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207Y1 - 원형 형광등 지지구 - Google Patents

원형 형광등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207Y1
KR200216207Y1 KR2019980011323U KR19980011323U KR200216207Y1 KR 200216207 Y1 KR200216207 Y1 KR 200216207Y1 KR 2019980011323 U KR2019980011323 U KR 2019980011323U KR 19980011323 U KR19980011323 U KR 19980011323U KR 200216207 Y1 KR200216207 Y1 KR 2002162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lamp
circular fluorescent
terminal
circular
lamp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3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1554U (ko
Inventor
김순근
Original Assignee
김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근 filed Critical 김순근
Priority to KR20199800113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207Y1/ko
Publication of KR200000015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5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2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20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본 고안은 원형 형광등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 형광등의 설치 및 교환이 용이하며, 또한 크기가 다른 원형 형광등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원형 형광등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즉 스타터(31)와 안정기(32)가 설치되는 상판(30)과 외.내향플랜지(41)(42)가 형성된 보호통체(40)와 걸림돌기(51) 및 접점홈(54)을 갖는 단자블럭(55)이 형성된 단자하우징(50)으로 이루어진 형광등 지지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단자하우징(110)의 단자블럭(116)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부면 중앙에 접점돌기(211)와 걸림단턱(212) 및 홈부(213)를 갖는 단자케이스(214)가 형성되고; 하부면 양끝단으로는 원형 형광등(220)이 체결되는 제1 및 제2고정홀더(215)(216)가 형성된 곡선의 지지프레임(210)을 갖는 원형 형광등 지지구(200)를 구비하여 국내생산되는 두 종류의 원형 형광등(40W, 32W)를 동시 또는 별개로 다양하게 설치하여 조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원형 형광등 지지구의 단자케이스를 형광등장치의 단자하우징의 하부에서 상부로 결합함에 따라 접속 및 조립을 동시에 간단하게 이룰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Description

원형 형광등 지지구(a round fluorescent lamp supporter)
본 고안은 원형 형광등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 형광등의 설치 및 교환이 용이하며, 또한 크기가 다른 원형 형광등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원형 형광등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등이란 관 내에 소량의 수은과 5∼6mmHg 정도의 아르곤 또는 크립톤 가스를 봉입한 열음극벽에 칠한 형광체에 수은 증기의 방전에 의해서 발생한 자외선을 대고, 이것을 가시 광선으로 바꾸어 조명에 이용하는 것으로, 형광체의 종류에 따라서 자유롭게 색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통상의 형광등은 가늘고 긴 관모양과 라운드를 갖는 원형모양을 하고 있으며, 텅스텐에 전자 방사물질을 칠한 한쌍의 전극이 양단에 봉입되어 있다. 이는 백열전구에 비해서 효율이 높고, 수명도 긴데다 눈부심이 적고 그늘이 확실하게 나타나지 않는 특색이 있어 널리.보급 사용되고 있다.
도5는 상기의 형광등중 원형 형광등을 지지하기 위한 종래의 원형 형광등 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원형 형광등 지지장치(1)는 상판(2) 하부에 설치된 형광등 설치부(3)에 원형 형광등(4)을 지지시키고, 커버(5)의 상단부가 고정캡(6)의 내측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고정캡(6) 상부의 고정볼트(7)로 상판(2)과 결합하여 설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원형 형광등(4)은 그 접속단자가 원주상에 형성되어 상기 상판(2) 하부에 설치되는 안정기(8)에 연결된 접속단자와 연결되므로서,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원형 형광등 지지장치는 원형 형광등과 안정기가 별도의 컨넥터에 의하여 접속되는 것으로, 상기 컥넥터의 연결전선부분이 형광등과 접촉되어 녹거나 탈 우려가 있으며, 또한 원형 형광등을 분리.조립에 따른 설치작업시 고정볼트를 풀어 커버와 고정캡을 분리한 상태에서 형광등의 분리.조립이 가능하므로 그 설치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도6은 상기와 같은 원형 형광등 지지장치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이 선출원(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6-1036)한 것으로, 상광하협의 경사를 이루는 보호통체(40)가 상.하부에 외.내향플랜지(41)(42)를 각각 형성하여 상부에는 스타터(31)와 안정기(32)가 설치되는 상판(30)과 하부에는 상기 보호통체(40)와 동일경사를 이루는 수지재의 단자하우징(50)과 각각 결합설치되어 진다.
또한, 상기 단자하우징(50)의 하부에 반구형의 걸림돌기(51)가 사이에 공간부(52)를 갖도록 대향형성되고, 상기 공간부(52)의 중앙에는 양측으로 걸림돌부(53)와 그 중앙에 접점홈(54)을 갖는 단자블록(55)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한편, 미설명보호 20은 천정등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원주상에 돌출원 나사돌기(21)에 의해 상판(30) 및 보호커버를 고정설치하는 설치브라켓이며, 33은 스타터지지브라켓, 44은 방열공, 43은 스타터 삽입공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상기 단자블록(55)에 4각등(60)의 중앙으로는 상부에 접점돌기(61)와 걸림단턱(62)을 갖는 홈부(63)와 양측방에 4각등(60)의 단부가 삽입되는 라운드단턱(64)을 형성하는 단자케이스(65)의 홈부(63)를 삽입함에 따라 단자블록(55)의 접점홈(54)에 접점돌기(61)가 삽입되어 접속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걸림돌기(51)가 걸림단턱(6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형광등장치는 형광등을 단자하우징의 하부에서 상부로 결합함에 따라 접속 및 조립을 동시에 이룰 수 있으며, 또한 전체적인 구조를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어 생산단가를 줄이는 효과를 발휘하나 4각형광등에 한정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자하우징의 단자블럭에 체결되는 단자케이스와 두 종류의 원형 형광등이 체결되는 제1 및 제2고정홀더가 형성된 곡선의 원형 형광등 지지구를 통해 간단하게 설치 및 교환이 용이하며, 또한 크기가 다른 원형 형광등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원형 형광등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스타터와 안정기가 설치되는 상판과 외.내향플랜지가 형성된 보호통체와 걸림돌기 및 접점홈을 갖는 단자블럭이 형성된 단자하우징으로 이루어진 형광등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하우징의 단자블럭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부면 중앙에 접점돌기와 걸림단턱 및 홈부를 갖는 단자케이스가 형성되고; 하부면 양끝단으로는 원형 형광등이 체결되는 제1 및 제2고정홀더가 형성된 곡선의 원형 형광등 지지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원형 형광등 지지구 및 형광등 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 형광등 지지구의 고정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형광등 지지장치와 원형 형광등 지지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 형광등 지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는 종래의 원형 형광등 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은 종래의 형광등 지지장치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단자하우징 116 : 단자블럭
210 : 지지프레임 211 : 접접돌기
212 : 걸림단턱 213 : 홈부
214 : 단자케이스 215 : 제1고정홀더
216 : 제2고정홀더 220 : 원형 형광등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원형 형광등 지지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형광등 지지장치(100)는 스타터(112)와 안정기(111)가 설치되며, 반구형의 걸림돌기(113)와 공간부(114)를 갖으며, 상기 공간부(114)의 중앙에는 양측으로 걸림돌기(113)와 그 중앙에 접점홈(115)을 갖는 단자블록(116)이 형성된 단자하우징(110)이 각각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자하우징(110)에 결합되는 곡선의 지지프레임(210) 상부면 중앙에는 접점돌기(211)와 걸림단턱(212) 및 홈부(213)를 갖는 단자케이스(214)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 양끝단으로는 원형 형광등(220)이 체결되는 제1 및 제2고정홀더(215)(21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일끝단에 형성된 제1 및 제2고정홀더(215)(216)는 지지프레임(210)과 일체로 형성되며, 타단의 제1 및 제2고정홀더(215')(216')는 체결부(215a)가 지지프레임(210)의 체결홈(210a)에 체결되어 전.후방으로 일정간격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프레임(210)과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고정홀더(215)(216)에 원형 형광등(220)의 일단을 고정시킨 후에 타단의 제1 및 제2고정홀더(215')(216')에 형광등(220)의 타단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타단의 제1 및 제2고정홀더(215')(216')는 체결부(215a)가 형성되어 이 체결부(215a)가 지지프레임(210)의 체결홈(210a)에 삽입된 상태로 전.후방으로 일정간격 이동되므로 형광등(220)의 체결이 용이한 위치로 제1 또는 제2고정홀더(215')(216')를 당기거나 밀어준 상태에서 형광등(220)을 고정홀더(215')(216')의 개방부를 통해 삽입.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3은 상기 형광등 지지장치와 원형 형광등 지지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형광등 지지장치(100)의 단자블록(116)에 원형 형광등 지지구(200)의 단자케이스(214) 홈부(213)를 삽입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자블록(116)의 접점홈(115)에 형광등 지지구(200)의 접점돌기(211)가 삽입되므로서 접속이 이루어 지고, 아울러 상기 접점돌기(211)가 삽입되어 접속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단자블럭(116)의 걸림돌기(113)에 형광등 지지구(200)의 걸림단턱(212)이 걸리게 되고, 이를 걸림돌기(113)가 탄력적으로 지지하므로서 형광등 지지장치(100)에 원형 형광등 지지구(200)가 간단하면서도 안정되게 설치되어 지는 것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 형광등 지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단자케이스(320) 및 형광등(33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310)을 일정길이를 갖도록 직선으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310)의 저면 외측에 형성되는 제1고정홀더(311)는 길게 형성하고, 이 제1고정홀더(311)와 일정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2고정홀터(312)는 짧게 형성하여 형광등(330)을 보다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후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원형 형광등 지지구(300)의 하부 외측에 형성된 제1고정홀더(311)로는 40W용 원형 형광등이 설치되어 지며, 내측의 제2고정홀더(312)로는 이 보다 작은 32W용 원형 형광등이 설치되어 진다(국내생산되는 원형 형광등은 40W와 32W로 한정되어 있음).
따라서, 사용자는 주위환경이나 취향에 따라 두 종류의 형광등을 모두 설치하거나 하나의 형광등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그 밝기(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원형 형광등 지지구를 형성하여주므로서, 국내생산되는 두 종류의 원형 형광등(40W, 32W)를 동시 또는 별개로 다양하게 설치하며 조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원형 형광등 지지구의 단자케이스를 형광등장치의 단자하우징의 하부에서 상부로 결합함에 따라 접속 및 조립을 동시에 간단하게 이룰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할 것이다.

Claims (3)

  1. 스타터(31)와 안정기(32)가 설치되는 상판(30)과 외.내향플랜지(41)(42)가 형성된 보호통체(40)와 걸림돌기(51) 및 접점홈(54)을 갖는 단자블럭(55)이 형성된 단자하우징(50)으로 이루어진 형광등 지지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단자하우징(110)의 단자블럭(116)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부면 중앙에 접점돌기(211)와 걸림단턱(212) 및 홈부(213)를 갖는 단자케이스(214)가 형성되고;
    하부면 양끝단으로는 원형 형광등(220)이 체결되는 제1 및 제2고정홀더(215)(216)가 형성된 곡선의 지지프레임(210)을 갖는 원형 형광등 지지구(2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형광등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일끝단에 형성된 제1 및 제2고정홀더(215)(216)는 지지프레임(210)과 일체로 형성되며 타단의 제1 및 제2고정홀더(215')(216')는 체결부(215a)가 지지프레임(210)의 체결홈(210a)에 체결되어 전.후방으로 일정간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형광등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의 지지프레임(310)을 직선으로 형성하며 내측의 제2고정홀더(312)는 돌출 길이가 짧고 외측의 제1고정홀더(311)는 돌출 길이가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형광등 지지장치.
KR2019980011323U 1998-06-27 1998-06-27 원형 형광등 지지구 KR2002162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323U KR200216207Y1 (ko) 1998-06-27 1998-06-27 원형 형광등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323U KR200216207Y1 (ko) 1998-06-27 1998-06-27 원형 형광등 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554U KR20000001554U (ko) 2000-01-25
KR200216207Y1 true KR200216207Y1 (ko) 2001-03-15

Family

ID=69515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323U KR200216207Y1 (ko) 1998-06-27 1998-06-27 원형 형광등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2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554U (ko)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4707B2 (en) Recessed lighting fixture
US7390106B2 (en) Lighting apparatus
US20100207540A1 (en) Lighting apparatus
CA2170070A1 (en) Compact fluorescent lamp having a helical lamp envelope
US20100320930A1 (en) lighting apparatus
US20100277922A1 (en) Lighting apparatus
US20100246188A1 (en) lighting apparatus
US7178944B2 (en) Lighting apparatus
US4754197A (en) Arc discharge lamp assembly simulating gaslight
US20110012529A1 (en) lighting apparatus
US20100181892A1 (en) Lighting apparatus
WO2005099360A2 (en) An electric light
KR200216207Y1 (ko) 원형 형광등 지지구
JP3816465B2 (ja) 蛍光ランプ
US7748871B2 (en) Lighting apparatus
US20120307502A1 (en) Lighting systems including adapters electrically connecting lighting apparatuses
EP0585447B1 (en) Arc discharge lamp having cementless right-angle base members
KR20000001555U (ko) 원형 형광등 지지장치
US20130039068A1 (en) Lamp Assembly with Snap-In Capsule Clip
KR200255593Y1 (ko) 형광등의 소켓 결합 구조
JP3864819B2 (ja) 蛍光ランプ用照明器具
KR200236689Y1 (ko) 콤팩트형 형광램프용 등기구
KR100904763B1 (ko) 자유곡선형 형광램프
JPS5941566Y2 (ja) けい光ランプ装置
JPH042572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