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139Y1 - 적외발광소자2차광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적외발광소자2차광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139Y1
KR200217139Y1 KR2019950000481U KR19950000481U KR200217139Y1 KR 200217139 Y1 KR200217139 Y1 KR 200217139Y1 KR 2019950000481 U KR2019950000481 U KR 2019950000481U KR 19950000481 U KR19950000481 U KR 19950000481U KR 200217139 Y1 KR200217139 Y1 KR 200217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emitting device
secondary light
emit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04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609U (ko
Inventor
김성곤
Original Assignee
이중구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구,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중구
Priority to KR20199500004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139Y1/ko
Publication of KR9600276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6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139Y1/ko

Links

Landscapes

  • Focusing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카메라 측거 장치의 적외 발광소자 2차광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발광을 하기 위한 발광소자(1)와; 상기 발광소자의 2차광을 제거시키기 위한 2 차광 차단부재(12)와; 발광된 광을 평행한 빔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발광렌즈(3)로 구성되어, 2차광 차단부재(12)를 사용하여 2차광을 제거하여 적외 발광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동작상의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측거 장치의 적외 발광소자 2차광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측거 장치의 적외 발광소자 2차광 제거장치
제1도는 종래의 적외 발광소자의 구성도.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적외 발광소자 2차광 제거 장치의 구성도.
제3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적외 발광소자 2차광 제거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구성도.
제4도는 적외 발광소자의 주광과 2차광의 분포도.
제5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측거부의 발광부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광소자 2 : 발광칩
3 : 발광렌즈 11 : 기판
12 : 2차광 차단부재
이 고안은 카메라 측거 장치의 적외 발광소자 2차광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발광소자와 발광렌즈의 사이에 발광소자의 특성에 맞도록 간단한 장치를 하여 발광소자의 발광에 따른 2차광을 제거하는 카메라 측거 장치의 적외 발광소자 2차광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발광소자의 반사광을 수광 센서로부터 받아 반사체의 위치를 검지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방법을 이용한 것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의 카메라 측거장치의 구성은,
상기 발광소자(1)의 전면에 위치하여 측거용 광을 투사하기 위한 발광용 칩(2)과 발광용 칩(2)을 보호하기 위한 투명레진(4)과 상기 발광요 칩에 의해 발사된 투사광을 받아서 피사체로 전달해 주는 발광렌즈(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수광부의 구성은 발광부로부터 나와 피사체(5)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렌즈(9)와, 수광렌즈(9)로 부터의 광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센서(8)로 이루어 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종래 기술은 발광부에서의 중심 이외의 부근에서 발생하는 2차광(S2)으로 인하여 폭이 좁은 피사체에 대해서는 2차광에 의하여 피사체에서 반사되어 수광된 스팟이 크므로 인하여 측거부가 중심 판단을 잘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광소자(10)의 발광량을 낮추어 상대적으로 중심 광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주변의 2차광량의 레벨을 낮추므로 2차광의 영향을 감소시켜 측거의 정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먼거리 즉, 피사체의 거리가 멀어서 발광소자의 발광 량의 세기를 높일 필요가 있는 부분에서는 한계성을 지니게 된다. 즉, 광의 세기를 높이면 2차광의 세기도 비례적으로 높아져 이전의 문제점을 그대로 지니게 된다.
그러므로, 이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광소자의 전면에 사용되는 발광소자를 2차광이 발생하는 정도를 감안하여 그 부분을 차단함으로써 정도높은 측거장치의 발광소자를 지닌 카메라 측거 장치의 적외 발광소자 2차광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이 고안의 구성은
카메라와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거용 광을 발생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광을 수광하여 피사체에 투사시키는 발광렌즈와;
상기 발광소자와 발광렌즈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발광소자의 바로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소자의 중심 부분을 제외한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위치되어 상기 발광소자에 출력되는 광 중 중심광을 제외한 주변의 2차광을 제거하는 2차광 차단부재를 포함한다.
상기한 발광소자는 발광칩과 발광칩 전면에 있는 투명레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적외 발광소자 2차광 제거장치의 구성도이고, 제3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적외 발광소자 2차광 제거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제4도는 적외 발광소자의 주광과 2차광의 분포도이고, 제5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측거부의 발광부의 회로도이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적외 발광소자 2차광 제거장치의 구성은, 주광(S1)을 발생시키는 회로가 있는 기판(11)에 상기 기판(11)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발광을 하기 위한 발광소자(1)가 붙어 있고 발광소자 내부에는 발광칩(2)이 있으며, 상기 발광소자(1)의 2차광을 제거시키기 위한 2차광 차단부재(12)가 발광소자(1) 투명레진(4)의 상단과 하단 방향으로 붙어 있고, 발광된 주광(S1)을 평행한 빔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발광렌즈(3)가 우측 끝단에 위치한 구조로 이루어 진다.
상기한 발광렌즈(3)는 발광소자(1)로부터의 광을 수광하여 투사하기 위하여 발광소자(1)의 전면에 위치한 발광칩(2)을 감싸는 투명레진(4)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한 발광렌즈(3)와 발광소자(1)를 체결하는 하우징이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참고로 카메라 측거부의 발광부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는 카메라 측거부의 발광부의 회로도이다.
제5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카메라 측거부의 발광부의 구성은.
카메라의 릴리즈 스위치(51)에 제어부(52)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 (52)에 오토 포커스부(53)와 발광회로(55)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발광회로(55)의 구성은,
2차광을 제거한 발광을 하기 위한 발광소자(54)와;
발광칩(2) 동작용인 제2트랜지스터(Q2)와,
제2트랜지스터(Q2) 동작용인 제1트랜지스터(Q1)와;
제1트랜지스터(Q1) 바이어스 저항인 제1저항(Rl)과;
제2트랜지스터(Q2) 베이스 전류제한 저항인 제2저항(R2)과;
발광칩(2) 전류량 검지저항인 제3저항(R3)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카메라 측거부 발광부의 동작에 의해 광이 발생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릴리즈 스위치(S1)를 누르면 제어부(52)에 의해 작동시작 신호가 출력된다.
작동시작 신호가 들어오면 발광칩(2) 구동단자에서 신호가 출력되어 제1 트랜지스터(Q1)를 온/오프 시키며, 이때 제1트랜지스터(Q1)의 출력신호가 제2저항 (R2)을 거쳐 제2트랜지스터(Q2)를 온/오프 시킨다.
그러면, 제2트랜지스터(Q2)는 발광칩(2)을 발광/소등시킴으로써 주광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제3저항(R3)는 발광칩(2)의 발광세기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설정되어 있는 전압 레벨 검지용 저항이다.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발광소자(54)의 위치에 제2도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발광소자(10)가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측거 장치의 적외 발광소자 2차광 제거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릴리즈 스위치(S1)를 누르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외 발광소자 2차광 제거장치의 동작이 시작된다.
동작이 시작되면, 오토 포커스 회로에서 발광부의 기판(11)으로 전류가 들어 온다.
기판(11)으로 전류가 들어오면, 그 전류는 발광소자(1)로 인가되어 발광칩 (2)이 발광하여 주광(S1)과 발광칩(2)의 중심 이외의 부근에서 2차광(S2)이 생기게 된다. 이 때의 광의 분포도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에서의 2차광(S2)은 2차광 차단부재(12) 때문에 발광렌즈(3)를 통과하지 못하며, 주광(S1)만 발광렌즈(3)를 통하여 평행한 빔 형태로 반사체(5)에 반사되어 수광렌즈(9)를 통하여 수광소자(8)로 수광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 발광소자와 발광렌즈의 사이에 발광 소자의 특성에 맞도록 간단한 장치를 하여 2차광을 제거하여 측거의 정도를 향상시켜 적외 발광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 카메라 측거 장치의 적외 발광소자 2차광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카메라와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거용 광을 발광하는 발광소자(1)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광을 수광하여 피사체에 투사시키는 발광렌즈(3)와; 상기 발광소자와 발광렌즈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발광소자의 바로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소자의 중심 부분을 제외한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위치되어 상기 발광소자에서 출력되는 광 중 중심광을 제외한 주변의 2차광을 제거하는 2차광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측거 장치의 적외 발광소자 2차광 제거장치.
KR2019950000481U 1995-01-13 1995-01-13 적외발광소자2차광제거장치 KR200217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481U KR200217139Y1 (ko) 1995-01-13 1995-01-13 적외발광소자2차광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481U KR200217139Y1 (ko) 1995-01-13 1995-01-13 적외발광소자2차광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609U KR960027609U (ko) 1996-08-17
KR200217139Y1 true KR200217139Y1 (ko) 2001-11-22

Family

ID=6085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0481U KR200217139Y1 (ko) 1995-01-13 1995-01-13 적외발광소자2차광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1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609U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6734A (ko) 광학장치
KR20010113911A (ko) 레이저 광전 센서
KR200217139Y1 (ko) 적외발광소자2차광제거장치
US5216248A (en) Photodetector with mask for stable output signal
JPH04283683A (ja) 光波測距装置
JPH041885B2 (ko)
US4579450A (en) Distance detector device
JPH0435866Y2 (ko)
JP2000146521A (ja) 距離測定装置
US4494848A (en) Distance measuring device
JP3451525B2 (ja) 光センサとレンズユニット及びファイバユニット
JP2983182B2 (ja) 投受光センサ
JPH0324783A (ja) 半導体レーザ装置
JPH0675131B2 (ja) ゾーンフォーカスカメラの測距装置
JPH1062159A (ja) 光学センサの受光レンズ位置調整方法
JPH03131790A (ja) 車両用障害物検知装置
US4586806A (en) Camera range finder
Lataire Optical Sensors For Factory Automation.
JPH07280552A (ja) 測距装置
GB2027192A (en) Photoelectric tachometer
JPH07103887A (ja) ガス検知器
JPH0714810Y2 (ja) 測距用投光器
JPH06265346A (ja) 測距センサ及び自動焦点調整装置
JPH05196435A (ja) パターン検出方法
JPH04339208A (ja) 距離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