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826Y1 -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 - Google Patents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826Y1
KR200218826Y1 KR2020000028046U KR20000028046U KR200218826Y1 KR 200218826 Y1 KR200218826 Y1 KR 200218826Y1 KR 2020000028046 U KR2020000028046 U KR 2020000028046U KR 20000028046 U KR20000028046 U KR 20000028046U KR 200218826 Y1 KR200218826 Y1 KR 2002188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ypsum board
paper
flame
interior
reta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균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서한메라민
이균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서한메라민, 이균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서한메라민
Priority to KR2020000028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8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8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826Y1/ko

Link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에 관한 것으로, 바닥재 타일을 비롯하여 각종 인테리어 소재의 난연성을 개선하여 화재시 불에 잘 타지 않으면서도 그 미려함을 충분히 살릴 수 있도록 한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와 통상의 마감처리재로 구성되는 인테리어 석고보드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 석고보드(10)를 사용하고, 상기 석고보드(10) 상부에 크라프트지(20)가 형성되고, 상기 석고보드(10) 하부에는 통상의 마감처리재(40)가 형성되고, 상기 크라프트지(20) 윗면으로 수지함침지(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를 제공함으로서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The incombustible interior plaster board}
본 고안은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바닥재 타일을 비롯한 각종 인테리어 소재의 난연성을 개선하여 화재시 불에 잘 타지 않으면서도 미려함을 충분히 살릴 수 있도록 한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부터 각종 인테리어 소재인 화장판은 테이블, 카운터, 가구, 씽크대 및 음향기기 케이스 등의 다양한 목재 집기에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근래에는 인테리어 소재 각각의 제품 특성에 알맞게 다양한 변형을 주어 제조된 화장판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인테리어 소재로 사용되는 화장판은 일반적으로 중밀도섬유판이나 목판을 한장 이상 적층하고, 그 상단 및 하단의 표면에 모양지나 크라프트지 또는 무늬목과 같은 마감처리재를 적층하여 형성된 것으로 그 일반적인 구조를 도1에 도시하였다.
도1은 종래 일반적인 화장판의 단면도로서, 상기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밀도섬유판 또는 목판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판 본체(110)와 상기 화장판 본체(110) 상단 및 하단에 마감재(120,12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화장판은 통상적으로 무늬목이나 모양지 또는 크라프트지를 수지함침액에 함침시켜 건조함으로서 마감재(120,120')를 제조하고 상기 마감재(120,120')를 본체(110)의 상단과 하단에 부착하여 일정한 온도 및 압력하에서 열가압성형하여 제조해 왔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인테리어소재용 화장판의 경우 무늬목이나 모양지로 인해 화려한 외관을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그 주재료가 목재로 되어 있으므로 난연성이 낮아 화재시 불에 쉽게 타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재 타일을 비롯하여 각종 인테리어 소재의 난연성을 개선하여 화재시 불에 잘 타지 않으면서도 그 미려함을 충분히 살릴 수 있도록 한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화장판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석고보드 20 : 크라프트지 30 : 수지함침지
40 : 마감처리재 50 : 접착제층 60 : 모양지층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와 통상의 마감처리재로 구성되는 인테리어 석고보드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 석고보드를 사용하고, 상기 석고보드 상부에 크라프트지가 형성되고, 상기 석고보드 하부에는 통상의 마감처리재가 형성되고, 상기 크라프트지 윗면으로 수지함침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를 제공함으로서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의 사시도로, 상기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는 본체로 석고보드(10)가 형성되고, 상기 석고보드(10) 상부에 크라프트지(20)가 형성되고, 상기 석고보드(10) 하부에는 통상의 마감처리재(40)가 형성되고, 상기 크라프트(20)지 윗면으로 수지함침지(3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의 형성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고안은 먼저 본체로 석고보드(10)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석고보드(10)는 종래 목재 재질의 화장판에 비하여 그 난연성을 개선시킬 목적으로 사용하게 되며, 상기 석고보드(10) 하단에는 통상의 마감처리재(40)가 형성되며, 상기 석고보드(10) 상부에는 크라프트지(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석고보드(10) 하단에 형성된 마감처리재(4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무늬목이나 모양지 또는 크라프트지 등과 같은 마감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본 고안에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마감재 중의 하나인 크라프트지를 사용하여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석고보드(10) 상단에 형성된 크라프트지(20)는 그 상면으로 형성되는 수지함침지(30)가 보다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기 수지함침지(30) 형성으로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의 미려함을 살릴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이때 상기 수지함침지(30)는 모양지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함침액에 함침시켜 수지의 함침량이 50% 내지 60%가 되도록 한 다음 건조하여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함침지(30)로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멜라민수지 함침액, 페놀수지 함침액, 에폭시수지 함침액 또는 폴리에스테르수지 함침액에 모양지를 함침시켜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멜라민 함침액에 모양지를 함침시켜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멜라민 함침지로 본 고안자에 의해 선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99-45889호 및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99-45890호에서 제시한 멜라민 함침액에 함침시켜서 얻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난연성 멜라민 석고보드의 난연성을 보다 증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멜라민함침지(30)로는 본 고안자에 의해 선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2000-30887호의 '난연성 멜라민 시트의 제조방법'에 기재되어 있는 멜라민수지 함침액에 석고를 총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5중량% 내지 10중량% 첨가한 멜라민수지 함침액에 모양지를 함침시켜 건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석고가 가미된 멜라민 수지 함침액에 모양지를 함침시키게 되면 함침지내에 함침된 수지의 석고성분으로 인해 멜라민 석고보드의 난연성을 보다 증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멜라민 수지에 모양지를 함침시킨 수지함침지(30)를 크라프트지(20) 상면에 올려놓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열가압성형하게 되면 본 고안에 의한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지함침지(30)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크라프트지(20) 상면에 수지함침지(30)를 올려 놓고 120℃ 내지 140℃의 온도조건하에서 20kgf/㎠ 내지 40kgf/㎠의 압력으로 10분 내지 25분간 열가압성형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크라프트지(20) 상면에 수지함침지(30)를 올려 놓고 180℃ 내지 200℃의 온도조건하에서 20kgf/㎠ 내지 40kgf/㎠의 압력으로 20초 내지 50초간 열가압성형하면 수지함침지(30)를 부착시킬 수 있다.
도3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의 사시도로서, 상기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로 석고보드(10)가 형성되고, 상기 석고보드(10) 상부에는 크라프트지(20)가 형성되고, 상기 석고보드(10) 하부에는 통상의 마감처리재(40)가 형성되며, 상기 크라프트지(20) 윗면으로는 접착제층(50)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층(50) 상면으로 다시 인쇄된 모양지층(6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도3에 도시된 난연성 석고보드는 도2의 수지함침지(30) 대신 크라프트지(20) 윗면으로 접착제층(50)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제층(50) 상면으로 인쇄된 모양지층(6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의 경우 본체를 구성하는 석고보드(10)로 인하여 종래 목질의 화장판에 비하여 그 난연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화장판을 포함하는 인테리어의 주재를 석고보드로 함으로서 종래 목질의 화장판에 비하여 난연성을 월등히 개선시켜 화재시 불에 잘 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그 표면을 모양지로 처리하여 미려함을 충분히 살릴 수 있도록 한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를 제공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3)

  1. 본체와 통상의 마감처리재로 구성되는 인테리어 석고보드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 석고보드(10)를 사용하고, 상기 석고보드(10) 상부에 크라프트지(20)가 형성되고, 상기 석고보드(10) 하부에는 통상의 마감처리재(40)가 형성되고, 상기 크라프트지(20) 윗면으로 수지함침지(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함침지(30)가 석고를 총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5중량% 내지 10중량% 함유되어 있는 멜라민수지 함침액에 모양지를 함침시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수지함침지(30) 대신 크라프트지(20) 윗면으로 접착제층(50)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제층(50) 상면으로 인쇄된 모양지층(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
KR2020000028046U 2000-10-09 2000-10-09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 KR2002188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046U KR200218826Y1 (ko) 2000-10-09 2000-10-09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046U KR200218826Y1 (ko) 2000-10-09 2000-10-09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826Y1 true KR200218826Y1 (ko) 2001-04-02

Family

ID=73058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046U KR200218826Y1 (ko) 2000-10-09 2000-10-09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8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3110B2 (en) Decorative laminate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0264938Y1 (ko) 황토를 포함하는 불연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패널
JP2004516956A (ja) 黄土を含む不燃性パネル及びこれを利用した不燃性装飾パネル
KR100685370B1 (ko) 철도차량 내장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2343986B1 (ko) 건축용 단열흡음 표면 장식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80885A (ko) 모양지가 적층된 성형 마그네슘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443058B1 (ko) 난연성 멜라민 시트의 제조방법
KR200389695Y1 (ko) Hpm층에 천연 무늬목층이 적층된 내장재
KR200183182Y1 (ko) 난연성 기능을 갖는 열경화성 수지화장판
KR100443057B1 (ko) 난연성 크라프트지를 이용한 난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218826Y1 (ko) 난연성 인테리어 석고보드
JPS59114050A (ja) 不燃性無機質化粧板
KR200398801Y1 (ko) 난연성을 갖는 합판
KR100679330B1 (ko) 난연성을 갖는 함침무늬목의 제조방법 및 이용하여 제조된난연성 합판
KR100710919B1 (ko) 마그네슘 보드와 콜크를 이용한 바닥재
KR200387095Y1 (ko) 한지가 내장된 수지화장판
KR200241744Y1 (ko) 황토를 포함하는 불연 화장판넬
KR200384030Y1 (ko) 준불연 치장합판 모자이크 마루판
KR101622302B1 (ko) 치장목질 마루판용 불연성 열경화성수지 고압화장판
KR20060017252A (ko) 방염처리된 멜라민 함침 보드
KR200241963Y1 (ko) 난연성 인테리어용 밤라이트 보드
KR200375457Y1 (ko) 인테리어용 불연재
KR200350424Y1 (ko) 난연성을 갖는 표면강화처리 마루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마루판
KR0137451Y1 (ko) 실내용 바닥재
KR200377686Y1 (ko) 합판이 부착된 수지화장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