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099Y1 - 육절기용 스위치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육절기용 스위치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099Y1
KR200217099Y1 KR2020000028243U KR20000028243U KR200217099Y1 KR 200217099 Y1 KR200217099 Y1 KR 200217099Y1 KR 2020000028243 U KR2020000028243 U KR 2020000028243U KR 20000028243 U KR20000028243 U KR 20000028243U KR 200217099 Y1 KR200217099 Y1 KR 2002170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lever
switch
cylindrical body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총원
Original Assignee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후지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82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0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099Y1/ko

Links

Landscapes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동 냉장상태의 육류를 소정의 두께로 절단하는 육절기를 운전 또는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육절기 본체에 장착되고 그 내부로는 캠 스위치(2)가 내장 설치되며, 전면 일 측으로는 안전스위치(3) 등이 구비된 공지의 스위치 박스(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박스(1)에 대하여 플렌지형 부싱(3)을 매개로 일방으로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고, 그 내부 중앙으로는 구동축 홈(13이 형성되며, 원형의 레버 정지홈(14)이 구비된 소정반경의 세장형 레버 조작홈(15)이 상기 구동축 홈(13)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칼 운전위치부(16)와 적재함 운전위치부(17)가 상기 레버 조작홈(15)과 동일 원주방향으로 단턱지게 순차 형성된 금속재의 원통형 몸체(10)와; 상기 원통형 몸체(10)의 구동축 홈(13)에 회전 가능하게 삽설 지지되고, 일단부가 상기 캠 스위치(2)와 연결되며, 상기 레버 조작홈(15)과 직교 방향으로 스프링 홈(22)이 단차 형성된 구동축(20)과; 상기 원통형 몸체(10)와 상기 구동축(20)의 레버 조작홈(15)과 스프링 홈(22)내에 일단부가 스프링(31)으로 승강 조작 가능하게 탄력 설치되고, 운전 조작시 상기 레버 정지홈(14)과, 칼 및 적재함 운전 위치부(16)(17)에 각각 걸려지는 스토퍼(32)가 구비되며, 외부 조작이 가능하도록 타 단부가 상기 원통형 몸체(10)외부로 노출되게 관통 설치된 조절레버(30) 및; 상기 원통형 몸체(10)의 레버 조작홈(15)부위로 관삽되어 조절레버(30)의 운전 조작시 함께 회전됨과 동시에 레버 정지홈(14)에 위치된 조절레버(30)의 스토퍼(32)가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하기 위한 회전커버(40)로 구성된다.
따라서 운전 조작이 안전하고 효율적일 뿐 아니라 조절레버를 푸시형태로 하여 운전 조작시에는 조절레버를 단계별로 눌러 슬라이드 조작하고, 정지시에는 누름동작 없이 조절레버를 역으로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서 스위치의 조작이 매우 부드럽고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육절기용 스위치 조정장치{Switch regulating apparatus for a meat slicer}
본 고안은 냉동 냉장상태의 육류를 소정의 두께로 절단하는 육절기를 운전 또는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조정장치에 있어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 조작을 칼 운전 및 적재함 운전으로 분리 조작되게 함으로서 스위치 조작이 안전하고 효율적일 뿐 아니라 조절레버를 푸시형태로 하여 운전 조작시에는 조절레버를 단계별로 눌러 슬라이드 조작하고, 정지시에는 누름동작 없이 조절레버를 역으로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서 스위치의 조작이 매우 부드럽고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육절기의 스위치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육절기의 운전 조작을 위한 스위치 장치가 개발된 바 있으며, 그 일 예로서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 고안된 바 있는 국내 실용신안공고 제 94-1454호에 개재된 육절기의 운전 콘트롤박스 구조가 있으나, 이는 본체에 대하여 레버가 구비된 회동간을 전후로 이동 조작시켜 그 하단부로 형성된 고정홈을 본체 내에 내장 설치된 회동 조작구의 작동축과 상호 선택적으로 걸어지게 조정한 다음 상기 회동간을 다시 소정의 위치로 회동 조작하는 것에 의해 스위치가 정지 또는 운전위치로 탄력 조작되게 하는 구조이어서 스위치 조작 구조가 복잡하고 운전 조작시 레버가 설치된 회동간을 본체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 조작한 다음 다시 좌우로 회동 조작해야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작동축이 하단부에 위치되어 있어 회동간의 정확한 위치 조작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 사용되고 있는 또 다른 스위치 장치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0)의 전면으로 설치된 프라스틱재의 본체(101)와 덮개(102)의 경개부 상면으로 형성된 정지홈(103)과 운전홈(104)에 대하여 본체(101) 내부의 미 도시된 캠 스위치와 연결된 회동 조작구(105)를 스프링(106)으로 탄력 설치된 레버(107)를 가이드면(108)에 안내되게 회동 조작시키는 것에 의해 스위치 조작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한 종래 스위치장치는 본체(101)와 덮개(101)가 프라스틱인 까닭에 각 홈(103)(104)나 가이드면(108)이 레버(107)의 잦은 조작으로 닳게되어 레버(107) 조작이 불확실하게 이루어지고 특히 레버(107)를 정지홈(103)으로부터 운전홈(104)으로 또는 그 반대로 조작하는 경우 항상 2단에 걸쳐 레버(107)를 전방으로 당김 조작해야되는 조작상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고, 레버의 조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구조상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상기한 종래 각 스위치 장치들의 경우에는 정지 상태에서 운전상태로 레버를 조작하면 칼 운전 및 적재함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구조이어서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칼이나 적재함의 운전 및 이동을 선택 조작할 수 없는 것이어서 스위치 조작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졌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 조작시 조절레버가 칼 운전 및 적재한 운전으로 분리 조작되게 함과 동시에 조절레버를 누름 다음 해당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서 운전 조작이 매우 부드럽고 간편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육절기용 스위치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고안에 따른 운전 스위치 조정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운전 스위치 조정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3은 도2의 측 단면도,
도4는 조절레버가 정지홈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의 정 단면도,
도5는 조절레버가 적재함 운전위치로 이동 조작된 상태의 정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원통형 몸체 13: 구동축 홈
14: 레버 정지홈 15: 레버 조작홈
16: 칼 운전 위치부 17: 적재함 운전 위치부
20: 구동축 21: 스위치 축
22: 스프링 홈 30: 조절레버
31: 스프링 32: 스토퍼
40: 회전커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조정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2는 이의 측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박스(1)는 도시되지 않은 육절기 본체의 일 측으로 장착되는 바, 그 내부로는 도2와 같이 공지의 캠 스위치(2)가 내장 설치되며, 전면으로는 안전스위치(3) 등이 구비되어 있다.
스위치 박스(10)의 전면으로는 알루미늄재의 원통형 몸체(10)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는 바, 이는 플렌지형 부싱(11)을 매개로 고정나사(12)에 의해 스위치 박스(1)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그 내부 중앙으로는 구동축 홈(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형 몸체(10)로는 원형의 레버 정지홈(14)이 일 측으로 연통 형성된 세장형의 레버 조작홈(15)이 소정 반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의 구동축 홈(13)과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레버 조작홈(15)과 동일 원주방향으로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칼 운전 위치부(16)와 적재함 운전위치부(17)가 단턱지게 순차 연통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칼 운전 위치부(16)와 적재함 운전 위치부(17)는 도1과 같이 원통형 몸체(10)의 전면으로 개방되게 형성하여 작업자가 이후 설명될 조절레버의 조작 상태를 유관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와 같이 통형 몸체(10)의 구동축 홈(13)으로는 스위치 축(21)이 구비된 구동축(20)이 회전 가능하게 삽설 지지되는 바, 이 때 스위치 축(21)은 캠 스위치(2)내로 삽설되어 해당 스위치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구동축(20)으로는 스프링 홈(22)이 원통형 몸체(10)의 레버 조작홈(15)과 직교 방향으로 단차 형성되어 있다.
한편 원통형 몸체(10)의 레버 조작홈(15)으로는 조절레버(30)의 타 단부가 원통형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되게 삽설되어 지는 바, 이 때 조절레버(30)는 구동축(20)의 스프링 홈(22)내에 삽설되는 일단부가 스프링(31))으로 승강 조작 가능하게 탄력 설치되며, 타단부의 소정 지점으로는 운전 조작시 상기 레버 정지홈(14)과, 칼 및 적재함 운전용 위치부(16)(17)에 각각 걸려지는 스토퍼(3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형 몸체(10)의 레버 조작홈(15)부위로는 조절레버(30)의 변속 조작시 함께 회전 조작되는 회전커버(40)가 관삽되어 있는 바, 이는 레버 정지홈(14)에 위치된 조절레버(30)의 스토퍼(32)가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 조작되도록 커버되어 있다.
도2에서 미설명 부호 23은 구동축(20)의 일 단부를 회전 지지하기 위한 부싱이며, 24는 캠 스위치(2)를 구동축(20)과 연결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나사로 고정되는 캠 스위치 브라켓트이며, 50은 원통형 몸체(10)의 전면으로 부착되고 회사 로그나 선전문구 등이 인쇄된 스티커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스위치 조정 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도4는 조절레버(30)의 스토퍼(32)가 원통형 몸체(10)의 레버 정지홈(14)에 걸려져 있는 것으로서 이 때에는 기계의 운전이 정지된 상태이다. 그리고 조절레버(30)는 스프링(31)의 인장력에 의해 상승되어 이에 형성된 스토퍼(32)가 레버 정지홈(14)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되고, 회전커버(40)로 커버되어 외부로 빠져나가지도 못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육절기를 운전하기 위해 정지상태의 조절레버(30)를 칼 운전이나 적재함 운전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절레버(30)를 도3의 화살표와 같이 아래로 눌러 스토퍼(32)가 레버 정지홈(14)으로부터 벗어나게 한 다음 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스토퍼(32)는 이점쇄선과 같이 칼 운전위치부(16)로 이동 조작되어 걸려지고, 이와 동시에 구동축(20) 역시 조절레버(30)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회전 조작되어져 일 단부로 형성된 스위치 축(21)에 의해 캠 스위치(2)가 접점 조작되어 짐에 따라 육절기의 일 측으로 설치된 절단칼이 우선 회전 하게된다.
그런 다음 다시 적재함을 이동 조작시키기 위해서는 칼 운전 위치부(16)에 있는 조절레버(30)를 도5와 같이 이 보다 더 낮은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적재함 운전 위치부(17)로 이동 조작하여야 하는 바, 이 경우 역시 조절레버(30)를 더욱 눌러 스토퍼(32)가 칼 운전 위치부(16)로부터 벗어나게 한 다음 스토퍼(32)가 적재함 운전 위치부(17)로 이동 될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되고, 이와 동시에 구동축(20) 역시 조절레버(30)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회전 조작되어져 일 단부로 형성된 스위치 축(21)에 의해 캠 스위치(2)가 접점 조작되어짐에 따라 적재함이 절단칼 부위로 왕복 이동되어 지면서 육류의 절단 작업이 수행되어 진다.
한편 칼 운전 위치부(16)나 적재함 운전 위치부(17)로 이동 조작된 조절레버(30)는 운전 조작시 스프링(31)을 강제로 압착하는 상태로 이동 조작됨에 따라 항상 스프링(31)의 반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운전 조작 위치로부터의 자유로운 이탈이 저지되어 확실한 운전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육류의 절단 작업이 완료되어 기계를 정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운전 조작 때와는 달리 조절레버(30)를 그냥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 조작시켜주면 스프링(31)의 반력에 의해 눌려져 있던 조절레버(30)가 각 단계의 위치부(17)(16)로부터 순차적으로 상승되어 지면서 최종적으로 스토퍼(32)가 레버 정지홈(14)에 자연적으로 걸려 고정되어 기계가 스톱되는 것이며, 적재함이나 칼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절레버(30)를 해당 위치로 선택 조절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조절레버를 칼 운전이나 적재함 운전으로 분리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기계의 작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조절레버를 간단하게 누르고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해당 위치로의 운전 조작이 가능하고 정지시에는 조절레버를 역으로 회전 조작하면 자연적으로 스프링력에 의해 정지되는 것이어서 운전조작이 부드러우면서도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을 지라도 하기의 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도 있다.

Claims (2)

  1. 육절기 본체에 장착되고 그 내부로는 캠 스위치(2)가 내장 설치되며, 전면 일 측으로는 안전스위치(3) 등이 구비된 공지의 스위치 박스(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박스(1)에 대하여 플렌지형 부싱(3)을 매개로 일방으로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고, 그 내부 중앙으로는 구동축 홈(13이 형성되며, 원형의 레버 정지홈(14)이 구비된 소정반경의 세장형 레버 조작홈(15)이 상기 구동축 홈(13)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칼 운전위치부(16)와 적재함 운전위치부(17)가 상기 레버 조작홈(15)과 동일 원주방향으로 단턱지게 순차 형성된 금속재의 원통형 몸체(10)와;
    상기 원통형 몸체(10)의 구동축 홈(13)에 회전 가능하게 삽설 지지되고, 일단부가 상기 캠 스위치(2)와 연결되며, 상기 레버 조작홈(15)과 직교 방향으로 스프링 홈(22)이 단차 형성된 구동축(20)과;
    상기 원통형 몸체(10)와 상기 구동축(20)의 레버 조작홈(15)과 스프링 홈(22)내에 일단부가 스프링(31)으로 승강 조작 가능하게 탄력 설치되고, 운전 조작시 상기 레버 정지홈(14)과, 칼 및 적재함 운전 위치부(16)(17)에 각각 걸려지는 스토퍼(32)가 구비되며, 외부 조작이 가능하도록 타 단부가 상기 원통형 몸체(10)외부로 노출되게 관통 설치된 조절레버(30) 및;
    상기 원통형 몸체(10)의 레버 조작홈(15)부위로 관삽되어 조절레버(30)의 운전 조작시 함께 회전됨과 동시에 레버 정지홈(14)에 위치된 조절레버(30)의 스토퍼(32)가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하기 위한 회전커버(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절기용 스위치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 운전 위치부(16)나 적재함 운전 위치부(17)는 상기 원통형 몸체(10)의 전면으로 관통 형성되어 조절레버의 운전 조작 상태를 파악 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육절기용 스위치 조정장치.
KR2020000028243U 2000-10-10 2000-10-10 육절기용 스위치 조정장치 KR200217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243U KR200217099Y1 (ko) 2000-10-10 2000-10-10 육절기용 스위치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243U KR200217099Y1 (ko) 2000-10-10 2000-10-10 육절기용 스위치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099Y1 true KR200217099Y1 (ko) 2001-03-15

Family

ID=73058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243U KR200217099Y1 (ko) 2000-10-10 2000-10-10 육절기용 스위치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09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0409A (en) Dispensing apparatus
JP2006055996A (ja)
US5243760A (en) Adjustable gear driven tube cutter
US5752421A (en) Cutting device with a pivotable cover member for covering and uncovering a cutting portion of a cutting tool
US3675321A (en) Automatic electric can opener
US6279442B1 (en) Blade guard device for a sawing machine
US3307255A (en) Control means to energize a combination can opener and knife sharpener
US5609085A (en) Cutting device with a pivotable cover for covering an exposed cutting portion
KR200217099Y1 (ko) 육절기용 스위치 조정장치
JP2007160433A (ja) 帯鋸盤の安全装置および帯鋸盤
US2952073A (en) Automatic electric can opener
US3550271A (en) Automatic can opener
GB2082977A (en) Hoop-forming apparatus for steel straps
US20020144412A1 (en) Electric can opener
US3146814A (en) Food slicing machines
US2932086A (en) Can opener
US3059332A (en) Automatic power operated can opener
JP2513040Y2 (ja) 調理機の安全装置
JP2001062780A (ja) 包装用フィルム切断機
JPH0639650Y2 (ja) 封筒開封装置
US3137189A (en) Paper cutter with unicyclic drive means
JP3499649B2 (ja) 袋首絞り部等のシール機
JPS6234333Y2 (ko)
KR940001454Y1 (ko) 육절기의 운전 콘트롤박스 구조
JPH061350Y2 (ja) ウエブ状物のカツ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