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195Y1 - 세폭직기의 위사공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세폭직기의 위사공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195Y1
KR200217195Y1 KR2020000024322U KR20000024322U KR200217195Y1 KR 200217195 Y1 KR200217195 Y1 KR 200217195Y1 KR 2020000024322 U KR2020000024322 U KR 2020000024322U KR 20000024322 U KR20000024322 U KR 20000024322U KR 200217195 Y1 KR200217195 Y1 KR 2002171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lifting
bearing
weft
moto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영
Original Assignee
세화정밀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화정밀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화정밀기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4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1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1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195Y1/ko

Links

Landscapes

  • Loo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조부에 공급되는 위사의 텐션을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위사공급량을 제어하여 직조되는 세폭직물의 폭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세폭직기의 위사공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위사(Y)를 가압하는 한쌍의 상,하부디스크(1)(2)가 스프링(S) 탄력을 받도록 고정틀(3)상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상,하부디스크(1)(2)를 관통하는 고정구(4)에 위사공(4a)이 천공되며, 스프링(S)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구(5)가 구비된 세폭직기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5)를 일정간격으로 지지하는 가압틀(10); 가압틀(10)에 연결되어 상부에는 승강용 베어링(B)이 축설된 승강부재(20); 베어링(B)에 편심되게 모터축(31)이 연결되어 정,역회전하면서 승강부재(20)를 승강시키는 모터(30); 베어링(B)과 모터축(31)을 편심되게 연결하는 축연결부재(40); 모터축(31)의 양측에 설치되어 승강한계시 모터(30)를 제어하는 센서(S1)(S2); 모터축(31)에 고정되어 승강한계시 모터(30)를 정지시키도록 센서(S1)(S2)에 감지되는 감지판(50); 모터(30),센서(S1)(S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동제어하는 컨트롤박스(6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세폭직기의 위사공급 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lling weft supplying in ribbon loom}
본 고안은 폭이 좁은 세폭직물을 제직하는 세폭직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직조부에 공급되는 위사의 텐션을 조절하면서 위사공급량을 제어하여 직조되는 세폭직물의 폭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세폭직기의 위사공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폭직기는 신발끈,가방끈,묶음끈 등과 같이 폭이 좁은 세폭직물을 제직하는 것으로, 종래의 세폭직기에 있어서는 위사가 항상 일정한 장력으로 직조부에 공급되었기 때문에 직조시 위사공급량을 조절할 수 없어 세폭직물은 항상 일정한 폭으로만 제직된다.
이러한 종래의 세폭직기로 제직되는 세폭직물은 동일한 폭으로 제직되었기 때문에 디자인이 단순하고 신발끈,묶음끈으로 사용되는 경우 묶었을 때 쉽게 풀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디자인이 미려하고 또한 끈을 묶었을 때 쉽게 풀리지 않도록 세폭직물에 파형 등의 굴곡을 형성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세폭직물의 폭을 좁게 제직하는 세폭직물이 제공되었으나, 종래의 세폭직기로는 상기와 같이 굴곡지고 폭이 다른 세폭직물을 용이하게 직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직조부에 공급되는 위사의 텐션을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위사공급량을 제어하여 직조되는 세폭직물의 폭을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세폭직기의 위사공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스프링의 탄력으로 위사를 가압하는 한쌍의 디스크를 위사공이 천공된 고정구로 고정틀에 일정간격으로 지지시키고, 상기 스프링의 탄력을 조절하는 조절구를 가압틀에 지지시키되, 상기 가압틀의 상부에는 승강용 베어링이 축설된 승강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베어링에는 정,역으로 구동하면서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모터축을 편심되게 연결하며, 모터의 양측에는 승강한계를 감지하는 센서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모터축에는 승강한계시 모터를 정지시키도록 센서에 감지되는 감지판을 설치하며, 상기 모터,센서에는 이들을 자동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a,3b는 본고안에 따른 상,하부디스크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5a,5b는 도 4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해 직조된 세폭직물의 일예를 보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상부디스크 2 : 하부디스크
3 : 고정틀 4 : 고정구
4a : 위사공 5 : 조절구
6,5,8 : 볼트 10 : 가압틀
20 : 승강부재 21 : 슬라이드봉
22 : 연결바 23 : 승강판
23a : 설치공 24 : 가이드
30 : 모터 31 : 모터축
40 : 축연결부재 41 : 연결구
41a : 키홈 42 : 편심조절키
50 : 감지판 60 : 컨트롤박스
Y : 위사 S : 스프링
B : 베어링 S1,S2 : 센서
F : 프레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세폭직기의 위사공급 제어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위사(Y)를 가압하는 한쌍의 상,하부디스크(1)(2)가 스프링(S) 탄력을 받도록 고정틀(3)상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상,하부디스크(1)(2)를 관통하는 고정구(4)에 위사공(4a)이 천공되며, 스프링(S)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구(5)가 구비된 세폭직기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5)를 일정간격으로 지지하는 가압틀(10); 가압틀(10)에 연결되어 상부에는 승강용 베어링(B)이 축설된 승강부재(20); 베어링(B)에 편심되게 모터축(31)이 연결되어 정,역회전하면서 승강부재(20)를 승강시키는 모터 (30); 베어링(B)과 모터축(31)을 편심되게 연결하는 축연결부재(40); 모터축(31)의 양측에 설치되어 승강한계시 모터(30)를 제어하는 센서(S1)(S2); 모터축(31)에 고정되어 승강한계시 모터(30)를 정지시키도록 센서(S1)(S2)에 감지되는 감지판(50); 모터(30),센서(S1)(S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동제어하는 컨트롤박스(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상,하부디스크(1)(2)는 도 3a,3b에서와 같이 고정틀(3)을 관통하여 너트(N1)체결로 고정된 고정구(4)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이때 상부디스크(2)의 상부에는 와셔(W)가 장착되어 이 와셔(W)의 상부에 스프링 (S)이 탄설되고, 상,하부디스크(1)(2)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구(4)의 중앙으로는 위사(Y)가 끼워지는 위사공(4a)이 천공된다.
상기 조절구(5)는 고정구(4)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스프링(S)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이러한 조절구(5)는 가압틀(10)을 관통하여 너트(N2)(N3)체결로 고정된다. 따라서, 위사공(4a)내로 끼워져 직조부로 공급되는 위사(Y)는 상부디스크(1)가 누르는 가압정도에 따라서 그 위사장력이 조절되고, 이러한 위사장력에 따라 직조부로 공급되는 위사공급량이 조절된다.
상기 승강부재(20)는 가압틀(10)의 양측 상부에 연결되는 슬라이드봉(21)과, 슬라이드봉(21)의 상단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연결바(22)와, 상기 베어링(B)이 축설되는 설치공(23a)을 구비하여 연결바(22)에 볼트(6)로 연결되는 승강판(23)과, 프레임(F)의 양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드봉(21)을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24)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30)는 프레임(F)의 중앙 상부에 고정된 브래킷(32)에 설치되어 정,역회전이 가능하게 구동되는 것으로, 이러한 모터(30)는 센서(S1)(S2) 및 컨트롤박스(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통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모터(30)가 정,역으로 대략 180°정도 구동하면서 승강부재(20)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축연결부재(40)는 키홈(41a)을 구비하여 모터축(31)에 압입되는 연결구 (41)와, 상기 베어링(B)에 편심되게 볼트(7)로 연결되고 키홈(41a)내로 끼워져 볼트(8)로 고정되는 편심조절키(42)로 구성되며, 이때 편심조절키(42)를 조절하면 베어링(B)의 편심위치가 바뀐다. 따라서, 모터(30)를 구동시키면 축연결부재(40)를 통해 모터축(31)에 편심된 상태로 연결되는 베어링(B)은 편심회전운동을 하면서 승강부재(20)의 승강판(23)을 승강시키게 된다.
즉, 도 5a에서와 같이 모터축(3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베어링(B)도 편심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승강판(23)은 상승하고, 반대로 도 5b에서와 같이 모터축(31)이 반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베어링(B)도 편심된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승강판(23)은 하강하는 것이다.
상기 센서(S1)(S2)는 모터축(3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모터(30)가 구동하면서 승강부재(20)를 최대로 승강시킨 상태인 승강한계를 감지판(50)을 통해 감지하여 승강한계시 모터(30)를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것으로, 도 5a에서와 같이 감지판(50)이 시계방향으로 180°회전하여 센서(S2)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승강부재(20)가 최상부로 상승한 상태이며, 한편 도 5b에서와 같이 감지판(50)이 반시계방향으로 180°회전하여 센서(S1)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승강부재(20)가 최하부로 하강된 상태가 된다.
상기 컨트롤박스(60)는 프레임(F)의 일측에 설치되어 모터(30)를 자동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컨트롤박스(60)로 모터(30)를 자동제어하면서 제직되는 세폭직물의 폭을 임의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트롤박스(60)를 제어하여 모터축(31)에 설치된 감지판(50)을 도 5a에서와 같이 센서(S2)에 위치시키면 모터(30)가 정지된 상태에서 승강부재(20)는 최상부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는 종래와 같이 상부디스크(1)가 스프링(S)의 탄력으로 위사(Y)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는 위사장력을 도 3a와 같이 부여하므로 직조되는 세폭직물은 일정한 폭으로 제직된다.
다음,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컨트롤박스(60)를 제어하여 모터(30)를 구동시키면 모터축(31)은 도 5b에서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고, 이에 의해 축연결부재(40)를 통해 모터축(31)에 편심된 상태로 연결된 베어링(B)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승강부재(23)를 밑으로 하강시킨다.
밑으로 하강되는 승강부재(23)는 가압틀(10)을 동시에 밑으로 하강시키고, 이때 하강하는 가압틀(10)에 고정된 조절구(5)가 스프링(S)을 가압하고 이와 동시에 스프링(S)이 상부디스크(1)를 가압하여 누르기 때문에 위사공(4a)에 끼워져 직조부로 공급되는 위사(Y)에는 도 3b와 같이 평상시보다 큰 위사장력이 부여되므로 위사공급량이 작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직조되는 세폭직물의 폭은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컨트롤박스(60),센서(S1)(S2)를 통해 모터(30)를 자동제어하면서 위사(Y)를 가압하는 위사장력을 조절하여 직조부로 공급되는 위사공급량을 적절하게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도 6에서와 같이 다양한 폭을 가지는 세폭직물을 용이하게 제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b에서와 같이 감지판(50)이 180°회전하여 센서(S1)에 위치하게 되면 모터(30)가 정지하고, 이 상태에서는 승강부재(20)는 최하부로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직조부에 공급되는 위사의 텐션을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위사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직조되는 세폭직물의 폭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위사(Y)를 가압하는 한쌍의 상,하부디스크(1)(2)가 스프링(S) 탄력을 받도록 고정틀(3)상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상,하부디스크(1)(2)를 관통하는 고정구(4)에 위사공(4a)이 천공되며, 스프링(S)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구(5)가 구비된 세폭직기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5)를 일정간격으로 지지하는 가압틀(10); 가압틀(10)에 연결되어 상부에는 승강용 베어링(B)이 축설된 승강부재(20); 베어링(B)에 편심되게 모터축(31)이 연결되어 정,역회전하면서 승강부재(20)를 승강시키는 모터(30); 베어링 (B)과 모터축(31)을 편심되게 연결하는 축연결부재(40); 모터축(31)의 양측에 설치되어 승강한계시 모터(30)를 제어하는 센서(S1)(S2); 모터축(31)에 고정되어 승강한계시 모터(30)를 정지시키도록 센서(S1)(S2)에 감지되는 감지판(50); 모터(30),센서(S1)(S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동제어하는 컨트롤박스(60)를 포함하는 세폭직기의 위사공급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20)는 가압틀(10)의 양측 상부에 연결되는 슬라이드봉(21)과, 슬라이드봉(21)의 상단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연결바(22)와, 상기 베어링(B)이 축설되는 설치공(23a)을 구비하여 연결바(22)에 볼트(6)로 연결되는 승강판(23)과, 프레임(F)의 양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드봉(21)을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폭직기의 위사공급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연결부재(40)는 키홈(41a)을 구비하여 모터축(31)에 압입되는 연결구(41)와, 상기 베어링(B)에 편심되게 볼트(7)로 연결되고 키홈(41a)내로 끼워져 볼트(8)로 고정되는 편심조절키(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폭직기의 위사공급 조절장치.
KR2020000024322U 2000-08-28 2000-08-28 세폭직기의 위사공급 조절장치 KR2002171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322U KR200217195Y1 (ko) 2000-08-28 2000-08-28 세폭직기의 위사공급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322U KR200217195Y1 (ko) 2000-08-28 2000-08-28 세폭직기의 위사공급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195Y1 true KR200217195Y1 (ko) 2001-03-15

Family

ID=73087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322U KR200217195Y1 (ko) 2000-08-28 2000-08-28 세폭직기의 위사공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1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950B1 (ko) * 2016-11-08 2018-01-18 (유)이안지오텍 단섬유 부직포 및 그의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950B1 (ko) * 2016-11-08 2018-01-18 (유)이안지오텍 단섬유 부직포 및 그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57857A2 (en) Terry loop ratio control device
KR200217195Y1 (ko) 세폭직기의 위사공급 조절장치
KR100684110B1 (ko) 스텝핑모터를 이용한 분섬사기 구동장치
KR20050086363A (ko) 직기의 송출 장치
CN111424363B (zh) 织机柔性空间连杆支撑调整装置
GB2028386A (en) Weaving loom
JPH09209243A (ja) 織機の開口に通すべきよこ糸の荷重低減装置
JP2000508722A (ja) 織機のグリッパのグリッパクランプを開口するための装置
JP2006336183A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織機の織物製織装置
CN219218296U (zh) 一种纱线张力调整装置
EP0340824B1 (en) Device for taking up the cloth on weaving machines
KR100435037B1 (ko) 재봉 기구의 벨트 재료 공급장치
CN220394037U (zh) 一种针织面料生产用纱线喂入装置
CN218756326U (zh) 一种织机双边撑机构
CN219410075U (zh) 一种送经线装置
KR200231103Y1 (ko) 합성수지제 원사의 공급장치
EP1033427B1 (en) Adjustable fabric support for weaving looms
KR100987109B1 (ko) 압력식 바디 탈착 시스템을 구비한 직기
US4086942A (en) Weft feed tensioning device in looms having a stationary weft supply
KR890000387Y1 (ko) 메직테이프 직물기에 있어서 경사 공급단의 경사텐숀 자동 조절장치
KR800000220Y1 (ko) 세폭직기용변사 구동장치
KR200425678Y1 (ko) 스텝핑모터를 이용한 분섬사기 구동장치
GB2191788A (en) Yarn creel
KR200282249Y1 (ko) 세폭직물을 제직하는 세폭직기에 있어서, 위사장력조절용 실린더 레버장치
KR200189989Y1 (ko) 직조기의 오동작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