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263Y1 - 헤드이동방식 자동소인기 - Google Patents

헤드이동방식 자동소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263Y1
KR200217263Y1 KR2020000027530U KR20000027530U KR200217263Y1 KR 200217263 Y1 KR200217263 Y1 KR 200217263Y1 KR 2020000027530 U KR2020000027530 U KR 2020000027530U KR 20000027530 U KR20000027530 U KR 20000027530U KR 200217263 Y1 KR200217263 Y1 KR 2002172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plate
support
frame
sweep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5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호
Original Assignee
한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호 filed Critical 한종호
Priority to KR20200000275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2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2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263Y1/ko

Links

Landscapes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드이동방식 자동소인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자동소인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되 일단이 프레임 내부에 축결합되고, 타단이 프레임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용지가 적재되도록 된 안착판, 안착판의 상측으로 설치되되 안착판의 횡방향으로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된 동력으로 이송되도록 된 이송수단, 이송수단으로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이송장치에 결합되어 안착판에 안착된 용지에 천공을 통한 완전소인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소인돌기를 가진 소인롤러, 안착판에 안착된 용지에 대한 소인시 안착판이 소인롤러와의 인접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안착판의 하측에 마련된 지지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횡방향 자동소인기는 증지, 인지, 우표소인, 등기말소, 민원서류폐기, 인증서류폐기, 수표폐기, 또는 책자 등을 소인할 때 종래 수동으로 용지에 대한 소인만을 수행하도록 하던 것을 소인 및 소인돌기가 함께 자동적으로 소인장치에 안착된 용지에 대한 소인이 횡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소인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또한 소인 오류 및 위조방지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인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자동소인이 가능함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 수동작업에 의한 소인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이동방식 자동소인기{Head moving type automatic canceling stamping machine}
본 고안은 소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류 등을 폐기를 위하여 소인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자가 서류를 안착시키면 소인헤드가 자동적으로 이동되면서 천공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완전소인을 실시하도록 한 헤드이동방식 자동소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인기(消印機)는 증지, 인지, 우표소인, 등기말소, 민원서류폐기, 인증서류폐기, 수표폐기 등을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소인기는 작업자가 인장 등이 형성된 소인구조를 가진 소인기를 사용하여 우편물마다 일일이 수작업으로 소인작업을 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소인작업을 하여야 할양이 많은 경우에 소인작업 효율이 상당히 낮은 문제점이 있다.
즉, 하나의 문서의 소인시 소인기를 문서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밀어서 소인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한번에 한 장씩 소인이 이루어지지 못한다. 따라서 다량의 소인작업 필요시 또는 별도의 작업을 함께 진행할 경우 최소한의 주위와 행동으로 소인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그 작업효율이 떨어지게 되었다. 더욱이 책자 등을 소인할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일일이 각각의 장을 넘기면서 소인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인작업시간과 효율이 극히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자가 소인을 위한 용지를 소인기에 안착시키면 소인헤드가 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천공을 통해 완전소인작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책자 등을 소인할 경우 보다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소인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자동소인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소인기를 보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소인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소인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소인기의 안착판을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소인기의 소인헤드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소인기의 최초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소인기의 작동중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소인기의 작동후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프레임
40...안착판
50...구동모터
100...소인장치
200...이송수단
300...동력전달수단
400...승강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헤드이동방식 자동소인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프레임 내부에 축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용지가 적재되도록 된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상측으로 설치되되 상기 안착판의 횡방향으로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된 동력으로 이송되도록 된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으로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상기 이송장치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판에 안착된 용지에 천공을 통한 완전소인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소인돌기를 가진 소인롤러, 상기 안착판에 안착된 용지에 대한 소인시 상기 안착판이 상기 소인롤러와의 인접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안착판의 하측에 마련된 지지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일단과 중간부가 베어링 지지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을 지지하는 이송브라켓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으로 회전하는 지지축과, 일단이 상기 지지축의 외주 측에 치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봉의 이송 종지점의 위치에 치합 설치되되 상기 이송브라켓과 결합된 이송 타이밍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지지축 사이에 치합 설치된 동력전달벨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안착판 하측에 일단이 축결합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측에 플런저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을 소정폭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이동방식 자동소인기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자동소인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성요소들이 결합되는 프레임(30)과 이 프레임(30)의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를 구비한다.
이 프레임(30)에는 전방 측으로 연장되어 소인이 이루어지는 용지가 안착되는 안착판(40)이 설치된다. 이 안착판(40)은 프레임(30) 내부에 내측단부가 축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안착판(40)의 상측으로는 소인이 이루어지는 소인헤드(100)가 설치되고, 이 소인헤드(100)가 안착판(40)의 좌우로 구동하도록 하는 이송수단(200)이 설치되며, 이 이송수단(200)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300)이 마련된다. 그리고 동력전달수단(300)을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는 구동모터(50)가 프레임(30)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0)은 양 측벽(31)이 형성되고, 이 양 측벽(31)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장착되되 프레임(30)의 바닥측과 소정간격 이격된 지지부(32)를 구비한다. 이 지지부(32)는 프레임(30)의 전방 측으로 위치하며 좌우 장공(35)이 형성된 제 1지지판(33)과 이 제 1지지판(33)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프레임(30)의 후방 측으로 위치한 제 2지지판(34)으로 되어 있다.
안착판(40)은 지지부(32)와 프레임(30)의 바닥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서의 안착판(40)의 상면에는 탄성재질의 바닥판(41)이 부착되어 있고, 용지의 안착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용지감지센서(42)가 중간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안착판의 내측단은 프레임 내부에 설치된 회동축(44)에 축결합되어 있고, 양측단부는 프레임(30)에 지지된 지지스프링(43)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어 있다.
이송수단(200)은 안착판(40)의 상측에 구현된 지지부(32)에 설치되는데. 이것은 안착판(40)의 상측에 전방 측으로 돌출한 제 1지지분(210)과 제 2지지분(220)을 구비하고 있고, 이 지지분(210)(220)들 사이로는 전방으로 노출된 자석(231)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의 제 1지지분(210)은 제 1지지판(33)을 관통하여 측방으로 연장된 장공(35)에 끼워져 있고, 제 2지지봉(220)은 제 1지지판(32)의 하측에 위치하여 있다.
그리고 이 지지봉(210)(220)들의 내측단에는 이송브라켓(230)이 마련되어 이 지지봉(210)(220)들을 결합 지지하고 있으며, 제 1지지봉(210)과 장공(35)사이에는 베어링(24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송브라켓(230)의 제 1지지판(33)과 접하는 면과 제 2지지판(34)과 접하는 면에도 베어링(240)이 설치되어 이송브라켓(230)이 좌우로 원활히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브라켓(230)의 상측으로는 이 이송브라켓(230)이 좌우 측으로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이송용 타이밍벨트(250)가 설치된다. 이 타이밍벨트(250)는 그 일측에 이송브라켓(230)이 고정 장착되어 있고, 일단으로 프레임(30)의 일단에 고정된 제 1지지풀리(260)에 감겨서 지지되어 있으며, 타단이 프레임(30)의 타단에 고정 설치된 제 2지지풀리(270)에 감겨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 2지지풀리(270)는 제 1지지판(33)에 일단이 접촉하여 베어링(240)에 지지되어 있으며 타단이 제 2지지판(234)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된 지지축(280)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의 제 2지지판(234)을 관통한 부분에도 베어링(240)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지지축(280)의 후단에는 제 3지지풀리(290)가 장착되어 있고, 이 제 3지지풀리(290)에는 동력전달수단(300)인 동력전달벨트(310)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 동력전달벨트(310)의 하단에는 구동모터(50)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50)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 4풀리(320)에 이 동력전달벨트(310)의 하단이 감겨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50)의 회전력은 동력전달벨트(310)를 통하여 지지축(280)으로 전달된 후 타이밍벨트(250)를 통하여 이송브라켓(230)으로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지지봉(210)(220)에는 이들에 함께 끼워지는 소인헤드(100)가 마련된다. 이 소인헤드(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방향이 개방되어 있고, 하측에는 소인롤러(110)가 장착되는 몸체(160)와 이 몸체(160)의 개방부분으로 결합되는 전면커버(102)를 구비한다.
이 몸체(160) 내부에 소인롤러(110)의 상측으로는 소인롤러(110)와 접하는 잉크롤러(150)가 장착된다. 여기서 잉크롤러(150)의 결합을 위하여 몸체(160)와 전면커버(102)에는 이들의 상호 결합시 축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축홈(161)(16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몸체(160)의 상측으로는 외관커버(101)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160)와 전면커버(102)의 앞뒤로는 장착브라켓(120)이 설치되도록 하는 전면판(104)과 후면판(103)이 각각 설치되며 장착브라켓(120)에는 두 개의 끼움홀(13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소인롤러(110)는 그 외주의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다단으로 된 다수의 소인돌기(1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소인돌기(140)들 사이에는 소인을 수행하는 관공서 등의 문양이 형성되어 문서에 대한 천공을 동시에 실시하는 완전소인작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안착판(40)의 하부에는 안착판(40)에 안착된 용지에 대한 소인이 이루어질 때 용지가 소인헤드(100)의 소인롤러(110)에 접할 수 있도록 안착판(40)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400)이 설치된다.
이 승강수단(400)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0)의 하부 전방 측으로 하단이 축결합되어 상단이 안착판(40)의 하면과 접하고 있는 지지브라켓(410)과 이 지지브라켓(410)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측으로 돌출 연장된 레버(4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레버(420)가 장착된 결합축(440)에 결합되어 그 플런저(431)가 축 결합되어 있는 솔레노이드(430)가 프레임(30)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헤드이동방식 자동소인기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최초 자동소인기의 동작상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를 온하여 외부 전원을 인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지를 안착판(40)에 안착시키면 안착판(40)에 있는 용지감지센서(42)는 용지의 안착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안착판(40)을 상향하여 위치시키고 동시에 작동 레버(420)를 내측으로 회동시켜 지지브라켓(410)이 안착판(40)의 하면을 지지하게 하면 솔레노이드(430)는 이 지지브라켓(410)의 회동상태를 지지하도록 동력이 가해져 플런저(431)가 작동레버(420)를 당긴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모터(50)가 동작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동력이 동력전달벨트(310)를 통하여 제 3풀리(290)로 전달되고, 이 제 3풀리(290)를 통하여 동력이 제 1풀리(260)가 설치된 지지축(28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타이밍벨트(250)는 구동력을 발휘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타이밍벨트(250)의 구동으로 타이밍벨트(250)에 결합된 이송브라켓(230)은 프레임(3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송되게 되며 이에 따라 지지봉(210)(220)에 결합된 소인헤드(100)는 용지 위를 지나면서 용지에 대하여 천공과 동시에 소인이 실시되는 완전소인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안착판(40)의 바닥은 탄성재질의 바닥판(41)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용지에 대한 소인롤러(110)과 소인돌기(140)가 함께 소인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소인작업이 완료된 후의 동작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안착판(40)에 안착된 소인된 용지 내지는 책자를 이탈시키면 용지감지센서(42)는 용지의 이탈을 감지하여 제어부(60)로 신호를 송신하게 되고, 제어부(60)는 이 신호를 받아 솔레노이드(430)에 가해지던 전류를 오프 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지를 이탈시키면 지지브라켓(410)은 안착판(40)의 상향 지지상태를 해제시키도록 전방 측으로 회동하여 안착판(40)이 하향 위치하도록 하고, 이때의 안착판(40)의 하향 동작은 지지스프링(40)에 의하여 유연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짐으로써 모든 소인작업이 종료되게 된다.
한편, 소인헤드(100)는 지지봉(210)(220)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게 된 것으로, 소인헤드(100)에 잉크를 공급한 후 수동으로도 소인작업이 가능하며, 또한 이 지지봉(210)(220)에 소인헤드(100)를 끼우면 소인헤드(100)의 장착브라켓(120)이 지지봉(210)(220)들 사이에 마련된 자석(231)에 부착됨으로써 그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헤드이동방식 자동소인기는 증지, 인지, 우표소인, 등기말소, 민원서류폐기, 인증서류폐기, 수표폐기, 또는 책자 등을 소인할 때 종래 수동으로 용지에 대한 소인만을 수행하도록 하던 것을 소인 및 소인돌기가 함께 자동적으로 소인장치에 안착된 용지에 대한 소인이 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완전소인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소인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또한 소인 오류 및 위조방지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인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프레임 내부에 축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용지가 적재되도록 된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상측으로 설치되되 상기 안착판의 횡방향으로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된 동력으로 이송되도록 된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으로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
    상기 이송장치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판에 안착된 용지에 천공을 통한 완전소인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소인돌기를 가진 소인롤러,
    상기 안착판에 안착된 용지에 대한 소인시 상기 안착판이 상기 소인롤러와의 인접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안착판의 하측에 마련된 지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이동방식 자동소인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일단과 중간부가 베어링 지지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을 지지하는 이송브라켓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으로 회전하는 지지축과, 일단이 상기 지지축의 외주 측에 치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봉의 이송 종지점의 위치에 치합 설치되되 상기 이송브라켓과 결합된 이송 타이밍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이동방식 자동소인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지지축 사이에 치합 설치된 동력전달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이동방식 자동소인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안착판 하측에 일단이 축결합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측에 플런저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을 소정폭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이동방식 자동소인기.
KR2020000027530U 2000-10-02 2000-10-02 헤드이동방식 자동소인기 KR2002172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530U KR200217263Y1 (ko) 2000-10-02 2000-10-02 헤드이동방식 자동소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530U KR200217263Y1 (ko) 2000-10-02 2000-10-02 헤드이동방식 자동소인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410A Division KR100360194B1 (ko) 2000-09-29 2000-09-29 헤드이동방식 자동소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263Y1 true KR200217263Y1 (ko) 2001-03-15

Family

ID=73058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530U KR200217263Y1 (ko) 2000-10-02 2000-10-02 헤드이동방식 자동소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2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8451B1 (en) Digital textile printing machine
KR20080088339A (ko) 프린터·플로터 장치
KR200217263Y1 (ko) 헤드이동방식 자동소인기
KR100360194B1 (ko) 헤드이동방식 자동소인기
JP2007297194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排紙装置
KR940009774A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공급기구
EP0945278A3 (en) Head loading device
JPS5855023Y2 (ja) 紙送り機構
JPS61248829A (ja) 位置決めストツパ付自動給紙装置
JPH04220374A (ja) 携帯用プリント装置
KR100810147B1 (ko) 인쇄기의 용지받침대 승강장치
EP1053886A2 (en) Stencil printer having carriage for guiding leading end of stencil sheet
KR100360195B1 (ko) 헤드고정방식 자동소인기
EP0865929A3 (en) Printer device with paper-shift control adaptable to different paper sizes
KR100268134B1 (ko) 자동 급지장치
JP4085556B2 (ja) 自動原稿読取装置
KR101051462B1 (ko) 급지부의 저판구동 동력전달장치
JP4332265B2 (ja) 孔版印刷機
KR100431422B1 (ko) 상호이동가능한레코드캐리어구동용롤러및프린팅디바이스를갖는장치
JP2021094841A (ja) 印刷装置
JPS5911961Y2 (ja) コレ−タ
JPH08244330A (ja) スタンプ機構
JPH0524528Y2 (ko)
KR20000008378U (ko) 사무용 기기의 급지 장치
JP2002103766A (ja) スタ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