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314Y1 - 유아용 학습교재 - Google Patents

유아용 학습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314Y1
KR200219314Y1 KR2020000032145U KR20000032145U KR200219314Y1 KR 200219314 Y1 KR200219314 Y1 KR 200219314Y1 KR 2020000032145 U KR2020000032145 U KR 2020000032145U KR 20000032145 U KR20000032145 U KR 20000032145U KR 200219314 Y1 KR200219314 Y1 KR 2002193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card
picture
learning
printed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옥
황인철
Original Assignee
이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옥 filed Critical 이현옥
Priority to KR2020000032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3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3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314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학습교재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크기의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상면에 학습카드(5)의 투입을 위해 형성되는 투입구(2)와;
상기 케이스(1)의 하단에 학습카드(5)의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배출구(3)와;
투입구(2)와 배출구(3) 사이에 곡면형성되어 투입구(2)로 투입된 학습카드(5)가 뒤집어지면서 배출구(3)로 배출되도록 하는 가이더(4)와;
소정의 그림이 인쇄되는 그림면(6)과 상기 그림면(6)에 인쇄된 그림의 명칭이 기재되는 문자면(7)으로 구성되는 학습카드(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유아에게 글을 가르칠때 학습카드의 그림을 보여주면서 장치에 삽입하면 학습카드의 배면에 형성되어있는 명칭이 장치를 통해 배출되어 유아가 그림과 명칭을 대비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학습교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학습교재{Studying materials for a little child}
본 고안은 유아용 학습교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면에는 특정그림이 인쇄되고, 그 배면에는 그림에 대한 명칭이 기재되는 학습카드를 구성하고, 이 학습카드의 일면을 위로하여 투입하였을때 그 배면이 위로 나오도록 안내 배출하는 별도의 장치를 구성하므로서, 유아에게 글을 가르칠때 학습카드의 그림을 보여주면서 장치에 삽입하면 학습카드의 배면에 형성되어있는 명칭이 장치를 통해 배출되어 유아가 그림과 명칭을 대비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학습교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유아에게 글을 가르치기위한 여러가지 교재가 제공되고 있다.
대부분의 학습교재는 학습카드에 동물이나 꽃의 그림을 인쇄하고, 그 일면에 동물이나 꽃의 명칭을 글로 인쇄하여 유아가 글과 그림을 한번에 보면서 그림에 대응하는 동물이나 꽃의 명칭을 글로서 학습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 제공되고있는 대부분의 학습교재는 단순히 학습카드를 유아가 보면서 학습하는 것이기 때문에 흥미유발에 실패하여 유아가 쉽게 싫증을 느끼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면에는 특정그림이 인쇄되고, 그 배면에는 그림에 대한 명칭이 기재되는 학습카드를 구성하고, 이 학습카드의 일면을 위로하여 투입하였을 때 그 배면이 위로 나오도록 안내 배출하는 별도의 장치를 구성하므로서, 유아에게 글을 가르칠때 학습카드의 그림을 보여주면서 장치에 삽입하면 학습카드의 배면에 형성되어있는 명칭이 장치를 통해 배출되어 유아가 그림과 명칭을 대비하여 학습할 수 있으며, 학습카드를 넣고 빼내는 과정에서 유아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학습교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일정크기의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상면에 학습카드(5)의 투입을 위해 형성되는 투입구(2)와;
상기 케이스(1)의 하단에 학습카드(5)의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배출구(3)와;
투입구(2)와 배출구(3) 사이에 곡면형성되어 투입구(2)로 투입된 학습카드(5)가 뒤집어지면서 배출구(3)로 배출되도록 하는 가이더(4)와;
소정의 그림이 인쇄되는 그림면(6)과 상기 그림면(6)에 인쇄된 그림의 명칭이 기재되는 문자면(7)으로 구성되는 학습카드(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학습카드(5)의 그림면(6)에 소정의 바코드를 인쇄하고, 투입구(2)의 상면에는 투입구(2)로 투입되는 학습카드(5)의 바코드를 판독하여 그 바코드가 지칭하는 명칭을 인식하는 판독기(8)를 설치하며, 케이스(1)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판독기(8)로부터 출력되는 명칭에 대한 신호를 음성 합성하여 스피커(10)를 통해 출력하는 음합성모듈(9)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유아용 학습교재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스, 2: 투입구,
3: 배출구, 4: 가이더,
5: 학습카드, 6: 그림면,
7: 문자면, 8: 판독기,
9: 음합성모듈, 10: 스피커,
11: 통공,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도면부호 1 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를 나타낸다.
이 케이스(1)의 전면 상단에는 학습카드(5)를 투입하기위한 투입구(2)가 형성되어있고, 케이스(1)의 전면 하단에는 학습카드(5)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입구(2)와 배출구(3)의 사이에는 투입구(2)로 투입되는 학습카드(5)가 뒤집어지면서 배출구(3)로 배출되도록 하는 가이더(4)가 곡면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5 는 상기 투입구(2)로 투입되는 학습카드를 나타낸다.
이 학습카드(5)는 동물이나 꽃과같은 소정의 그림이 그려지는 그림면(6)과 상기 그림면(6)에 그려지는 그림을 지칭하는 명칭이 인쇄되는 문자면(7)으로 구성된다.
상기 그림면(6)과 문자면(7)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림면(6)을 뒤집으면 그 그림에 대한 명칭이 정상적으로 보이도록 문자면(7)에 명칭이 인쇄된다.
도 2 에는 그림면(6)이 곰그림이 그려져있고, 이와대향되는 문자면(7)에는 그림면(6)에 나타난 그림을 지칭하는 '곰'이라는 문자가 인쇄되어 있다.
따라서, 도 2 와같이 학습카드(5)의 그림면(6)이 위쪽을 향하도록 하여 투입구(2)에 투입하면, 이 학습카드(5)가 가이더(4)에 의해 안내되어 떨어지면서 자연스럽게 뒤집어져 배출구(3)를 통해 배출되므로 유아가 배출구로 배출되는 학습카드(5)에 인쇄되어있는 '곰'이란 문자를 볼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학습카드(5)의 그림면(6)에는 소정의 바코드가 인쇄되고, 상기 투입구(2)의 상면에는 상기 그림면(6)에 인쇄되어있는 바코드를 판독하여 바코드가 지칭하는 명칭을 인식 판독하는 판독기(8)가 설치된다.
상기 판독기(8)에는 여러장의 그림면(6)에 인쇄되는 바코드에 대응하는 명칭을 자체 저장하고 있으며, 투입구(2)를 통해 투입되는 학습카드(5)의 바코드를 판독하여 그 바코드가 지칭하는 명칭을 인식하게되는 것이다.
상기 판독기(8)는 판독된 명칭을 음합성모듈(9)로 출력한다.
상기 음합성모듈(9)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스(1)의 전면 중앙부분에 설치된다.
이 음합성모듈(9)은 판독기(8)로부터 공급되는 명칭데이타를 원래의 음성으로 합성하여 스피커(10)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판독기(8)로부터 '곰'이라는 데이타가 입력되면, 음합성모듈(9)은 입력되는 데이타에 대한 원음을 합성하여 곰이라는 음성신호를 발생시켜 스피커(10)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스피커(10)는 음합성모듈(9)에 연결된 상태로 케이스(1)의 전면에 설치되며, 이 케이스(1)에서 출력되는 음성의 출력이 용이해지도록 케이스(1)의 전면 중앙에는 다수의 통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유아에게 학습카드(5)의 그림면(6)에 인쇄되어있는 그림을 유아에게 보여준 후 그 학습카드(5)의 그림면(6)이 위쪽을 향하도록 하여 투입구(2)에 투입하면, 투입된 학습카드(5)가 가이더(4)를 따라 하강하면서 자연스럽게 뒤집어져 배출구(3)로 배출된다.
배출구(3)로 배출될때에는 학습카드(5)의 문자면(7)이 위쪽을 향하게되므로 유아는 배출구(3)로 배출되는 학습카드(5)의 문자를 보면서 그림면(6)에 인쇄된 그림과 문자면(7)에 인쇄된 글씨를 연계하여 인식하면서 글자공부를 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학습카드(5)의 그림면(6)이 위쪽을 향하도록 하여 투입구(2)에 투입하면, 투입구(2)의 상면에 형성되어있는 판독기(8)가 그림면(6)에 인쇄되어있는 바코드를 판독하여 현재투입되는 학습카드(5)의 문자면(7)이 인쇄되어있는 문자를 인식하여 음합성모듈(9)로 출력하고, 음합성모듈(9)은 판독기(8)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음을 합성하여 스피커(10)를 통해 출력하므로서,유아는 문자면(7)에 인쇄된 문자에 대한 발음상태를 스피커(10)를 통해 들을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유아는 자신이 직접 학습카드(5)를 투입구에 넣어가면서 그림면(6)과 문자면(7)에 인쇄되어있는 그림과 문자를 보면서 글자공부를 할 수 있으며, 또 투입구(2)로 투입되는 학습카드(5)에 인쇄되어있는 바코드에 따라 스피커(10)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으로서 문자에 대한 발음상태를 인식할 수 있게되므로 문자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일면에는 특정그림이 인쇄되고, 그 배면에는 그림에 대한 명칭이 기재되는 학습카드를 구성하고, 이 학습카드의 일면을 위로하여 투입하였을때 그 배면이 위로 나오도록 안내 배출하는 별도의 장치를 구성하므로서, 유아에게 글을 가르칠때 학습카드의 그림을 보여주면서 장치에 삽입하면 학습카드의 배면에 형성되어있는 명칭이 장치를 통해 배출되어 유아가 그림과 명칭을 대비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학습교재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일정크기의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상면에 학습카드(5)의 투입을 위해 형성되는 투입구(2)와;
    상기 케이스(1)의 하단에 학습카드(5)의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배출구(3)와;
    투입구(2)와 배출구(3) 사이에 곡면형성되어 투입구(2)로 투입된 학습카드(5)가 뒤집어지면서 배출구(3)로 배출되도록 하는 가이더(4)와;
    소정의 그림이 인쇄되는 그림면(6)과 상기 그림면(6)에 인쇄된 그림의 명칭이 기재되는 문자면(7)으로 구성되는 학습카드(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학습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카드(5)의 그림면(6)에 소정의 바코드를 인쇄하고, 투입구(2)의 상면에는 투입구(2)로 투입되는 학습카드(5)의 바코드를 판독하여 그 바코드가 지칭하는 명칭을 인식하는 판독기(8)를 설치하며, 케이스(1)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판독기(8)로부터 출력되는 명칭에 대한 신호를 음성 합성하여 스피커(10)를 통해 출력하는 음합성모듈(9)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학습교재.
KR2020000032145U 2000-11-16 2000-11-16 유아용 학습교재 KR2002193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145U KR200219314Y1 (ko) 2000-11-16 2000-11-16 유아용 학습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145U KR200219314Y1 (ko) 2000-11-16 2000-11-16 유아용 학습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314Y1 true KR200219314Y1 (ko) 2001-04-02

Family

ID=73060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145U KR200219314Y1 (ko) 2000-11-16 2000-11-16 유아용 학습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3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001B1 (ko) * 2002-01-14 200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학습기능을 갖는 복합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학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001B1 (ko) * 2002-01-14 200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학습기능을 갖는 복합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학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3861A (en) Talking phonics interactive learning device
US5511980A (en) Talking phonics interactive learning device
JP2009064019A (ja) 一種の学習装置とその方法
US20030108854A1 (en) Book that can read languages and sentences
JP2002215012A (ja) 学習支援システム
JP2008139826A (ja) 対話型学習ツール
Borges et al. A universal history of iniquity
KR100767715B1 (ko) 영어단어 학습용 카드
KR200219314Y1 (ko) 유아용 학습교재
KR200178559Y1 (ko) 음성이 함께 발생되는 글자의 생성과 쓰기 장치
US6409510B1 (en) Method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US20150356882A1 (en) Learning system using nfc chart
EP2988267A1 (en) Learning device using nfc and learning system using same
KR102488893B1 (ko)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
KR950010288Y1 (ko) 블럭/도서의 음향 학습구
KR200279383Y1 (ko) 바코드를 이용한 어학교재용 시스템
KR200318057Y1 (ko) 캐릭터케이스를 갖는 문자조합식 교습구
KR100309268B1 (ko) 어린이용 음성 교습구
KR200238991Y1 (ko) 유아용 인지·언어 학습놀이기구
KR200184044Y1 (ko) 어린이 지능 계발용 전자 학습기
KR200229985Y1 (ko) 음성 발생 장치
KR20020066867A (ko) 음성 발생 장치
KR200328263Y1 (ko) 부호인식시스템을 이용한 인쇄물 정보의 멀티미디어구현장치
CN2519354Y (zh) 有声识字卡片
KR200294676Y1 (ko) 램프를 이용한 학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