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826Y1 - 바르는 약물용기 - Google Patents

바르는 약물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826Y1
KR200217826Y1 KR2020000028497U KR20000028497U KR200217826Y1 KR 200217826 Y1 KR200217826 Y1 KR 200217826Y1 KR 2020000028497 U KR2020000028497 U KR 2020000028497U KR 20000028497 U KR20000028497 U KR 20000028497U KR 200217826 Y1 KR200217826 Y1 KR 2002178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ball member
contact ball
container body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만
Original Assignee
한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만 filed Critical 한재만
Priority to KR2020000028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8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8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826Y1/ko

Links

Landscapes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르는 약물용기에 관한 것으로, 속이 빈 내부로 약물이 채워지고 그 선단부에는 구형단면의 일부형상을 갖는 헤드(11)가 구비된 용기체(10)와;
상기 용기체(10)의 헤드(11)에 끼워지는 구형상의 접촉볼부재(20)와;
이 접촉볼부재(20)를 보호하기 위해 용기체(10)에 결합되는 캡(30)으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환부에 접촉되는 부위에 접촉볼부재(20)가 구름 동작되며 약물을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므로써, 그 촉감이 우수하고, 출구부를 접촉볼부재(20)가 차단하고 있으므로서 약물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하여 경제성이 향상된다.
또, 접촉볼부재(20)의 구름동작으로 약물이 공급되므로 피부에 접촉시킨 상태로 약물을 바를 때 강한 누름 동작이 불필요하여 환부 통증이 없고, 그 조작성이 편리하여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바르는 약물용기{A medicing apply anoint ment an instrument receptacle}
본 고안은 바르는 약물용기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물이 무리하게 넘치지 않고 정량씩 공급될 뿐만 아니라 그 촉감이 우수하고 약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로서 물파스 등과 같은 약물은 피부에 직접 접촉시킨 상태로 바르게 된다.
종래 바르는 약물용기의 약물 출구부에는 타물체 접촉시 개방되는 노즐과 이 노즐의 공급부를 스폰지 및 해면재와 같은 쿠숀패드로 덮어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약물을 피부에 바르기 위해서는 비교적 강한 힘으로 접촉시킨 상태로 누르게 되면 출구부 노즐이 개방되어 약물이 쿠숀패드에 일차적으로 공급되고, 이 쿠숀패드가 접하는 피부에 약물이 도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바르는 약물의 출구부에 스폰지 및 해면재로 된 쿠션패드에 항상 약물이 묻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 접촉될 때 그 약물을 공급시키기 위하여는 노즐을 개방시키기 충분한 압력을 얻기 위해 강하게 피부를 압박해야만 된다.
따라서, 그 이용자는 용기를 잡고 강하게 누르는 힘과 적당히 환부를 고르게 바르게 하기 위한 움직임 동작을 이중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조작이 불편하고 환부에 통증을 느끼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비교적 큰 부피를 차지하고 있는 쿠숀패드에는 약물이 충분히 공급되어 있어야 하므로, 환부에 약물을 바르고 난 후에도 항상 많은 양의 약물이 남게 되고, 다음 이용시 까지 보관하는 과정에서 그 약물이 증발되거나 변질되어 약효를 상실하므로써, 약물 낭비가 매우 많았다.
그리고, 약물 공급을 위해 환부에 강하게 용기를 누르는 과정에서 노즐이 과도하게 개방되어 액상의 약물이 흘러 버리는 등 비 경제적인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환부에 약물을 바를 때의 촉감이 우수하여 상품성이 향상된 바르는 약물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약물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하여 경제성이 향상된 바르는 약물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에 접촉시킨 상태로 약물을 바를 때 강한 누름 동작이 불필요하여 통증을 없애고, 그 조작성이 편리하여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바르는 약물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캡이 분리된 상태의 일부절결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캡이 밀폐된 상태의 일부절결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2의 'A'부 확대도
*본 고안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체 11 - 헤드
20 - 접촉볼부재 30 - 캡
31 - 압착돌기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속이 빈 내부로 약물이 채워지고 그 선단부에는 구형단면의 일부형상을 갖는 헤드(11)가 구비된 용기체(10)와;
상기 용기체(10)의 헤드(11)에 끼워지는 구형상의 접촉볼부재(20)와;
이 접촉볼부재(20)를 보호하기 위해 용기체(10)에 결합되는 캡(30)으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환부에 접촉되는 부위에 접촉볼부재(20)가 구름 동작되며 약물을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므로써, 그 촉감이 우수하고, 출구부를 접촉볼부재(20)가 차단하고 있으므로서 약물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하여 경제성이 향상된다.
또, 접촉볼부재(20)의 구름동작으로 약물이 공급되므로 피부에 접촉시킨 상태로 약물을 바를 때 강한 누름 동작이 불필요하여 환부 통증이 없고, 그 조작성이 편리하여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바르는 약물용기의 캡(30)과 용기체(1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용기체(10)의 선단에 구형단면의 접촉볼부재(20)가 결합된 상태를 캡(30) 분리상태로 일부절결하여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캡(30)이 용기체(10)에 나사 결합된 상태이며, 도 4는 도 2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 용기체(10)는 대체적으로 긴 봉형 상으로 속이 빈 내부로 약물이 채워지고 그 선단부에는 구형단면의 일부형상을 갖는 헤드(11)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이 용기체(10)의 헤드(11)에는 구(球) 형상의 접촉볼부재(20)가 구름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접촉볼부재(20)는 그 표면에 피부에 접촉할 때 미끄럼을 방지함과 아울러, 용기체(10)의 내부에 채워진 약물이 적당히 묻어질 수 있도록 미세한 홈들이 불규칙하게 파여진다.
그리고, 이 접촉볼부재(20)를 일부 감싸지게 하는 헤드(11)는 접촉볼부재(20)의 중심부 상, 하단을 지지하게 되므로써, 이탈이 방지되고, 용기체(10)를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액상의 약물이 접촉볼부재(20)에 묻혀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피부에 접촉볼부재(20)가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면 접촉볼부재(20)가 구르게 된다.
따라서, 약물이 묻혀진 부위가 구르며 피부에 약물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며 피부 접촉으로 약물이 묻혀진 부위는 용기체(10)의 내부로 구름 이동되어 새로운 약물이 묻혀지는 과정을 계속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용기체(10)의 내부에 채워진 약물이 단지 구형의 접촉볼부재(20)가 구름 회전하는 것에 의해 피부에 공급될 수 있으므로 강하게 누른 접촉압력이 불필요하여 환부에 통증을 주지 않게 된다.
또, 용기체(10)의 출구를 접촉볼부재(20)가 긴밀하게 적당한 탄성 압력으로 헤드(11)가 지지하고 있으므로 약물이 흘러 낭비되는 경우도 없다.
한편, 상기 용기체(10)는 나사부(12)가 형성되어 캡(30)으로 나사 체결토록 하여 접촉볼부재(20)를 보관시 보호하게 되는데, 이 캡(30)의 내측 상부에는 압착돌기(31)가 돌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캡(30)을 나사 체결하는 과정에서 압착돌기(31)가 접촉볼부재(20)의 정상부 부근에 접촉되어 눌러지게 하므로써, 피부에 약물을 바르지 않는 보관시에는 접촉볼부재(20)가 후퇴되어 용기체(10)의 약물출구부를 강하게 밀착되며 밀폐시키는 결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뒤집어 진 상태로 흔들거나 하여도 약물이 샐 염려가 전혀 없고, 증발되지도 않게 밀폐되므로 장시간 보관하여도 약물의 성질이나 양이 변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환부에 접촉되는 부위에 접촉볼부재(20)가 구름 동작되며 약물을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므로써, 그 촉감이 우수하고, 출구부를 접촉볼부재(20)가 차단하고 있으므로서 약물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하여 경제성이 향상된다.
또, 접촉볼부재(20)의 구름동작으로 약물이 공급되므로 피부에 접촉시킨 상태로 약물을 바를 때 강한 누름 동작이 불필요하여 환부 통증이 없고, 그 조작성이 편리하여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속이 빈 내부로 약물이 채워지고 그 선단부에는 구형단면의 일부형상을 갖는 헤드(11)가 구비된 용기체(10)와;
    상기 용기체(10)의 헤드(11)에 끼워지는 구형상의 접촉볼부재(20)와;
    이 접촉볼부재(20)를 보호하기 위해 용기체(10)에 결합되는 캡(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르는 약물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30)의 내측 상부에는 압착돌기(31)가 돌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르는 약물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볼부재(20)는 그 표면에 피부에 접촉할 때 미끄럼을 방지함과 아울러, 용기체(10)의 내부에 채워진 약물이 묻어질 수 있도록 미세한 홈들이 불규칙하게 파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르는 약물용기.
KR2020000028497U 2000-10-10 2000-10-10 바르는 약물용기 KR2002178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497U KR200217826Y1 (ko) 2000-10-10 2000-10-10 바르는 약물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497U KR200217826Y1 (ko) 2000-10-10 2000-10-10 바르는 약물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826Y1 true KR200217826Y1 (ko) 2001-03-15

Family

ID=73058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497U KR200217826Y1 (ko) 2000-10-10 2000-10-10 바르는 약물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8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147A (ko) * 2001-10-15 2001-11-14 한재만 액상물 도포용기
KR100434521B1 (ko) * 2001-10-15 2004-06-12 한재만 액상물 도포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147A (ko) * 2001-10-15 2001-11-14 한재만 액상물 도포용기
KR100434521B1 (ko) * 2001-10-15 2004-06-12 한재만 액상물 도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5091Y1 (ko) 내용물출구 개폐가 가능한 화장품 용기
US20070217860A1 (en) Tube-shaped cosmetic container for discharging cream-type cosmetics
JP2738516B2 (ja) アプリケータ装置
US20060222445A1 (en) Dispenser head for fluid container
CA2357365A1 (en) Back lotion applicator
WO2008072823A1 (en) A dispenser container provided with an applier
WO1989005695A1 (en) Liquid applicator
US6805510B2 (en) Cosmetic powder applicator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0217826Y1 (ko) 바르는 약물용기
KR200262434Y1 (ko) 메니큐어
CA2117700C (en) Cleaning assembly
JP6383052B1 (ja) 化粧料容器
JP2000116434A (ja) 塗布具付容器
JPS635621Y2 (ko)
KR100586795B1 (ko) 매니큐어
JP4808372B2 (ja) 粘性体塗布容器
JP3239464U (ja) 化粧品容器
KR200270345Y1 (ko) 화장솔
KR200220247Y1 (ko) 오토 매니큐어
KR200218694Y1 (ko) 화장용크림용기
KR200173620Y1 (ko) 매니큐어용기
KR200370149Y1 (ko) 화장용 분첩
KR102321367B1 (ko) 치약통이 달린 휴대용 칫솔
KR200260197Y1 (ko) 메니큐어 겸용 세척액 용기
JP3098992U (ja) 芳香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