, 낚시줄을 던질 경우 스풀에 감겨져 있는 낚시줄이 풀려져 나감에 따라 비자성체인 스풀이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스풀의 양측면에 형성된 환형체에 대향되게 설치된 자성체가 스풀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자성체와 환형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환형체에 발생되는 와전류를 제어하여 스풀의 제동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백 래쉬 방지 장치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줄이 감기는 스풀(1)과, 스풀(1)이 스풀축(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본체(3)와 본체(3)의 일측면에 소정의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스풀(1)의 환형체(1a)에 형성되는 자력에 의해 스풀(1)의 회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자성체(5)가 장착되어 있는 덮개가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는 조절 다이얼(도시되지 않음)의 회전에 따라 자성체(5)가 스풀축(2)으로 수평이동하여 환형체(1a)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됨에 따라, 자성체(5)에서 발생되는 자력선에 의해 환형체(1a)에 발생되는 와전류를 조절하는 경우 스풀(1)에 제동력이 발생되어 스풀(1)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자성체(5)가 스풀(1)의 환형체(1a) 측으로 수평이동하게 됨에 따라 자성체(5)의 고정이 불안정하여 자성체(5)가 좌우로 요동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자성체(5)에서 발생되는 자력선이 불균일하여 환형체(1a)에 발생되는 와전류가 불안정하게 됨으로써 스풀(1)의 제동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전술한 자성체(5)와 환형체(1a)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큰 제동력이 발생되어 낚시줄을 던질 때 낚시줄이 스풀(1)로부터 풀려나가기가 어렵게 되고, 자성체(5)와 환형체(1a)의 거리가 멀수록 적은 제동력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낚시줄을 던질 때 낚시줄을 던지는 힘에 따라 매번 사전에 자성체(5)와 환형체(1a)의 거리를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백 래쉬 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조작이 간편한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스풀
12: 링크 부재 13: 낚시줄
14: 지지봉 15: 회동축
16: 제1 스프링 17: 밀대
18: 제2 스프링 20: 제1 기어
22: 제2 기어 24: 중심축
26: 캠 다이얼 28: 캠
30: 보스 32: 제동 부재
34: 제3 스프링 36: 마찰판
40: 프레임 42: 탄성 부재
44: 가이드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는 손잡이를 회전함에 따라 본체 내에서 회전하며 자체의 외주상에 낚시줄이 감기게 되는 스풀을 갖는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에 있어서, 자체의 대체로 중간 부분은 상기 본체에 고정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스풀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고 자체의 대체로 전방에는 상기 스풀로부터 낚시줄이 풀려나갈 때 상기 낚시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봉이 설치되어 있으며 자체의 후방에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밀대가 구비되어 있는 링크 부재, 상기 지지봉이 상기 낚시줄을 상부로 지지하도록 상기 링크 부재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스프링, 상기 지지봉이 상기 낚시줄에 의해 장력을 가하지 않을 때 상기 밀대에 의해 회동하도록 위치된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에 치합되어 회동되며 중심축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중심축에 설치되어 있으며 수 개의 돌출된 보스를 갖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가 회동될 때, 상기 보스와 접촉되어 상기 제2 기어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중심축에 설치되어 있는 캠, 및 상기 제2 기어가 축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스풀의 측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중심축 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의 다른 특징은 상기 제2 기어가 본래의 위치로 복귀될 때 상기 제동 부재를 상기 스풀과의 접촉상태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설치된 제3 스프링을 또한 포함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손잡이를 회전함에 따라 본체 내에서 회전하며 자체의 외주상에 낚시줄이 감기게 되는 스풀을 갖는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풀 전방의 위치에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 상기 낚시줄을 하측 방향으로 누르도록 이동가능하게 위치되어 있는 가이드봉, 및 상기 가이드봉을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압하여 상기 가이드봉의 양단이 상기 스풀의 주연부를 제동하도록 상기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특징들은 도2 내지 도4를 참조로 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잘 이해될 수 있다.
도2 및 도3은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를 나타낸다. 스풀(11)의 상부에는 링크 부재(12)가 위치되어 있다. 링크 부재(12)의 대체로 중간 부분은 회동축(15)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링크 부재(12)의 전방에는 지지봉(14)이 낚시줄(13)을 지지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링크 부재(12)의 후방에는 밀대(17)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링크 부재(12)의 일측에는 또한, 상기 지지봉(14)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도록 제1 스프링(16)이 설치되어 있다. 밀대(17) 부근에는 링크 부재(12)의 회동에 따라 상기 밀대(17)에 접촉되어 회동하는 제1 기어(20)가 위치되어 있다. 제1 기어(20)의 일측에는 제2 스프링(18)이 연결되어 있다. 제1 기어(20)에는 중심축(24)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기어(22)가 치합되어 있다. 제2 기어(22)의 원주 상에는 수 개의 보스(3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중심축(24) 상에는 또한, 상기 제2 기어가 회동될 때, 상기 보스(30)를 밀어 상기 제2 기어(22)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캠(28)이 제공되어 있다. 중심축(24)에는 또한 제동 부제(32)가 상기 제2 기어(22)에 인접되어 있다. 상기 제동 부재(32)는 스풀(11)의 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스풀(11)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중심축(24) 상에 설치되어 있다. 스풀(11)의 측면에는 마찰판(36)이 제공될 수 있다.
낚시줄(13)이 풀리는 초기에는 지지봉(14)에 낚시줄(13)의 장력이 걸리게되어 링크 부재(12)는 도2의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있게 된다. 낚시줄(13)이 풀리는 말기 상태에서는 낚시줄의 인출 속도에 가속도가 붙게 되므로 낚시줄(13)의 장력이 지지봉(14)에 걸리지 않게 된다. 이 경우 링크 부재(12)는 도2의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있게된다. 따라서, 제1 기어(20)가 밀대(17)에 의해 밀리면서 회동하고 동시에 제2 기어(22)가 회동된다. 제2 기어(22)가 회동되면 보스(30)는 캠(28)에 접촉되고 이에 따라, 제2 기어(22)가 중심축(24) 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동 부재(32)를 스풀(11)에, 적합하게는 마찰판(36)에 접촉시킨다. 이에 따라 스풀(11)의 회전이 제동되게 되므로 스풀(11)의 회전 속도가 낚시줄(13)의 인출 속도보다 빠르게 되는 백 래쉬가 방지되게 된다. 제2 기어(22)가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면 제동 부재(32)는 제3 스프링(34)에 의해 상기 스풀(11)과의 접촉상태로부터 분리된다.
도4에는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스풀(11) 전방의 위치에는 프레임(40)이 본체(1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40) 내에는 가이드봉(44)이 낚시줄(13)을 하측 방향으로 누르도록 이동가능하게 위치되어 있다. 가이드봉(44)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봉(44)을 상기 프레임(40) 내에서 상기 프레임(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압하도록 탄성 부재(42)가 위치되어 있다. 가이드봉(44)의 하측 양단, 즉 스풀(11)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적합한 재질의 패드(도시되지 않음)가 부착될 수 있다.
낚시줄(13)이 풀리는 초기에는 낚시줄(13)의 장력이 가이드봉(44)에 가해지므로 가이드봉(44)은 스풀(11)의 외주면과의 접촉 상태로부터 분리된다(실선으로 표시됨). 낚시줄(13)이 풀리는 말기 상태에서는 낚시줄(13)의 인출 속도에 가속도가 붙게 되므로 낚시줄(13)의 장력이 지지봉(14)에 걸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봉(44)의 양단은 탄성 부재(42)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어 스풀(11)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스풀(11)의 회전을 제동하게 되므로 스풀(11)의 회전 속도가 낚시줄(13)의 인출 속도보다 빠르게 되는 백 래쉬가 방지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는 낚시줄을 던진 후에 스풀의 회전 속도가 낚시줄의 인출 속도보다 빨라지는 것을 즉시 감지하여, 즉 낚시줄에 장력이 걸리지 않는 경우에 즉시 스풀의 측면을 제동함으로써 확실하게 백 래쉬 현상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낚시줄을 던질 때마다 매번 스풀의 제동력을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제거된다.

Claims (3)

  1. 손잡이를 회전함에 따라 본체 내에서 회전하며 자체의 외주상에 낚시줄이 감기게 되는 스풀을 갖는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에 있어서,
    자체의 대체로 중간 부분은 상기 본체에 고정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스풀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고 자체의 대체로 전방에는 상기 스풀로부터 낚시줄이 풀려나갈 때 상기 낚시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봉이 설치되어 있으며 자체의 후방에는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밀대가 구비되어 있는 링크 부재,
    상기 지지봉이 상기 낚시줄을 상부로 지지하도록 상기 링크 부재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스프링,
    상기 지지봉이 상기 낚시줄에 의해 장력을 가하지 않을 때 상기 밀대에 의해 회동하도록 위치된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에 치합되어 회동되며 중심축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중심축에 설치되어 있으며 수 개의 돌출된 보스를 갖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가 회동될 때, 상기 보스와 접촉되어 상기 제2 기어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중심축에 설치되어 있는 캠, 및
    상기 제2 기어가 축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스풀의 측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중심축 상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가 본래의 위치로 복귀될 때 상기 제동 부재를 상기 스풀과의 접촉상태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설치된 제3 스프링을 또한 포함하는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
  3. 손잡이를 회전함에 따라 본체 내에서 회전하며 자체의 외주상에 낚시줄이 감기게 되는 스풀을 갖는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풀 전방의 위치에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 상기 낚시줄을 하측 방향으로 누르도록 이동가능하게 위치되어 있는 가이드봉, 및
    상기 가이드봉을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압하여 상기 가이드봉의 양단이 상기 스풀의 주연부를 제동하도록 상기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
KR2019990003120U 1999-02-27 1999-02-27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 KR2002196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120U KR200219620Y1 (ko) 1999-02-27 1999-02-27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120U KR200219620Y1 (ko) 1999-02-27 1999-02-27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581U KR20000017581U (ko) 2000-09-25
KR200219620Y1 true KR200219620Y1 (ko) 2001-04-02

Family

ID=54759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120U KR200219620Y1 (ko) 1999-02-27 1999-02-27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6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581U (ko) 200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29517B2 (ja) 魚釣用リールのバックラッシュ防止装置
KR102488899B1 (ko) 스풀 제동 장치 및 낚시용 릴
KR100371633B1 (ko) 양베어링릴의제동장치
JP2009124941A (ja) 魚釣用リール
US5996921A (en) Centrifugal braking apparatus for baitcasting reel
JP2536459Y2 (ja) 釣り用リール
JPH09275861A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KR200219620Y1 (ko) 양 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
US4572454A (en) Fishing reel
US4586674A (en) Fishing reel
JPH10304799A (ja) 両軸受け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US4101087A (en) Braking device in a non-rotary type fishing reel
CN111480626B (zh) 双轴承型卷线器
KR200219622Y1 (ko) 양베어링 릴의 백 래쉬 방지 장치
US20210219529A1 (en) Magnetic Braking System
KR100227147B1 (ko) 양베어링 릴의 백래쉬 방지장치
JPH0127697B2 (ko)
KR200263651Y1 (ko) 양베어링 릴의 백래쉬 방지장치
JP3610276B2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H11299402A (ja) 両軸受け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KR100330835B1 (ko) 낚시용 베이트케스트 릴의 스풀회전 제어장치
US4093144A (en) Fishing reel brake
JP2008178310A (ja) 魚釣用リール
KR100330836B1 (ko) 낚시용 스피닝 릴의 역회전 제어구조
JPS622446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