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896Y1 - 결합소켓이 양측으로 형성된 히트파이프 헤드 - Google Patents

결합소켓이 양측으로 형성된 히트파이프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896Y1
KR200346896Y1 KR20-2003-0037523U KR20030037523U KR200346896Y1 KR 200346896 Y1 KR200346896 Y1 KR 200346896Y1 KR 20030037523 U KR20030037523 U KR 20030037523U KR 200346896 Y1 KR200346896 Y1 KR 2003468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heat pipe
heat
right sides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5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선욱
Original Assignee
전선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선욱 filed Critical 전선욱
Priority to KR20-2003-0037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8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8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75Arrangements for coupling heat-pipes together or with other structures, e.g. with base blocks; Heat pipe cores

Abstract

본 고안은 히트파이프를 이용하여 온돌난방을 시공할 때 히트파이프(1)와 헤드(2)를 결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히트파이프도 일반적인 열전달 소재와 동일하게 열원과 거리(히트파이프의 길이)가 멀어질수록 열전달율이 감소된다. 따라서 히트파이프(1) 길이의 한계성 때문에 난방면적이 크거나 넓은 곳에서는 히트파이프(1)가 결합되어 열을 공급받는 헤드(2)를 난방바닥(6)면 좌, 우 양측에 각각 설치((도 5)하여 온돌난방을 시공하였으나, 본 고안은 헤드(2) 좌, 우 양측에 히트파이프(1) 결합소켓(4)을 형성시킨 헤드(2)를 난방바닥(6)면 중앙에 설치(도4)하여 히트파이프(1)를 좌, 우 양측으로 동시에 결합 할 수 있는 구조로 함으로서, 난방바닥(6)면 좌, 우 양측에 각각 헤드(2)를 설치하는 종전방식과 동일한 효과가 있게 되었다. 따라서 헤드(2)를 하나 줄이는 효과와, 복식헤드(2)설치(도5)시 보다 공정도 줄이고, 연결부품 등 자재도 절감하는 이득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결합소켓이 양측으로 형성된 히트파이프 헤드 {The Heat-Pipe Head with Both Sides Socket Type}
히트파이프를 이용하여 온돌난방을 시공할 때 히트파이프(1)와 열을 제공하는 헤드(2)를 결합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히트파이프(1)는 열을 제공하는 헤드(2)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히트파이프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성능이 저하되며, 히트파이프(1)의 흡열부를 기점으로 히프파이프(1)의 길이가 3,000mm이상이면 성능이 크게 감소되어 히트파이프(1)의 기능이 상실된다.(단 온수관 내장형 히트파이프등 특수형은 제외) 따라서 히트파이프(1)와 헤드(2)의 결합방법이 일측으로만 이루어지는 종전 온돌난방 방식은 히트파이프(1)의 길이의 한게성 때문에 난방면적이 크거나 넓은 곳에서는 헤드(2)를 난방바닥(6)면 좌, 우 양측에 각각 설치(도5)하여, 히트파이프(1)를 좌, 우 양측에 중복 설치된 혜드(2)에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헤드(2)가 이중으로 필요하게되어 히트파이프(1)를 이용하는 온돌난방 공사비가 높았으며, 연결밸브등 자재도 더 많이 필요하였다.
위에서 본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개선하고자 본 고안은 안출 되었는데, 히트파이프(1)와 헤드(2)의 결합이 일측으로만 이루어지는 종전 난방 시공방식은 난방면적이 크거나, 넓을 경우 도5 처럼 난방바닥(6)면 좌, 우 양측에 각각 헤드(2)를 설치하여 히트파이프(1)를 결합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2조의 헤드(2)가 필요하지만, 본 고안은 헤드(2) 좌, 우 양측에 히트파이프(1) 결합소켓(4)을 형성시킨 헤드(2)를 난방 바닥(6)면 중앙에 설치(도4)하여 히트파이프(1)를 헤드(2) 좌, 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히트파이프(1) 결합소켓(4)에 결합 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난방면적이 크거나, 넓어서 2조의 헤드(2)가 필요한 곳이라도 1조의 헤드(2)만 설치하여도 가능하게 되어서 헤드(2)를 한조 줄이게 되었으며, 또 작업의 공정성이 향상된 것을 물론이고 헤드(2)와 히트파이프(1)의 연결밸브 등 자재도 줄이게 되었다.
도 1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좌, 우 양측에 결합소켓이 형성되어 있는 헤드와 히트파이프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좌, 우 양측에 결합소켓이 형성되어 있는 헤드와 히트파이프의 결합도이다
도 4은 본고안의 설치 평면도 예이고
도 5는 히트파이프 결합소켓이 일측으로만 형성되어 있는 헤드라서, 히트파이프가 헤드의 일측으로만 결합되는 종전방식(복식헤드)의 설치 평면도 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히트파이프(윅(Wick)타입)
2. 헤드
3. 온수관
4. 헤드에 형성되어 있는 히트파이프 결합 소켓트
5. 헤드와 온수관을 연결하는 밸브
6. 난방 바닥면
7. 온수입구
8. 온수출구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헤드(2) 좌, 우 양측에 히트파이프(1) 결합소켓(4)이 형성되어 있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헤드(2) 좌, 우 양측으로 히트파이프(1) 결합소켓(4)이 형성되어 있어서 하나의 헤드(2)가 두개의 혜드(2)기능을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2는 본 고안인 양측 결합구조 헤드(2)와 히트파이프(1)의 분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인 양측 결합구조 헤드(2)와 히트파이프(1)의 결합도이다.(히트파이프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유체 및 윅(Wick)의 표시, 히트파이프와 혜드의 결합 방법 등은 또 다른 기술이기에 생략함. ※참고:www.enewell.co.kr)
도4는 본 고안의 시공 평면도 예로서 난방면적이 크거나, 넓을지라도 헤드(2) 좌, 우 양측으로 히트파이프(1) 결합소켓(4)이 형성되어 있어서 온돌난방 시공 시 히트파이프(1)를 패드(2) 좌, 우 양측으로 결합 설치 할 수 있게 되어서 도면과 같이 헤드(2)는 하나만 있어도 가능하게 되었다.
도5는 히트파이프(1)가 결합하는 소켓이 헤드(2)의 일측으로만 형성된 종전 방식의 온돌난방 시공 평면도 예로서 난방면적이 크거나, 넓을 경우 도면과 같이 헤드(2)를 난방바닥(6)면 좌, 우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히트파이프(1) 결합소켓(4)이 일측으로만 형성된 헤드(2)는 난방면적이 크거나, 넓을 경우 2조의 헤드(2)가 필요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헤드(2) 좌, 우 양측에 히트파이프(1)를 결합 할 수 있는 소켓(4)이 형성되어 있어서 난방 면적이 크거나, 넓어서 헤드(2)가 2조 필요한 곳에도 1조만 설치하여도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헤드(2)를 하나 줄이고, 공정도 단축하게 되었으며, 연결밸브 등 자재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

  1. 히트파이프(1) 결합소켓(4)을 헤드(2) 좌, 우 양측에 형성시켜 히트파이프(1)를 헤드(2) 좌, 우 양측으로 동시에 결합 할 수 있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소켓(4)이 좌, 우 양측으로 형성된 히트파이프 헤드.
KR20-2003-0037523U 2003-12-01 2003-12-01 결합소켓이 양측으로 형성된 히트파이프 헤드 KR2003468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523U KR200346896Y1 (ko) 2003-12-01 2003-12-01 결합소켓이 양측으로 형성된 히트파이프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523U KR200346896Y1 (ko) 2003-12-01 2003-12-01 결합소켓이 양측으로 형성된 히트파이프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896Y1 true KR200346896Y1 (ko) 2004-04-08

Family

ID=49427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523U KR200346896Y1 (ko) 2003-12-01 2003-12-01 결합소켓이 양측으로 형성된 히트파이프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8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417944A (pt) trocador de calor
US8302566B2 (en) Dual pipe heat exchanger of instantaneous boiler for house heating and hot water and boiler
EA200301072A1 (ru) Система отопления здания
KR200346896Y1 (ko) 결합소켓이 양측으로 형성된 히트파이프 헤드
CN212962915U (zh) 一种钢六柱散热器
JP4042971B2 (ja) 冷暖房空気オンドル構造
SE0402892L (sv) Värmeanläggning och uppvärmningsförfarande
AU2003273740A1 (en) Fuel and fuel cooler with lamellar inner structures for connecting to the air-conditioning system
CN215412066U (zh) 一种供暖热水控制水力模块
JP2012145317A (ja) 床冷暖房用パネル
CN218441215U (zh) 一种便于拆装的燃气热水炉用排气管
SE9704616D0 (sv) Anschlussystem für Heizkörper
CN212961838U (zh) 一种水暖装置
WO2002081978A8 (en) Device for a hot water tank of the pressure heater type and a fitting for a hot water tank of the pressure heater type
KR200218223Y1 (ko) 동판 직열식 온돌
CN201259262Y (zh) 室内温度调节器
KR100265816B1 (ko) 가스보일러의 열교환장치
KR200341706Y1 (ko) 히터 조립식 온수난방기
KR200300600Y1 (ko) 관 접속용 분배관
CN205425935U (zh) 换热管集成板、换热器和热水器
KR100355590B1 (ko) 가스보일러
ITPD960237A1 (it) Gruppo di distribuzione per radiatori a piastre radianti
CN2308867Y (zh) 家用暖气热水器
CN1127639C (zh) 多功能散热器
KR200403759Y1 (ko) 열교환기의 보스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