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223Y1 - 동판 직열식 온돌 - Google Patents

동판 직열식 온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223Y1
KR200218223Y1 KR2020000027177U KR20000027177U KR200218223Y1 KR 200218223 Y1 KR200218223 Y1 KR 200218223Y1 KR 2020000027177 U KR2020000027177 U KR 2020000027177U KR 20000027177 U KR20000027177 U KR 20000027177U KR 200218223 Y1 KR200218223 Y1 KR 2002182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ndol
plate
hot water
water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은수
Original Assignee
홍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은수 filed Critical 홍은수
Priority to KR2020000027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2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2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22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단위온돌판의 내부에 온수순환관을 형성시켜 단위온돌판의 상면이 평평하므로 별도의 콘크리트 루핑작업이 필요 없어 설치비용 및 보수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또한 단위온돌판 상부에 동판을 부착시키거나 동을 스프레이하여 보온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맥을 차단하여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동판 직열식 온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는 온수순환관(11,11a)이 형성되며, 하측면에는 다수의 지지각(12)이 형성되고, 상기 온수순환관(11,11a)의 입구 및 출구에는 요홈부(13)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요홈부(13)에는 상기 온수순환관(11,11a)의 입구와 출구 및 2개의 연결공(14)이 형성되며, 상측면에는 연결용 요홈(15)이 형성된 평평한 단위온돌판(10,10a)과; 상기 인접된 단위온돌판(10,10a)을 상호 연결할시 상기 요홈부(13)에 위치되며 상기 단위온돌판(10,10a)의 연결공(14)에 각각 삽입되는 2개의 연결핀(21)과, 상기 온수순환관(11,11a)의 입구 및 출구안에 삽입되는 연결관 (22)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22)에는 패킹(23)을 매개하여 누수를 방지하도록 한 연결부재(20)로 구성되어 상기 단위온돌판(10,10a)과 연결부재(20)를 다수개 연결시켜 온돌을 형성토록 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단위온돌판(10,10a)의 상측면에는 동판 또는 동을 도금한 판(30)이 부착되어 수맥을 차단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단위온돌판의 상면이 평평하므로 별도의 콘크리트 루핑작업 없이 직접 그위에 장판을 하면 되므로 설치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또한 단위온돌판 상부에 동판이 부착되어 보온효과가 탁월할 뿐만 아니라 수맥을 차단하여 건강증진에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동판 직열식 온돌{Direct thermal hot floor having copper plate}
본 고안은 경질 합성수지제로된 온돌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위온돌판의 내부에 온수순환관을 형성시켜 단위온돌판의 상면이 평평하므로 별도의 콘크리트 루핑작업이 필요 없어 설치비용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또한 단위온돌판 상부에 동판을 부착시키거나 동을 스프레이하여 보온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맥을 차단하여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동판 직열식 온돌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온돌을 시공함에 있어서 냉기, 습기를 차단하기 위해서 PVC관을 사용시는 루우핑을 사용해야되고 철판은 스치로폴을, 동관을 사용시는 인슈레이션을 사용해야 되므로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PVC관은 더운물이 없이는 시공이 안되고 철판은 부식이 심하며 동관은 고가로 되는 여러 결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3409호(공고번호 제86-3071호)에는 상, 하면에 수개의 4각 요임홈을 형성하고 상면에 온수 순환관을 일체로 돌설시킨 경질 합성수지제로된 정방형의 단위온돌판을 방의 크기에 따라 종, 횡으로 연결하여서된 직열식온돌이 개시되어 있는바, 이 등록실용신안고안은 냉기 및 습기를 차단하고 시공 시간과 시공비가 적게 들며 경질의 합성수지판으로 성형 조립되므로 시공 후에도 온돌판 자체의 신축이 없고 찌그러지거나 파열되는 일도 없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온돌에 있어서는 단위온돌판의 상면으로 온수순환관이 돌출되어 있는 관계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별도의 루핑작업을 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더욱이 연결파이프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위 온돌판의 온수순환관을 상호 연결하고 있는바, 만약에 이들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될 경우에는 콘크리트루핑을 걷어낸 뒤 누수부위를 보수해야 하므로 유지보수비용이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위온돌판의 내부에 온수순환관을 형성시켜 단위온돌판의 상면이 평평하므로 별도의 콘크리트 루핑작업이 필요 없어 설치비용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또한 단위온돌판 상부에 동판을 부착시키거나 동을 스프레이하여 보온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맥을 차단하여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동판 직열식 온돌을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동판 직열식 온돌에 있어서 단위 온돌판의 일부 조립상태를 표시한 평면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직선형 온수순환관이 형성된 단위온돌판의 평면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단위온돌판의 저면도,
도4 및 도5는 직선선이 아닌 만곡형 온수순환관이 형성된 단위온돌판의 저면도,
도6은 인접하는 단위 온돌판과 연결부재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7은 도6에 도시된 단위 온돌판과 연결부재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조립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 단위온돌판 11,11a: 온수순환관
12: 지지각 13: 요홈부
14: 연결공 15: 요홈
20: 연결부재 21: 연결핀
22: 연결관 23: 패킹
30: 동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동판 직열식 온돌은, 내부에는 온수순환관이 형성되며, 하측면에는 다수의 지지각이 형성되고, 상기 온수순환관의 입구 및 출구에는 요홈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요홈부에는 상기 온수순환관의 입구와 출구 및 2개의 연결공이 형성되며, 상측면에는 연결용 요홈이 형성된 평평한 단위온돌판과; 상기 인접된 단위온돌판을 상호 연결할시 상기 요홈부에 위치되며 상기 단위온돌판의 연결공에 각각 삽입되는 2개의 연결핀과, 상기 온수순환관의 입구 및 출구안에 삽입되는 연결관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에는 패킹을 매개하여 누수를 방지하도록 한 연결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단위온돌판과 연결부재를 다수개 연결시켜 온돌을 형성함을 기술적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단위온돌판의 평평한 상측면에는 동판 또는 동을 도금한 판이 부착되어 수맥을 차단하하여 각종 질병의 발생을 예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는 다수개의 단위 온돌판(10,10a)과 연결부재(20)를 상호 연결하여 온돌을 형성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단위 온돌판(10,10a)과 연결부재(20)만 있으며 어떠한 크기의 방이라도 온돌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2가지의 단위온돌판(10,10a)과, 연결부재 (20)로서, 단위온돌판(10)은 그의 내부에 직선형의 온수순환관(1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단위온돌판(10a)은 그의 내부에 1/4 원형의 온수순환관(11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비록 도4 및 도5에는 2개의 단위온돌판(10a)이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서 온수의 순환을 위해 배치위치를 달리하면 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 있어서 온수의 흐름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도3내지 도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위온돌판(10,10a)의 하측면에는 다수의 지지각(12)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수순환관(11,11a)의 입구 및 출구에는 요홈부(13)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요홈부(13)에는 온수순환관(11,11a)의 입구와 출구 및 2개의 연결공(14)이 형성되며,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온돌판(10,10a)의 상측면에는 연결용 요홈(15)이 형성된 평평한 형상을 갖는다. 여기에서 요홈(15)은 연결부재(20)를 매개로 단위온돌판(10,10a)들을 상호 연결할 경우 소정의 연장(클램프)을 이용하여 단위온돌판(10,10a)들과 연결부재(20)를 단단히 밀착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0)는 인접된 단위온돌판(10,10a)을 상호 연결할시 사용되는 것으로서, 연결부재(20)는 단위온돌판(10,10a)의 요홈부 (13)에 위치된다. 그리고 연결부재(20)에는 단위온돌판(10,10a)의 연결공(14)에 각각 삽입되는 2개의 연결핀(21)과 온수순환관(11,11a)의 입구 및 출구안에 삽입되는 연결관(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관(22)에는 패킹(23)이 끼워지는 부위(22a)가 형성되어 있는바, 패킹(23)이 있음으로써 연결관(22)을 온수순환관 (11,11a)에 삽입할 경우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킹(23)에 의해 온수의 누수가 없게되는 것이다.
다시 도6을 참조하면 단위온돌판(10,10a)의 평평한 상측면에는 동판 또는 동을 도금한 판(30)이 부착되어 수맥을 차단하여 건강증진에 일조하며 또한 열전도율이 높은 관계로 온돌의 온도를 효율적 전달하고 보온효과가 탁월한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2종의 온돌판(10,10a)과 연결부재(20)에 의해 임의의 크기와 모양으로 조립시공할 수 있으며 각 온돌판(10,10a)의 연결에 있어서는 일측의 단위온돌판에 연결부재(20)의 일측을 연결하면 되는데 여기에서 패킹 (23)을 연결관(22)의 요홈부(22a)에 끼운 상태에서 온돌판의 입구 또는 출구에 연결관(22)을 삽입하고 이와 동시에 연결부재(20)의 연결핀(21)을 온돌판의 연결공 (14)에 삽입하면 도7에서와 같이 연결핀(21)의 걸림턱(21a)이 온돌판의 단턱(14a)에 걸리게되어 용이하게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20)의 일측에 온돌판이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부재(20)의 타측에 다른 온돌판을 연결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부재 (20)와 온돌판을 연결하면 되는바, 만약에 이들 연결부재(20)와 온돌판의 조립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인접 연결하고자 하는 온돌판 상에 형성한 요홈(15)에 소정의 연장(클램프)을 꽂아서 상호 잡아당기면 온돌판과 연결부재(20)가 단단히 밀착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온돌판(10,10a)과 연결부재(20)를 이용할 경우 도1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온돌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인바, 온돌을 시공하는 바닥면에 닿는 지지각 (12)에 의해 온돌판(10 또는 10a)의 저면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바닥의 찬 공기의 상승이 방지되며 각 온수순환관(11,11a)을 지나는 온수에 의해 열기가 각 온돌판(10,10a)의 전면에 골고루 전도되어 방 전체가 고르게 데워지게 되며 더욱이 온돌판(10,10a)의 상부에 동판(30)이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열전도율이 양호하여 온돌판의 온도를 증폭하고 그에 따라 보일러의 연소에 필요한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고, 동판(30)의 부착으로 인해 수맥을 차단하여 건강증진에 일조를 하며, 또한 온돌판(10,10a)의 상측면이 평평하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별도의 콘크리트 루핑이 필요 없이 그 위에 직접 장판을 깔면 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단위온돌판의 상면이 평평하므로 별도의 콘크리트 루핑작업 없이 직접 그위에 장판을 하면 되므로 설치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또한 단위온돌판 상부에 동판이 부착되어 보온효과가 탁월할 뿐만 아니라 수맥을 차단하여 건강증진에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등록청구범위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단위 온돌판(10,10a)에 부착되는 동판(30)대신에 액상의 구리물질을 스프레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연결부재(20)는 기타의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요홈부(13)역시 연결부재(20)와 동일한 형상을 갖을 수도 있다. 또한 단위온돌판(10,10a)은 정방형의 형태를 가진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내부에는 온수순환관(11,11a)이 형성되며, 하측면에는 다수의 지지각(12)이 형성되고, 상기 온수순환관(11,11a)의 입구 및 출구에는 요홈부(13)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요홈부(13)에는 상기 온수순환관(11,11a)의 입구와 출구 및 2개의 연결공 (14)이 형성되며, 상측면에는 연결용 요홈(15)이 형성된 평평한 단위온돌판 (10,10a)과;
    상기 인접된 단위온돌판(10,10a)을 상호 연결할시 상기 요홈부(13)에 위치되며 상기 단위온돌판(10,10a)의 연결공(14)에 각각 삽입되는 2개의 연결핀(21)과, 상기 온수순환관(11,11a)의 입구 및 출구안에 삽입되는 연결관(22)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22)에는 패킹(23)을 매개하여 누수를 방지하도록 한 연결부재(20)로 구성되어 상기 단위온돌판(10,10a)과 연결부재(20)를 다수개 연결시켜 온돌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판 직열식 온돌.
  2. 상기 단위온돌판(10,10a)의 상측면에는 동판 또는 동을 도금한 판(30)이 부착되어 수맥을 차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판 직열식 온돌.
KR2020000027177U 2000-09-28 2000-09-28 동판 직열식 온돌 KR2002182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177U KR200218223Y1 (ko) 2000-09-28 2000-09-28 동판 직열식 온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177U KR200218223Y1 (ko) 2000-09-28 2000-09-28 동판 직열식 온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223Y1 true KR200218223Y1 (ko) 2001-03-15

Family

ID=73058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177U KR200218223Y1 (ko) 2000-09-28 2000-09-28 동판 직열식 온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2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14746C2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обогревающих и/или охлаждающих стен зданий
JP6072828B2 (ja) 床暖房用パネル及び床暖房用パネルアセンブリー
KR200218223Y1 (ko) 동판 직열식 온돌
KR200325138Y1 (ko) 냉. 난방 공기 온돌구조
KR102162082B1 (ko) 부착형 메탈히터
KR101296606B1 (ko)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KR20140090490A (ko) 난방용 조립식 마루
KR200417942Y1 (ko) 구별 분리형 온수분배기
KR100727019B1 (ko) 구별 분리형 온수분배기
KR200291676Y1 (ko) 조립식 난방 패널의 연결구조
JP2012145317A (ja) 床冷暖房用パネル
WO1993012389A1 (en) Quick operating heat exchanger device
KR200219753Y1 (ko) 온수 보일러용 난방장치
JP5200684B2 (ja) 熱交換器
KR101069728B1 (ko) 난방용 배관 어셈블리
CN213421498U (zh) 一种太阳能热水器专用阀门
KR200346896Y1 (ko) 결합소켓이 양측으로 형성된 히트파이프 헤드
KR860003071Y1 (ko) 직열식 온돌
CN212961838U (zh) 一种水暖装置
KR970005429Y1 (ko) 온수온돌 배관 패널
JP2008057898A (ja) 貯湯式電気温水器
KR20100058818A (ko) 조립식 온수판넬
CN213873962U (zh) 一种耐高温堵头
KR0116116Y1 (ko)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KR20000001417U (ko) 난방 배관용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