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459Y1 -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 - Google Patents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459Y1
KR200216459Y1 KR2020000025322U KR20000025322U KR200216459Y1 KR 200216459 Y1 KR200216459 Y1 KR 200216459Y1 KR 2020000025322 U KR2020000025322 U KR 2020000025322U KR 20000025322 U KR20000025322 U KR 20000025322U KR 200216459 Y1 KR200216459 Y1 KR 2002164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fine powder
plate
upper plate
hard 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일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일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일기연
Priority to KR2020000025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4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4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459Y1/ko

Link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바닥에서 발생하는 소음, 진동을 방지하고 강성과 내화성 및 항균, 항취 효과를 얻도록 하는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의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는, 고무분말 50%와 시멘트 50%를 통상의 혼합기로 혼련하여 된 일정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한 쌍의 상측판 및 하측판; 숯가루, 맥반석가루, 황토 미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료 60%와 경질우레탄의 미분가루 40%가 혼합기에 의해 혼련되어져 상측판 상면 전체에 걸쳐 일정한 두께로 적층되어진 포층; 상측판의 저면과 하측판의 상면에 서로 대향되게 폭방향으로 성형되어 난방용 파이프가 매설되는 다수의 상측관로와 하측관로; 상측판의 저면과 하측판의 상면에 서로 대향되게 성형되어 상측판과 하측판이 가압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고무분말과 시멘트를 혼련하여 얻어진 상측판과 하측판에 의해 소망하는 방음, 방진과 강성 및 내화성을 얻을 수 있고, 또 상측판 상면 전체에 걸쳐 적층된 포층의 숯, 황토, 맥반석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에 의해서 열량보존 효과와 각종 해독효과가 얻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Soundproofing Slave for Floor of a Structure}
본 고안은 건축물의 바닥재로 사용되는 슬래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상, 하층 바닥에서 발생하는 충격 소음과 진동을 확실하게 차단하고 또 건물 바닥의 보온성 유지와 시공 및 유지 보수의 편리함을 양립하도록 하는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등의 바닥 시공 때에는 여러가지의 바닥 마감재가 시공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호텔, 상가전용 건물등과 같은 철근 콘크리트의 건축물의 경우에 있어서는 각 공간을 상하층으로 구획하는 바닥면은 철근콘크리트의 슬래브 위에 기포 콘크리트를 도포한 다음 시멘트몰탈 또는 인조석몰탈로서 마감시공하고 있으며, 단독주택 및 아파트 등과 같은 주거용 건축물의 경우에 있어서의 바닥면은 기포 콘크리트 위에 난방용 파이프를 배설한 후 시멘트몰탈로 마감처리 한 다음 일정한 두께를 갖는 즉 대략 1.0mm 내지 2.0mm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제 박닥재인 모로륨 등을 도포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는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 상면에 구축된 기포 콘크리트가 소음을 감쇄시키는 작용을 담당하고 있으나 상기한 기포 콘크리트의 소음 감쇄작용은 경량 충격, 중량 충격에 따른 소음을 제대로 흡수·차단하지 못하는 실정이고, 또한 마감 시멘트몰탈 상면에 깔아준 합성수지제의 배닥재는 대략 2dB 정도의 소음 정도만을 감쇄시키는 작용을 할 뿐 그 이상의 소음 및 진동발생을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종래 슬래브의 진동 및 소음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서, 일본 실용신안공개 소 50-148841호에서와 같이 고무재로 상호 결합구조를 갖는 타일 및 패드부재를 바닥재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방진 및 방음기능은 어느 정도 갖추고 있는데 반하여, 하중을 견디기 위한 강성이 결여되어 있어 이 또한 건축물의 바닥재로써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슬래브의 진동 및 소음을 줄이기 위한 다른 방안으로서, 마감 시멘트몰탈 상면에 방음용 바닥재로서 아스팔트를 함침시킨 대략 3mm 정도 두께의 판지계 제진재와, 대략 2mm 내지 3mm 정도 두께의 천연고무 또는 SBR(STYLENE BUTADIENE RUBBER)의 가황된 고무시이트를 깔아주는 방법도 채택된 바 있으나, 이 역시 2dB 정도의 소음을 감쇄시키는 결과만을 얻을 수 있어 방진 및 방음효과가 미흡할 뿐 아니라 상기와 같이 하중을 견디기 위한 강성에 취약하며, 또 상기 바닥재와 시멘트몰탈 사이에 난방용 파이프를 설치하기가 곤란하여 부득이 상기 난방용 파이프를 마감 시멘크몰탈에 매설 시공한 다음에 상기 바닥재를 마감 시멘트몰탈 상면에 도포함으로 인하여 보온성이 결여되고 이것에 의해 난방비가 상승되는 또다른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평 4-360955호에서 제안된 차음재를 바닥용으로 사용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이는 각 패널들과의 결합구조가 없어 넓은 바닥면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하중을 균형있게 지지할 수 없고, 또 넓은 면적의 시공시에는 작업성면에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치유하면서도 작업성 면에서는 보다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를, 그리고 방음과 방진, 보온성 및 강성이 우수하고 난방용 파이프의 설치가 보다 용이한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물의 바닥에서 발생하는 충격 소음과 진동을 확실하게 차단하고 강성이 우수한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방음 슬래브는 시멘트와 고무분말을 일정 비율로 혼련하여 일정한 두께 및 면적을 갖는 한 쌍의 상측판과 하측판을 성형하고 상기 상측판 상면에는 적어도 서로 다른 원료를 일정한 비율로 혼련하여서 된 일정 두께의 포층을 적층·성형하며 이와 같이 성형된 한 쌍의 상측판과 하측판을 마감 시멘트몰타 상면에 연속적이고 일관되게 깔아 결합하여 줌으로써, 슬래브의 충격에 대한 소음과 진동이 차단되고 또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온성이 우수한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방음 슬래브는 시멘트와 고무분말이 일정 비율로 혼련되어 이루어진 한 쌍의 상층판과 하층판 사이에 관로를 형성하여 이에 난방용 파이프를 매설하여 줌으로써, 보온성이 유지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바닥 시공 및 보수 유지가 보다 간편한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방음 슬래브는 시멘트와 고무분말이 일정 비율로 혼련되어 이루어진 한 쌍의 상층판과 하층판에 이들의 결합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억지끼워 결합하는 수단을 형성하여 특히 넓은 면적의 박닥 시공 및 보수 시에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를 나타내어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의 상측판을 뒤집어서 나타내어 보인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횡축을 따라 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를 마감 시멘트몰탈 상면에 시공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슬래브 101 : 상측판
102 : 하측판 103 : 포층
104 : 상측관로 105 : 하측관로
106 : 조인트볼 107 : 조인트홈
109 : 난방용 파이프
상기와 같은 목적들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에 의하면,
(1) 고무분말 50%와 시멘트 50%를 통상의 혼합기로 혼련하여 된 일정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한 쌍의 상측판 및 하측판;
(2) 숯가루, 맥반석가루, 황토 미분 중에서 적어도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원료 60%와 경질우레탄의 미분가루 40%가 상기 혼합기에 의해 혼련되어져 상기 상측판 상면 전체에 걸쳐 일정한 두께로 적층되어진 포층;
(3) 상기 상측판의 저면과 상기 하측판의 상면에 서로 대향되게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난방용 파이프가 매설되는 다수의 상측관로와 하측관로; 및
(4) 상기 상측판의 저면과 하측판의 상면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측판과 하측판을 가압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상측판의 저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의 조인트볼; 및 상기 하측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조인트볼이 가압적으로 억지끼워져 결합되는 다수의 조인트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상측판의 저면과 하측판의 상면에 적어도 테두리 및 중앙부위에 접착되어진 부직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층은 경질우레탄의 미분가루를 40%로 할 때, 상기 숯가루 30%, 상기 황토 미분 30%를 상기 경질우레탄의 미분가루와 혼련하여 상기 상기 상측판 상면 전체에 걸쳐 적층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층은 경질우레탄의 미분가루를 40%로 할 때, 상기 맥반석 가루 30%, 황토 미분 30%를 상기 경질우레탄의 미분가루와 혼련하여 상기 상측판 상면 전체에 걸쳐 적층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포층은 경질우레탄 미분가루를 40%로 할 때, 상기 숯가루 20%, 맥반석 가루20%, 황토 미분 20%가 상기 경질우레탄 미분가루와 혼련되어져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하면, 고무분말과 시멘트를 혼련하여 얻어진 상측판과 하측판을 건축물의 마감 시멘트몰탈 상면에 깔아 결합하고 상측판 및 하측판 사이에는 난방용 파이프가 설치됨으로써, 소망하는 방음, 방진과 강성 및 내화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상측판 상면 전체에 걸쳐 적층된 포층의 숯, 황토, 맥반석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에 의해서 열량보존 효과와 각종 해독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를 나타내어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의 상측판을 뒤집어서 나타내어 보인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횡축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방음 슬래브(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원료 조성물이 일정한 비율로 통상의 혼합기에서 혼련되고 가황프레스에서 가압·가열되어 형성된 일정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상측판(101) 및 하측판(102)과, 서로 다른 원료 조성물이 혼련되어져 상측판(101)의 상면 전체에 걸쳐 일정한 두께로 적층되어진 포층(10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측판(101)의 저면과 하측판(102)의 상면에는 난방용 파이프가 매설되는 다수의 상측관로(104)와 하측관로(105)가 서로 대향하게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판(101)의 저면과 하측판(102)의 상면에는 이들이 가압·결합되도록 결합수단으로서의 조인트볼(106)과 조인트홈(107)이 서로 대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상측판(101) 및 하측판(102)을 구성하는 원료 조성물은 고무가루와 시멘트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포층(103)은 경질우레탄의 미분가루에 숯가루 또는 맥반석가루 또는 황토 미분 또는 경질우레탄의 미분가루에 상기 원료 조성물들 중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원료가 혼합되어져 이루어진다. 이때, 상측판(101)과 하측판(102)을 구성하는 원료 조성물의 비율과 포층(103)을 구성하는 원료 조성물의 비율은 건축물 바닥재로서의 적용 용도, 예컨대 아파트, 상가 및 단독주택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으로서의 조인트볼(106)과 조인트홈(107) 대신에 상측, 하측판(101)(102)의 상, 하면 테두리 및 중앙부위에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섬유재질의 부직포를 접착하여서 한 쌍의 상측판(101)과 하측판(102)이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100)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슬래브(100)를 성형 제작하기 위해서 먼저, 고무분말 50%와 시멘트 50%를 통상의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련한다. 이때 고무분말과 시멘트의 혼합 비율은 아파트 및 상가 건물 또는 단독주택에 따라 고무분말 40%와 시멘트 60%, 또는 고무분말 60%와 시멘트 40%로 하여 혼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혼련된 원료 조성물을 가황프레스에서 가압·가열하게 되면 도 1 및 도 2와 같이 일정한 면적을 갖는 한 쌍의 단일 상측판(101)과 하측판(102)이 성형·제작된다.
이때, 상측판(101) 및 하측판(101)(102) 중에서 상측판(101)을 가황프레스에서 가압·가열하기 전에 그 상측판(101)의 상면 전체에, 서로 다른 원료 조성물로 구성되어 상기 혼합기에서 일정한 비율로 혼련되어진 포층(103)을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적층한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황프레스에서 가압·가열하여 상측판(101)을 성형 제작한다.
여기서, 상측판(101)의 상면에 적층되는 포층(103)의 원료 조성물로서, 경질우레탄의 미분가루와 숯가루 또는 경질우레탄의 미분가루와 맥반석가루 또는 경질우레탄의 미분가루와 황토 미분 또는 경질우레탄의 미분가루에 상기 원료 조성물들 중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원료가 혼합되어져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경질우레탄의 미분가루와 상기 숯가루 또는 맥반석 가루 또는 황토 미분을 혼합할 때의 비율은 경질우레탄의 미분가루 40%, 다른 원료 조성물들은 6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측판(101)과 하측판(102) 및 포층(103)을 이루고 있는 상기 조성물들의 혼합비율을 상기에서 지적한 혼합비율 외에 서로 다른 비율로도 혼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질우레탄의 미분가루에 두 가지의 원료 조성물을 혼합할 경우의 비율은 경질우레탄의 미분가루 40%와 두 원료 조성물은 각각 30%씩 하고, 또 상기 경질우레탄의 미분가루에 상기 세 가지의 원료 조성물을 혼합할 경우의 비율은 경질우레탄 40%와 상기 세 원료 조성물은 각각 20%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슬래브(100)의 상측판(101)과 하측판(102)의 제작이 완료된 후에는 후속 공정으로서, 상측판(101)과 하측판(102) 사이에 난방용 파이프(109)를 배관하기 위해 그들의 폭방향으로 다수의 상측관로(104)와 하측관로(105)를 일정 간격마다 서로 대향하게 형성하고 또 상측판(101)의 저면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판(102)과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조인트볼(106)을 매설하여 고정시키는 공정과 그리고 하측판(102)의 상면에는 조인트볼(106)이 억지끼워져 결합이 되도록 조인트홈(107)을 형성하는 공정을 진행하여 완료한다. 여기서, 조인트볼(106) 및 조인트홈(107) 대신에 상측판(101)과 하측판(102)을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부직포를 일정한 폭과 길이로 하여 상측판(101)의 저면 및 하측판(102)의 상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테투리 및 중앙부위에 접착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하여 제작 완료된 슬래브(100)를 건축물 바닥에 깔아 시공할 때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단일의 하측판(102)을 건축물 바닥의 마감 시멘트몰탈(108)의 상면 전체에 걸쳐 깔은 다음 하측판(102)의 하측관로(104)에 난방용 파이프(109)를 배설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원료 조성물로 구성된 포층(103)이 적층되어 있는 상측판(101)을 하측판(102) 위에 결합하되 상측판(101)에 돌출되어 형성된 조인트볼(106)과 하측판(102)의 조인트홈(107)을, 그리고 상측관로(104)와 하측관로(105)를 일치시킨 후에 상측판(101)을 위에서 아래로 가압하게 되면 조인트볼(106)이 조인트홈(107)에 억지끼워져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난방용 파이프(109)는 고무분말과 시멘트가 혼합된 상측판(101)과 하측판(102) 사이에 배관되므로써, 보온성이 유지되고 또한 상기 고무분말과 시멘트의 혼합물로 구성된 상측, 하측판(101)(102) 및 서로 다른 원료 조성물로 이루어진 포층(103)에 의해서 방음, 방진, 강성 및 내화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포층(103)의 원료 조성물로 구성되는 맥반석, 숯가루 및 황토 미분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곰팡이, 세균 등의 살균 내지 번식이 억제 된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마감 시멘트몰탈 상면에 방음용 바닥재로서 아스팔트를 함침시킨 판지계 제진재와, 가황된 고무시이트를 깔아 소음을 감쇄시키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고무분말과 시멘트를 혼련하여 얻어진 상측판과 하측판에 서로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 및 이들 사이에 난방용 파이프가 배관되도록 상측관로와 하측관로가 성형되며, 또한 상기 상측판의 상면에는 적어도 서로 다른 원료 조성물로 혼련되어진 포층이 적층되어 건축물의 마감 시멘트몰탈 상면에 깔아져 결합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고무분말과 시멘트를 혼련하여 얻어진 상측판과 하측판을 건축물의 마감 시멘트몰탈 상면에 깔아 결합함으로써, 소망하는 방음, 방진과 강성 및 내화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상측판과 하측판 사이에 난방용 파이프가 배관되고 상측판 상면 전체에 걸쳐 적층된 포층의 숯, 황토, 맥반석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에 의해서 열량보존 효과와 각종 해독효과가 얻어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고안의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에 의하면, 마감 시멘트몰탈의 상면에 깔아져 결합되는 상측판과 하측판이 고무분말과 시멘트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측판과 하측판 사이에 난방용 파이프가 배관됨으로써, 소망하는 방음, 방진, 강성 및 내화성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공이 간단하고 또한 상측판 상면 전체에 걸쳐 적층된 포층의 숯, 황토, 맥반석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에 의해서 열량보존 효과와 각종 해독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6)

  1. (1) 고무분말 50%와 시멘트 50%를 통상의 혼합기로 혼련하여 된 일정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한 쌍의 상측판 및 하측판;
    (2) 숯가루, 맥반석가루, 황토 미분 중에서 적어도 상기 하나 이상의 원료 60%와 경질우레탄의 미분가루 40%가 상기 혼합기에 의해 혼련되어져 상기 상측판 상면 전체에 걸쳐 일정한 두께로 적층되어진 포층;
    (3) 상기 상측판의 저면과 상기 하측판의 상면에 서로 대향되게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난방용 파이프가 매설되는 다수의 상측관로와 하측관로; 및
    (4) 상기 상측판의 저면과 하측판의 상면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측판과 하측판이 가압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상측판의 저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의 조인트볼; 및
    상기 하측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조인트볼이 가압적으로 억지끼워져 결합되는 다수의 조인트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상측판의 저면과 하측판의 상면에 적어도 테두리 및 중앙부위에 접착되어진 부직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층은 경질우레탄의 미분가루를 40%로 할 때, 상기 숯가루 30%, 상기 황토 미분 30%를 상기 경질우레탄의 미분가루와 혼련하여 상기 상기 상측판 상면 전체에 걸쳐 적층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층은 경질우레탄의 미분가루를 40%로 할 때, 상기 맥반석 가루 30%, 황토 미분 30%를 상기 경질우레탄의 미분가루와 혼련하여 상기 상측판 상면 전체에 걸쳐 적층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층은 경질우레탄 미분가루를 40%로 할 때, 상기 숯가루 20%, 맥반석 가루20%, 황토 미분 20%가 상기 경질우레탄 미분가루와 혼련되어져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
KR2020000025322U 2000-09-06 2000-09-06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 KR2002164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322U KR200216459Y1 (ko) 2000-09-06 2000-09-06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322U KR200216459Y1 (ko) 2000-09-06 2000-09-06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583A Division KR100647476B1 (ko) 2000-09-06 2000-09-06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459Y1 true KR200216459Y1 (ko) 2001-03-15

Family

ID=73088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322U KR200216459Y1 (ko) 2000-09-06 2000-09-06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45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441A (ko) * 2002-07-03 2004-01-13 최재수 이중바닥재의 제조방법
KR100934583B1 (ko) 2008-03-20 2009-12-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발포알루미늄 부재와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층간소음 및 진동방지 시공법
KR101477134B1 (ko) * 2013-11-13 2014-12-29 주식회사 뉴보텍 온돌식 층간소음 방지 패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441A (ko) * 2002-07-03 2004-01-13 최재수 이중바닥재의 제조방법
KR100934583B1 (ko) 2008-03-20 2009-12-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발포알루미늄 부재와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층간소음 및 진동방지 시공법
KR101477134B1 (ko) * 2013-11-13 2014-12-29 주식회사 뉴보텍 온돌식 층간소음 방지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7905A (en) Complex sound-insulating material and flooring
KR101113544B1 (ko) 공기층을 가진 건물의 층간 진동소음 차단판 성형방법
KR100647476B1 (ko)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 및 그 제조방법
KR101764160B1 (ko) 조립식 온돌패널
KR200216459Y1 (ko) 건축물 바닥재용 방음 슬래브
KR20090090925A (ko)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200236412Y1 (ko) 건물 바닥재용 방음보드
KR101423219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으로 사용되는 고무·섬유구조체 및 그 이용방법
KR20000053756A (ko) 진동 및 소음 차단 바닥재의 시공방법
KR100495041B1 (ko) 바닥구조 내장용 건축재 및 그를 이용한 바닥구조
KR200328912Y1 (ko) 기능성 문양과 이중경도로 이루어진 건강성 층간 소음저감재
KR20120001159A (ko) 층간차음바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층간차음구조
KR200339327Y1 (ko) 주거용 건물의 바닥 차음재
KR101774494B1 (ko) 층간차음재
KR101774493B1 (ko) 층간차음재
KR100756414B1 (ko) 건축물의 층간 매트
KR100634983B1 (ko) 조립식 온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3013023B2 (ja) 遮音構成材
KR0176006B1 (ko) 건축용 방음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1271484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床構造
JP2006169810A (ja) 建築物の床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046796B1 (ko) 기포층을 가진 건물의 층간 진동소음 차단판 성형방법
KR100627244B1 (ko) 층간 구조 및 층간 구조 시공방법
KR101774495B1 (ko) 층간차음재 제조방법
KR101774499B1 (ko) 층간차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7

Year of fee payment: 6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