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169Y1 - 구명복 - Google Patents

구명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169Y1
KR200217169Y1 KR2020000021111U KR20000021111U KR200217169Y1 KR 200217169 Y1 KR200217169 Y1 KR 200217169Y1 KR 2020000021111 U KR2020000021111 U KR 2020000021111U KR 20000021111 U KR20000021111 U KR 20000021111U KR 200217169 Y1 KR200217169 Y1 KR 2002171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
life jacket
back plate
temperature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진
Original Assignee
정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진 filed Critical 정경진
Priority to KR2020000021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1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169Y1/ko

Link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상 및 수상에서 사용되는 구명복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발포성형 부력재를 사용하는 구명복의 대부분이 두텁고, 통기가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구명복의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 특히 기온이 높은 여름철의 경우에는 구명복을 착용하지 않거나 별도로 여름용 구명복을 따로 구입, 사용하여야 함으로 인해 많은 불편함과 경제적 부담, 그리고 해난사고 때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았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구명복(A) 내에 삽입, 부설되는 부력재(1)에 통기공(2)을 형성하여 인체에서 발생하는 땀이나 습기를 외부로 방출시키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구명복(A) 형태에 있어서 소매(4) 부분 및 등판(8) 부분을 분리, 착탈식으로 제작하여 외부 기온에 따라 소매(4)를 분리시키거나 등판(8) 부분을 접어 넣어서 체온조절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계절 및 기온에 상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명복(A)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구명복{Floatation clothing}
본 고안은 구명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외부 기온의 변화에 따른 형태 변경이 가능하고 통기공이 형성된 부력재를 사용한 구명복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종래 구명복은 크게 부력재의 성격에 따라 공기(=가스) 팽창식과 성형부력재 삽입식이 있으며,전자의 경우 평소 착용감은 좋으나 관리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 작동이 되지 않을 위험성이 있고, 또 이러한 관리상태를 수시로 확인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어 주로 비중이 낮은 폴리에틸렌(PE)이나 PVC, NBR, EVA 둥과 같은 성형발포 폼(foam) 부력재를 사용하여 구명복을 제작, 사용하고 있다.이러한 후자의 경우는 구명복 내부에 삽입, 부설된 성형 발포부력재의 대부분이 통기성이 부재하여 인체에서 발생하는 땀이나 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도 역시 유입되지 못하여 착용시 불쾌감과 체온상승을 유발시켜 특히 기온이 높은 곳에서의 사용에 많은 문제를 발생시켜 왔다.따라서 종래에는 구명복의 형태를 상하의 일체형, 상하의 분리형, 조끼형 등으로 별도 제작하여 사용하여 왔으나, 이는 상기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었고 기온 및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구명복을 별도로 구입, 보관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기존의 구명복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일소코자 하는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구명복에 통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기온의 높고 낮음에 따라 소매, 등판 부분을 자유롭게 착탈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구명복을 상시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한벌의 구명복으로 사계절 기온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명복을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정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부력재 및 이의 성형을 위한 프레스금형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소매부분을 구성을 설명키 위한 정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소매부분을 분리한 상태의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등판부분이 착탈, 접철된 후 등판주머니에 포지된 상태의 배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등판부분이 착탈, 접철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A:구명복
1:부력재 2:통기공
3:겉감 4:소매
5:프레스금형 6:천공돌기7:착탈수단 8:등판9:착탈수단 10:격납봉제선11:등판포지주머니 12:메쉬포13:어깨부분 14:허리부분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구명복(A)은 크게 2가지 요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첫째는 구명복(A)에 삽입, 부설되는 부력재(1)에 통기공(2)을 형성하여 근원적으로 통기성을 개선토록 하며, 둘째는 구명복(A)을 소매(4) 및 등판(8) 부분을 착탈식으로 제작하여 사용자가 외부 기온 및 사용용도에 따라 자유로이 형태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착용성을 높이는 것인바, 이를 이하의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구명복(A)에 삽입, 부설되는 부력재(1)에 다수의 통기공(2)을 형성하되, 상기 통기공(2) 형성을 위하여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천공돌기(6)를 가진 프레스금형(5)을 사용하여 프레스기 상에서 일정 압력을 가하여 판형을 찍는 것과 동시에 부력재(1)에 통기공(2)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통기공(2)의 크기 및 밀도는 용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것이며, 대체로 보다 많은 통기성이 요구될 경우는 약 10~20mm 정도 직경의 통기공(2)을 밀도가 높게 천공할 수 있으며, 방수 및 방한의 목적 등을 위하여 통기성을 작게 할 경우는 직경을 약 1~10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명복(A)을 구성하는 소매(4)가 부착되어 있는 재킷형 구명복(A)의 양쪽 어깨부분(13) 끝단에는 소매(4) 착탈용의 지퍼, 또는 벨크로, 스냅링 등과 같은 착탈수단(7)-도시한 예는 지퍼인 경우임-을 부착하여 도 4와 같이 소매(4)를 필요시 착탈가능토록 구성한다.
그리고 구명복(A)에는 또한 도 5와 같이 등판(8)의 안쪽 부분을 메쉬포(12) 및 웨빙벨트 등을 이용하여 일단 형태를 고정시키고, 도 4와 같이 등판(8) 부분을 부력재(1)가 들어갈 수 있도록 안감 및 겉감으로 이중으로 만들되, 구명복(A)의 크기에 따라 부력재(1)를 2~4등분하여 분할, 삽입시킬 수 있도록 격납봉제선(10)을 가로로 1~3개 정도 형성하고, 부력재(1)를 삽입한 후 삽입구를 밀봉하여 별도로 나누어진 부력재(1)가 유동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등판(8) 부분의 접철이 용이토록 한다.
그리고 등판(8) 부분의 하단(8b)은 구명복(A)의 허리부분(14)에 결합, 봉제하여 고정시키고, 등판(8) 부분의 상단과 이에 연결되는 등쪽 어깨부분(13)의 하단(13b)은 역시 지퍼, 벨크로, 스냅링 등과 같은 착탈수단(9)을 사용하여 착탈식으로 제작하여 필요에 따라 등판(8)의 상단부분(8a)을 착탈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격납봉제선(10)에 따라 접철하여 구명복(A)의 허리부분(14)에 별도로 제작하여 부착시킨 포지주머니(11)에 삽입,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상부가 분리된 등판(8) 부분을 고정시키고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신체의 등부위 대부분을 외기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높은 기온에서도 시원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구명복(A) 내부에 삽입, 부설되는 각종 발포성형 부력재(1)에 통기공(2)을 형성하여 구명복(A) 전체의 통기성을 높이고, 외부의 기온이나 용도에 따라 구명복(A)의 소매(4) 부분 및 등판(8) 부분을 자유로이 착탈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착용감을 높이고, 사용자가 사계절 항상 구명복(A)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재난이 발생했을 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한벌의 구명복(A)으로 사계절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것이다.

Claims (2)

  1. 성형발포 부력재(1)를 사용하는 구명동의, 구명조끼, 구명재킷 등과 같은 다양한 구명복(A)에 있어서;
    상기 부력재(1)에는 다수개의 통기공(2)을 형성하며,
    상기 구명복(A)을 구성하는 소매(4)와 등판(8)은 착탈수단(7)에 의해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등판(8)에는 분리된 소매(4)와 등판(8)을 수납할 수 있는 포지주머니(1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7)은 지퍼, 벨크로, 스냅링 중 선택하여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복.
KR2020000021111U 2000-07-24 2000-07-24 구명복 KR2002171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111U KR200217169Y1 (ko) 2000-07-24 2000-07-24 구명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111U KR200217169Y1 (ko) 2000-07-24 2000-07-24 구명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169Y1 true KR200217169Y1 (ko) 2001-03-15

Family

ID=73086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111U KR200217169Y1 (ko) 2000-07-24 2000-07-24 구명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1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188B1 (ko) 2003-01-31 2011-01-2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구명 조끼의 부력체
KR102163393B1 (ko) * 2019-06-24 2020-10-08 (주)플러크 구명복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188B1 (ko) 2003-01-31 2011-01-2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구명 조끼의 부력체
KR102163393B1 (ko) * 2019-06-24 2020-10-08 (주)플러크 구명복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2769A (en) Anti-exposure inflatable structure
US5584737A (en) Versatile safety device
US5184968A (en) Floatation swimwear
US6085353A (en) Ventilated garments
KR101218948B1 (ko) 분리된 스킨 드라이슈트
EP2888161B1 (en) Splash-resistant automatically inflatable flotation device
US6279162B1 (en) Safety protection garment
KR200217169Y1 (ko) 구명복
US6971935B1 (en) Flotation swimsuit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of
US5532037A (en) Waterproof collar connection device
KR101910905B1 (ko) 다기능 지퍼포켓이 구비된 지퍼 와이셔츠
KR20090018552A (ko) 구명조끼
JPS6350247Y2 (ko)
KR200331711Y1 (ko) 탈착식 구명자켓
JP2006348458A (ja) 上着
KR100783125B1 (ko) 구명복
EP0023430A1 (en) A safety garment
JPS6214086Y2 (ko)
JP4242625B2 (ja) 救命具付きの胸当てズボン
CN216393122U (zh) 充气保暖防溺功能服
CN216102712U (zh) 救生衣
KR960010280Y1 (ko) 구명튜브의 공기주입장비식별 및 사용이 용이한 구명복
JPS5937439Y2 (ja) 救命胴衣
KR850001131Y1 (ko) 구명용 상의
JP2002058405A (ja) 釣用救命胴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