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643Y1 - Lpg차량용 일회용 보조가스용기 - Google Patents

Lpg차량용 일회용 보조가스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643Y1
KR200218643Y1 KR2020000029509U KR20000029509U KR200218643Y1 KR 200218643 Y1 KR200218643 Y1 KR 200218643Y1 KR 2020000029509 U KR2020000029509 U KR 2020000029509U KR 20000029509 U KR20000029509 U KR 20000029509U KR 200218643 Y1 KR200218643 Y1 KR 2002186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ontainer
auxiliary gas
disposable
inlet
fuel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청
Original Assignee
김종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청 filed Critical 김종청
Priority to KR2020000029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6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6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643Y1/ko

Links

Landscapes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LPG차량용 보조가스용기에 관한 것으로, 주입구가 형성된 상부캡과 만곡형상의 하부캡에 의해 밀폐용기를 형성하고, 그 내측공간부에 액화석유가스가 충전된 통상의 일회용 가스용기를 이용하여, 그 주입구에 별도의 통공 및 밀폐링이 형성된 소켓을 형성하고, 전기한 주입구의 노즐봉을 차량용 연료탱크의 개폐봉과 일치되게 형성하므로서,
별도의 소켓을 구비하지 않아도 그 보조가스용기만 구입하면 언제든지 사용이 가능하며, 보조가스의 주입시 별도의 소켓을 조립하거나 결합하지 않고도 그 보조가스용기의 주입구와 연료탱크의 주입구만 일치시켜 압압하면 신속하게 연료탱크 내로 가스가 주입되므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LPG차량용 일회용 보조가스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LPG차량용 일회용 보조가스용기 {auxiliary gas container of disposable for LPG automobiles}
본 고안은 LPG차량용 보조가스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일회용 가스용기의 주입부에 별도의 소켓을 결합형성하므로서, 별도의 결합구가 없이도 그 보조가스용기만으로도 LPG차량의 연료탱크에 가스를 주입할 수 있는 LPG차량용 일회용 보조가스용기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서, 비교적 값이 싸고 매장량이 풍부한 LP가스(액화석유가스)를 이용한 자동차가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LPG차량은 매연발생량이 적으며 연료비가 매우 적게 소모되어 많이 인기를 얻고 있으며 그 판매량 또한 급증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전기한 LPG차량의 보급율과 더불어 LPG충전소 또한 증가하여야 하나, LPG충전소는 판매되는 차량에 비해 현저히 적은 추세이며, LPG충전소와 LPG차량의 불균형에 의해 LPG차량의 운전자들은 반드시 보조 가스용기를 휴대하고 다니며, 연료가 떨어졌을 경우 그 보조가스용기내의 연료를 주입하여 LPG충전소까지 운전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조가스용기는 시중에서 통상적으로 유통되고 사용되는 부탄가스용기(휴대버너용 액화가스용기)를 이용하는 것인데, 이러한 일회용 부탄가스용기는 그 가스배출구와 자동차 연료탱크의 주입구가 서로 일치하지 않아 별도의 소켓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일회용 보조가스용기를 준비하고 다닐 경우에는 반드시 그 가스용기내의 가스를 연료탱크로 주입하기 위한 소켓을 함께 구비 및 휴대하여야 하는 것이며, 이러한 소켓의 구입은 보조가스용기의 구입과 함께 2중의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는 것이며,
소켓은 비교적 그 부피가 작아서 분실의 우려가 있으며 사용후에는 분리하여 보관하므로 취급 및 보관이 용이치 않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저 안출된 것으로서, 주입구가 형성된 상부캡과 만곡형상의 하부캡에 의해 밀폐용기를 형성하고, 그 내측공간부에 액화석유가스가 충전된 통상의 일회용 가스용기를 이용하여,
그 주입구에 별도의 통공 및 밀폐링이 형성된 소켓을 형성하고, 전기한 주입구의 노즐봉을 차량용 연료탱크의 개폐봉과 일치되게 형성하므로서,
별도의 소켓을 구비하지 않아도 그 보조가스용기만 구입하면 언제든지 사용이 가능하며, 보조가스의 주입시 별도의 소켓을 조립하거나 결합하지 않고도 그 보조가스용기의 주입구와 연료탱크의 주입구만 일치시켜 압압하면 신속하게 연료탱크내로 가스가 주입되므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LPG차량용 일회용 보조가스용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일회용 보조가스용기의 소켓부를 분리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일회용 보조가스용기의 측단면설명도
도 3은 본 고안 일회용 보조가스용기의 상부작동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 일회용 보조가스용기의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요홈 2 : 노즐봉
3 : 상부캡 4 : 하부캡
5 : 가스용기 6 : 몸체
7 : 통공 8 : 격벽
9 : 요홈조 10 : 밀폐링
20 : 연료탱크 21 : 주입밸브
22 : 개폐봉 23 : 액화가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보조가스용기의 소켓부를 분리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상태의 단면설명도이다.
요홈(1)의 중앙부에 노즐봉(2)이 돌출형성된 상부캡(3)과, 만곡 형상의 하부캡(4)에 의해 상하 밀폐형성된 통상의 일회용 가스용기(5)에 있어서,
외경이 전기한 요홈(1)의 내경과 동일한 파이프상 몸체(6)의 내측에 전기한 노즐봉(2)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통공(7)이 형성된 격벽(8)을 형성하고, 격벽(8)의 상부에는 요홈조(9)의 내부에 밀폐링(10)이 삽입되게 형성하되,
전기한 몸체(6)의 하부를 가스용기(5)의 상부 요홈(1)에 삽착하고, 그 노즐봉(2)의 단부가 일정길이 통공(7)을 통해 노출되게 결합형성하여 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은 연료탱크, 21은 주입밸브, 22는 개폐봉, 23은 액화가스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일회용 보조가스용기는 가스용기(1)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캡(3)의 요홈(1)에 파이프상 몸체(6)를 삽입하여 결합하고, 그 내측에 돌출 형성된 노즐봉(2)이 그 몸체(6)의 통공(7)을 통해 돌출되게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 보조가스용기를 도 4의 도시와 같이 차량용 연료탱크(20)의 주입밸브(21)에 삽입하면, 파이프상 몸체(6)의 내벽으로 주입밸브(21)의 돌출부가 삽입되며, 그 몸체(6) 내벽의 요홈조(9)에 삽입된 밀폐링(10)은 탄력소재로서, 그 주입밸브(21)의 돌출부를 압압하며 밀폐시키는 것이다.
또한, 지속적으로 가스용기(5)의 선단을 압압하게 누르게 되면, 몸체(6)내에 노출된 노즐봉(2)이 주입밸브(21)의 개폐봉(22)을 압압하여 눌려지게 하는 것이다.
동시에, 노즐봉(2)이 가스용기(5)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면서 밸브가 열리게 되는 것이며, 더이상 노즐봉(2)이 밀려들어가지 못하게 되면, 반대로 주입밸브(21)측의 개폐봉(22)이 밀리면 양측의 밸브가 모두 열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부분으로 가스용기(5)내의 고압 액화가스(23)가 배출되는 것이며, 배출되는 액화가스(23)는 개폐봉(22)이 열린 자동차의 연료탱크(20)로 주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소켓을 가스용기와 연료탱크의 주입구 사이에 삽입하여 가스를 주입하지 않아도, 본 고안 일회용 가스용기(5)의 몸체(6)에 의해 가스용기(5)만을 자동차용 연료탱크(20)의 주입밸브(21)에 삽입하여 압압하면 노즐봉(2) 및 개폐봉(22)이 동시에 열리면서 신속하게 액화가스(23)가 주입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에 사용하던 각종 소켓 및 연결구의 사용없이도 본 고안 일회용 보조가스용기만을 구입하여 직접 액화가스(23)를 주입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간편하면서도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LPG차량용 일회용 보조가스용기는 별도의 소켓을 구비하지 않아도 그 보조가스용기만 구입하면 언제든지 사용이 가능하며, 보조가스의 주입시 별도의 소켓을 조립하거나 결합하지 않고도 그 보조가스용기의 주입구와 연료탱크의 주입구만 일치시켜 압압하면 신속하게 연료탱크내로 가스가 주입되므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요홈(1)의 중앙부에 노즐봉(2)이 돌출형성된 상부캡(3)과, 만곡 형상의 하부캡(4)에 의해 상하 밀폐형성된 통상의 일회용 가스용기(5)에 있어서,
    외경이 전기한 요홈(1)의 내경과 동일한 파이프상 몸체(6)의 내측에 전기한 노즐봉(2)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통공(7)이 형성된 격벽(8)을 형성하고, 격벽(8)의 상부에는 요홈조(9)의 내부에 밀폐링(10)이 삽입되게 형성하되,
    전기한 몸체(6)의 하부를 가스용기(5)의 상부 요홈(1)에 삽착하고, 그 노즐봉(2)의 단부가 일정길이 통공(7)을 통해 노출되게 결합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LPG차량용 일회용 보조가스용기.
KR2020000029509U 2000-10-23 2000-10-23 Lpg차량용 일회용 보조가스용기 KR2002186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509U KR200218643Y1 (ko) 2000-10-23 2000-10-23 Lpg차량용 일회용 보조가스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509U KR200218643Y1 (ko) 2000-10-23 2000-10-23 Lpg차량용 일회용 보조가스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643Y1 true KR200218643Y1 (ko) 2001-04-02

Family

ID=73059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509U KR200218643Y1 (ko) 2000-10-23 2000-10-23 Lpg차량용 일회용 보조가스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6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0344A (en) Combination cigarette lighter and bottle opener
CN215075521U (zh) 一种在电子烟储油仓内使用的新型硅胶密封件
KR200218643Y1 (ko) Lpg차량용 일회용 보조가스용기
JP4863256B2 (ja) 吸引式噴射器
CA2351263A1 (en) Tank for gaseous fuels with additional internal reservoir
KR101173252B1 (ko) 소형 lpg 용기용 암커플러를 이용한 밸브
CN211443355U (zh) 一种酒茅以及设有该酒茅的酒桶
JPS644447Y2 (ko)
EP1243216A4 (en) VALVE UNIT AND CONTAINER
TWM600695U (zh) 多功能補胎裝置
JPS62156253U (ko)
WO2012083558A1 (zh) 瓦斯钉枪的燃料罐总成
KR200218306Y1 (ko) 가스 용기 탭의 체크밸브
JPH10218261A (ja) 二重構造容器
CN218988796U (zh) 一种新型便捷式富氢水灌装装置
CN109645657A (zh) 一种安全型气压式喷雾瓶
JPH01170861U (ko)
KR20010041704A (ko) 휴대식 액화석유가스 용기간의 재충전용 연결장치
CN207316461U (zh) 一种自闭式液化气节能充装枪
JPH0541795Y2 (ko)
KR950015158B1 (ko) 라이터의 연료주입 구조 및 주입방법
JPH10309502A (ja) 旋回可能な噴射頭を有する定量噴射弁付き瓶
KR200184536Y1 (ko) 화물고정용 에어백의 마개
JPH0370759U (ko)
JPH064917Y2 (ja) ピストン式エアゾール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