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935Y1 - 식용유 용기 마개 - Google Patents

식용유 용기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935Y1
KR200217935Y1 KR2020000019988U KR20000019988U KR200217935Y1 KR 200217935 Y1 KR200217935 Y1 KR 200217935Y1 KR 2020000019988 U KR2020000019988 U KR 2020000019988U KR 20000019988 U KR20000019988 U KR 20000019988U KR 200217935 Y1 KR200217935 Y1 KR 2002179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stopper
hole
elastic piec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규환
문지호
Original Assignee
제일제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제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제당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9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9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9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935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용유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위조 방지 및 탄성편의 보강과 내용물을 정량 배출 할 수 있도록 보강테가 형성된 탄성편과 축 방향으로 내경이 다른 유출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유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유출구 끝단부에 캡을 구비함으로써, 종래 식용유를 사용할 때 내용물이 필요 이상으로 배출되는 것과 이물질의 유입 및 마개의 개폐가 빈번하여 탄성편의 파손으로 인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위조 방지 캡과 보강테가 구비된 탄성편 및 원통형의 유출구를 갖는 식용유 용기 마개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식용유 용기 마개{bottle cap structure for food oil}
본 고안은 식용유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위조 방지 및 탄성편의 보강과 내용물을 정량 배출 할 수 있도록 보강테가 형성된 탄성편과 축 방향으로 내경이 다른 유출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유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유출구 끝단부에 캡을 구비함으로써, 종래 식용유를 사용할 때 내용물이 필요 이상으로 배출되는 것과 이물질의 유입 및 마개의 개폐가 빈번하여 탄성편의 파손으로 인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위조 방지 캡과 보강테가 형성된 탄성편 및 원통형의 유출구를 갖는 식용유 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쓰이는 식품 용기는 유리나 기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병 모양의 몸체와 플라스틱의 마개부로 구성되어 있다. 마개는 용기 몸체에 연결되는 방식에 따라 나사산을 몸체와 마개에 각각 형성하여 회전시키면서 체결하는 스크류식과, 일정 탄성을 갖고 있는 합성 수지재의 마개를 경질의 몸체에 끼워 맞추는 삽입식으로 나눌 수 있다. 생산 현장에서는 조립의 간편화와 제작비용의 절감을 위해 후자의 삽입식을 많이 채택하고 있다.
또한 액체상의 식용 물질이나, 분말, 조리물, 기타의 내용물을 저장하는 용기는 유통도중 내용물에 타 물질을 희석하거나 바꿔치는 등의 위조를 당하기 쉽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액체 용기 마개의 사시도로서 그림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몸체에 결합되는 하부 구조체(200)와, 탄성편(300)으로 연결되는 상부 구조체(100)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구조체(100)와 하부 구조체(200), 그리고 탄성편(300)은 연질 플라스틱 재질로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탄성편(300)은 재질의 특성상 탄성 회동하여 별도의 힌지 구조를 취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부 구조체(100)는 개방할 때 힘을 가할 수 있도록 걸림턱(102)이 끝단에 구비되며, 하부 구조체(200)는 상부면에 절취선을 갖고 있는 절취막(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이는 제품의 초기 출하시 유통 과정 중에 내용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가 절취막을 제거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절취막은 상방 수직으로 절취구(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고, 이 절취구는 다시 링 타입의 절취 고리(20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는 손가락을 절취 고리(203)에 끼워 바깥 방향으로 힘을 가해 절취막을 떼어 내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절취막을 제거한 후 토출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용기를 기울임으로써 내용물이 토출구(101)를 따라 흘러 나올 수 있게 되며, 여기에서 토출구(101)를 구비하는 이유는 내용물이 입구 주위에 묻어 낭비를 초래하는 것을 막고자 함이다. 토출구(101) 입구 주위에서 흘러내리는 액체 내용물은 다시 토출공을 거쳐 용기내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따른 식품 용기 마개는 토출구(101)의 직경이 마개의 본 몸체와 일치할 만큼 큰 관계로 내용물을 따를 때에 그 양을 조절하기가 어려웠다. 이런 문제로 인해 내용물이 점성이 적은 액체인 경우에는 한꺼번에 많이 쏟아지게 되고 내용물이 나올 때에 굴럭거리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절취 고리(203)가 토출구(101) 내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토출구(101)의 형태는 원형으로만 제작하도록 제한되어 형태가 단순하여 토출구(101)의 형상을 변화시키기가 어려웠다. 또한 절취 고리(203)가 토출구(101) 내부에 있음으로하여 토출구(101)의 크기가 사용자가 손가락을 집어넣어 절취 고리(203)를 잡을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하므로 토출구(101)의 크기를 최소 지름(약 13 mm) 이하로 하기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부득이하게 내용물의 특성에 따라 토출구의 크기를 작게 설계하여야 할 경우에는 토출공을 절취막으로 밀폐하지 않거나 탄성편(300) 연결 방식을 취하지 않고 스크류 형태의 마개로 설계하는 등 이중의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위조 방지를 위한 캡과 내용물을 정량으로 배출하는 것과 동시에 깔끔하게 뒷마무리가 되도록 내경이 큰 1차 유출공과 내경이 작은 2차 유출공이 형성된 유출구가 반원형의 반구형체부에 결합되며, 보강테가 대향되게 형성된 탄성편을 구비함으로써, 용기의 유통 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축 방향으로 내경이 다른 유출공을 구비하여 내용물의 유동을 조절하여 정량 배출과 깔끔한 뒷 마무리 및 빈번한 개폐에도 탄성편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의 입구측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하부 구조체 및 상기 하부 구조체에 스냅식으로 결착가능한 상부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유체용 용기의 마개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하부 구조체의 상단 중앙부에 반구체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반구체 형상부 표면의 1개 지점에 관통공이 형성된 반구형체부, 상기 반구형체부의 상기 관통공 내측 및 외측에 그루브가 형성되어 연장되는 유출공이 형성되고 외주부로 단턱과 걸림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유출구, 및 상기 유출구 끝단을 차폐하도록 부분 결착된 원판형 캡을 포함하여 달성되며 특히, 상기 유출공은 내경이 큰 1차 유출공 부분과 내경이 작은 2차 유출공 부분으로 형성된 것과 용기의 입구측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하부 구조체 및 상기 하부 구조체에 스냅식으로 결착가능한 상부 구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및 하부 구조체를 연결시키는 탄성 연결부를 구비하는 유체용 용기의 마개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부 외주면의 중앙부 양쪽이 안쪽으로 만입된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만입된 곡선 형상의 테두리 부분에 폭이 더 두꺼운 보강테가 띠 모양으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탄성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식용유 용기 마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식용유 용기 마개의 유출구를 확대 단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용유 용기 마개의 일측이 절단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식용유 용기 마개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식용유 용기 마개의 탄성편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식용유 용기 마개의 배면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 구조체 11 : 걸림턱
20 : 하부 구조체 21 : 반구형체부
30 : 유출구 31 : 단턱
32 : 걸림부 33 : 유출공
33a : 1차 유출공 33b : 2차 유출공
40 : 캡 50 : 탄성편
51 : 보강테 60 : 돌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식용유 용기 마개의 유출구를 확대 단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크게 축 방향으로 내경이 다른 1차 유출공(33a)과 2차 유출공(33b)이 관통되고 외주부로 단턱(31)과 걸림부(32)가 형성된 원통형의 유출구(30)와 상기 유출구(30) 끝단에 원판형 캡(40)이 부분 결착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본 고안의 식용유 용기 마개의 일측이 절단된 것을 나타낸 첨부도면 도 3과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몸체에 결합되는 하부 구조체(20)와 탄성편(50)으로 연결되는 상부 구조체(10)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구조체(10)와 하부 구조체(20), 그리고 탄성편(50)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탄성편(50)은 재질의 특성상 탄성 회동하여 별도의 힌지 구조를 취하지 않아도 되며 상부 구조체(10)는 개방할 때 힘을 가할 수 있도록 걸림턱(11)이 끝단에 구비된다. 상기 하부 구조체(20)의 축 방향으로 일측이 경사지게 관통된 반원형의 반구형체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반구형체부(21)에 끼워맞춤으로 결합되며 축 방향으로 내경이 서로 다른 1차 유출공(33a)과 2차 유출공(33b)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외주부로 상기 반구형체부(21)와의 접촉으로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단턱(31)과 걸림부(32)가 형성된 원통형의 유출구(30)와 상기 유출구(30) 끝단에 떼어내서 사용하는 원판형 캡(40)이 부분 결착되고 상기 하부 구조체(20)에 형성된 탄성편(50)의 하단으로 일정두께를 가지는 돌기(60)가 구비된다.
이때 1차 유출공의 내경은 크게하고 2차 유출공의 내경은 작게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며, 사용 후 뒷마무리를 깔끔하게 하고, 상기 유출구에 구비된 캡은 이물질의 유입을 막고 위조 방지의 역할을 하며, 탄성편에 형성된 보강테는 파손을 방지하여 마개의 개폐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돌기는 식용유 용기에 마개를 결합하는 작업공정에서 일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높여주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 과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식용유 용기 마개의 탄성편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식용유 용기 마개의 배면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반구형체부(21)와 이 반구형체부에 일측으로 결합된 유출구(30)와 유출구의 끝단에 캡(40)이 구비되어 용기 몸체에 결합되는 하부 구조체(20)와 탄성편(50)으로 연결되는 상부 구조체(1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부 구조체(10)와 하부 구조체(20), 그리고 탄성편(50)은 확대된 도면에서와 같이 끝단으로 갈 수록 폭이 두꺼워지고 외주부가 곡선처리된 보강테(51)가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50)의 하단으로 용기의 마개를 결합하는 공정에서 일정한 위치에 결합되도록 하기위해 돌기(6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식용유 용기 마개에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두께를 가지며 하부 구조체에 형성된 반구형체부와 이 반구형체부의 일측에 경사지게 결합되며 축 방향으로 유출공이 관통되고 외주부로 단턱과 걸림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 끝단에 부분 결착된 원판형 캡이 구비되고, 상기 유출공은 내경이 다른 1차 유출공과 2차 유출공으로 형성되며 용기 몸체에 결합되는 하부 구조체와 상부 구조체는 외주부로 곡선 처리되고 대향되게 보강테가 형성된 탄성편을 실시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며, 사용 후 뒷마무리를 깔끔하게 하고, 상기 유출구에 구비된 캡은 이물질의 유입을 막고 위조 방지의 역할을 하며, 탄성편에 형성된 보강테는 파손을 방지하여 마개의 개폐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돌기는 식용유 용기에 마개를 결합하는 작업공정에서 일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작업의 효율을 높여주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3)

  1. 용기의 입구측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하부 구조체 및 상기 하부 구조체에 스냅식으로 결착가능한 상부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유체용 용기의 마개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하부 구조체(20)의 상단 중앙부에 반구체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반구체 형상부 표면의 1개 지점에 관통공이 형성된 반구형체부(21),
    상기 반구형체부(21)의 상기 관통공 내측 및 외측에 그루브가 형성되어 연장되는 유출공(33)이 형성되고 외주부로 단턱(31)과 걸림부(32)가 형성된 원통형의 유출구(30), 및
    상기 유출구(30) 끝단을 차폐하도록 부분 결착된 원판형 캡(40)
    을 포함하며, 내용물의 유출 또는 유입을 상기 원판형 캡이 방지 및 보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용기의 마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33)은 내경이 큰 1차 유출공(33a) 부분과 내경이 작은 2차 유출공(33b) 부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용기의 마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구조체가 탄성 연결부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탄성 연결부 외주면의 중앙부 양쪽이 안쪽으로 만입된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만입된 곡선 형상의 테두리 부분에 폭이 더 두꺼운 보강테(51)가 띠 모양으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탄성편(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 용기의 마개.
KR2020000019988U 2000-07-12 2000-07-12 식용유 용기 마개 KR2002179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988U KR200217935Y1 (ko) 2000-07-12 2000-07-12 식용유 용기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988U KR200217935Y1 (ko) 2000-07-12 2000-07-12 식용유 용기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935Y1 true KR200217935Y1 (ko) 2001-03-15

Family

ID=73086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988U KR200217935Y1 (ko) 2000-07-12 2000-07-12 식용유 용기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9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305U (ko) 2014-12-24 2016-07-04 대상 주식회사 용기용 힌지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305U (ko) 2014-12-24 2016-07-04 대상 주식회사 용기용 힌지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86024B1 (en) Closure with dual hinge means
EP1697225B1 (en) Push-pull container closure
US6264051B1 (en) Bottle closure assembly
US4387819A (en) Sealing means for a snap-on fitment
AU2012341130B2 (en) Tamper evident closure
US20030127467A1 (en) Closure having rotatable spout and axially movable stem
JP6307599B2 (ja) 切断要素を有するキャップ
JP6177791B2 (ja) 膜および膜を備える首部
US9908669B2 (en) Anti-glug device for liquid containers and pour spouts
KR200217935Y1 (ko) 식용유 용기 마개
JP4916806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
US3802027A (en) Plastic closure bushing
WO2008017310A1 (fr) Capuchon de fermeture pour bague standard de goulot
CN216233849U (zh) 一种饮料瓶盖
US20200339312A1 (en) Plastic closure part with severable membrane
EP3296222A1 (en) A cap for a food package
WO2021142228A1 (en) Selective flow cohesive streaming caps
JP4929627B2 (ja) キャップ
KR200217946Y1 (ko) 오일상 액체용 용기
KR200354366Y1 (ko) 공기 유입이 원활한 음료용 팩
WO2018054844A1 (en) A spout for a food package
KR200174978Y1 (ko) 액체 식품 용기의 뚜껑 (cap of container for a liquid food)
JP2013086824A (ja) 改ざん防止キャップ
KR101304492B1 (ko) 흘림방지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뚜껑을 구비하는 유체보관용기
KR200228291Y1 (ko) 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