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803Y1 - 테스트기능을 가지는 화재감지기 - Google Patents

테스트기능을 가지는 화재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803Y1
KR200215803Y1 KR2020000027361U KR20000027361U KR200215803Y1 KR 200215803 Y1 KR200215803 Y1 KR 200215803Y1 KR 2020000027361 U KR2020000027361 U KR 2020000027361U KR 20000027361 U KR20000027361 U KR 20000027361U KR 200215803 Y1 KR200215803 Y1 KR 2002158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ignal
unit
fire detector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필영
Original Assignee
대성에프에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에프에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에프에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7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8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8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803Y1/ko

Links

Landscapes

  • Fire Alar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스트기능을 가지는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화재감지기는 화재감지시 온동작하여 일정전압을 출력하는 화재감지부(110)와, 상기 화재감지부(110)의 온동작에 따라 상기 출력전압에 따른 감지신호를 유지하는 신호유지부(120)와, 상기 신호유지부(120)에 따라 화재감지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LED)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점등동작과 아울러 상기 감지신호를 인가받고 화재경보상태를 경보하는 화재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화재수신기로부터 일정 전원을 공급받는 무극성정류부(100)와, 상기 무극성정류부(100)로부터 상기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 레이저다이오드가 케이스전면에 형성된 레이저발생기로부터 일정 세기의 레이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유지부(120)를 온/오프동작시키는 시험신호수신부(130)와, 상기 시험신호수신부(130)와 직렬접속되며 소정 세기의 빛에 의해 상기 시험신호수신부(130)가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상회로부(140)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이에 따라 화재감지기를 분해하거나 화재상황을 연출하지 않고도 화재감지기의 정상동작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정확한 점검을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테스트기능을 가지는 화재감지기{Fire-sensing apparatus having a test function}
본 고안은 테스트기능을 가지는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감지기를 분해하거나 화재상황을 연출하지 않고도 화재감지기의 정상동작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테스트기능을 가지는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화재감지기는 한 건물내의 소방 시설중 최초로 화재를 감지하여 경보하는 중요한 설비로서, 그 화재감지기는 주로 건물내의 천정부근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에 열 또는 연기 등을 감지하고, 이를 고유의 신호로 변환하여 화재경보장치(화재수신기)에 전달함으로써, 화재경보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화재감지기는 동일한 화재감지구역내에 병렬로 다수개가 연결되어 화재발생시 어느 하나의 화재감지기가 동작하게되면 그 구역내에 연결되어있는 화재감지기는 화재경보신호를 발생하는 반면, 상기한 화재감지기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화재감지기가 동작불능상태이거나 선로 단선상태인 경우에는 화재발생시 경보신호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재감지기를 보인 개략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감지기는 대략 원판형의 케이스(10) 하단으로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부(11) 및 그 화재감지부(11)를 중심으로 그 외주면상에 1개의 발광다이오드(12)로 구성되며, 그 화재감지기에 의한 화재감지시 그 감지신호가 상기 전술한 화재수신기로 전송되어 화재발생을 알리게 됨과 아울러 상기 발광다이오드(12)의 점등상태에 따라 화재감지기가 정상적으로 동작중임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한 화재발생을 경보하는 화재감지기가 만약 비정상적으로 동작되는 경우에는 많은 인적·물적피해가 발생되는 것은 자명한 바, 이에 따라 건물관리자 및 소방관계자 등은 상기 화재감지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정기적으로 점검할 필요성이 있으며, 그 필요에 따라 화재감지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시험하게 된다.
이와같은 화재감지기 점검과정에는 건물 천정에 부착된 화재감지기의 케이스(10)를 분해하여 그 내부에 배선된 화재감지부(11)의 입력측 선로를 강제로 숏트시켜 소정의 전기신호가 화재수신기에 전달되는지를 확인하는 방법과, 백열전구나 그밖의 발열기기를 이용하여 화재감지기에 직접 열을 가하여 동작시켜보는 방법과, 연기감지형 화재감지기인 경우에는 모기향과 같은 연기발생수단을 이용하여 연기를 발산하여 화재감지기의 정상유무를 시험하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점검방법에 의해 화재감지기의 정상여부를 확인하는데는 안전사고 등의 위험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상기 천정에 부착된 화재감지기를 분해하기 위해서는 이동용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작업을 해야만 하기 때문에 항상 안전사고 위험이 따르게 되며, 직접 열을 가하여 동작시켜보는 경우에도 백열전구 점등용 전원이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잘못하면 화재감지부에 직접적인 고온의 열이 공급되어 고장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연기발생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일정양의 연기가 발생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경과하여야 하므로 정상여부 확인을 위한 시험을 신속히 진행할 수 없을뿐만 아니라 연기를 발산하기 위해서는 이동용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야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안전위험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감지기에 시험신호수신용 센서 및 이와 직렬접속되는 보상회로용 센서를 소정 거리 이격시켜 설치한 상태에서 일정 파장을 가지는 빛 또는 레이저 신호가 조사될 때 화재감지기의 정상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감지기를 분해하거나 실제 화재상황을 연출하지 않고도 화재감지기를 손쉽게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한 테스트기능을 가지는 화재감지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테스트기능을 가지는 화재감지기는, 화재감지시 온동작하여 일정전압을 출력하는 화재감지부와, 상기 화재감지부의 온동작에 따라 상기 출력전압에 따른 감지신호를 유지하는 신호유지부와, 상기 신호유지부에 따라 화재감지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LED)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LED)의 점등동작과 아울러 상기 감지신호를 인가받고 화재경보상태를 경보하는 화재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화재수신기로부터 일정 전원을 공급받는 무극성정류부와, 상기 무극성정류부로부터 상기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 레이저다이오드가 케이스전면에 형성된 레이저발생기로부터 일정 세기의 레이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유지부를 온/오프동작시키는 시험신호수신부와, 상기 시험신호수신부와 직렬접속되며 소정 세기의 빛에 의해 상기 시험신호수신부가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상회로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시험신호수신부 및 보상회로부는 소정 세기의 광원을 조사받게되면 각각 온 동작하는 제 1포토다이오드(PD1)와 제 2포토다이오드(PD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포토다이오드(PD1)는 상기 제 2포토다이오드(PD2)보다 일정 세기 이상의 광원을 조사받게 되는 경우에만 온(ON)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화재감지기를 분해하지 않고 손쉽게 레이저발생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 1포토다이오드(PD1)에만 일정 세기의 빛을 조사하게 되면 상기 화개감지기의 정상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재감지기를 보인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기능을 가지는 화재감지기를 나타내고 있는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 3은 도 2의 상세회로도,
도 4는 본 고안의 테스트기능을 가지는 화재감지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무극성정류부, 110 : 화재감지부,
120 : 신호유지부, 130 : 시험신호수신부,
140 : 보상회로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기능을 가지는 화재감지기를 나타내고 있는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 3은 도 2의 상세회로도, 도 4는 본 고안의 테스트기능을 가지는 화재감지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수신기(도면미도시)로부터 감지기전원을 공급받는 브릿지정류회로(D1-D4)로 구성되는 무극성정류부(100)와, 상기 무극성정류부 (100)로부터 일정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 열 또는 연기 등을 감지하여 온동작되도록 화재감지스위치(P)가 구비된 화재감지부(110)와, 상기 화재감지부(110)의 화재감지스위치(P) 온동작에 따라 감지신호를 유지하는 신호유지부(120)와, 상기 신호유지부(120)의 온 상태에 따라 상기 화재감지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화재감지기의 테스트시 소정 레이저발생기(도면 미도시)로부터 조사되는 일정 파장의 레이저신호를 수신하는 시험신호수신부(130) 및 상기 시험신호수신부(130)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보상회로부(140)가 구비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험신호수신부(130)는 상기 화재감지부(110)의 화재감지시 화재감지스위치(P)의 온동작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으로 점등되어 화재감지기의 정상 동작여부를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LED) 및,화재감지기의 정상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레이저발생기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신호를 검출하면 온동작하여 상기 신호유지부(120)의 사이리스터(SCR)로 소정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제 1포토다이오드(PD1)(130a;도 4참조)가 제공된다.
상기 보상회로부(140)는 상기 시험신호수신부(130)의 제 1포토다이오드(PD1) (130a)가 일상적인 빛에 의하여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제 2포토다이오드가 (PD2)(140a;도 4참조)가 직렬접속되어 구성된다.
여기서,상기 제 1포토다이오드(PD1)(130a)와 제 2포토다이오드(PD2)(140a)의 이격거리는 약 13mm 정도 떨어져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 상기 제 1포토다이오드(PD1)(130a)는 1000Lux이상의 빛을 조사받게 되면 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신호유지부(120)는 화재감지시 감지신호를 화재수신기로 출력하도록 사이리스터(SCR)가 구비되는 바, 그 사이리스터(SCR)는 상기 화재감지부(110)의 화재감지스위치(P)가 온동작시 저항 R4,R6으로 분압된 전압을 인가받고, 이때 분압전압의 전달시간은 R4와 C2의 시정수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는 레이저발생기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대략 명함크기의 1/2크기로 구성되며, 케이스의 일측에 사용자가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된 버튼이 형성되고, 케이스의 전면으로 버튼입력시 일정세기의 레이저신호를 발생시키는 레이저다이오드가 설치된 구성이다.
상기 미설명된 부호 R1-R7는 저항, C1,C2는 커패시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도 2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재감지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화재감지기는 화재수신기로부터 무극성정류부(100)의 A,B단자를 통해 감지기전원이 인가되면 다이오드(D1-D4)로 구성된 브릿지 정류회로를 통하여 접속방향의 무극성전원을 갖게되며, 이때 커패시터(C1)은 전원선으로 유입되는 서지전압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열 또는 연기 등을 감지하는 화재감지기의 화재감지스위치(P)가 온동작함과 아울러, 저항 R4,R6에 의해 분압된 전압이 사이리스터(SCR)의 제어단자(게이트)로 공급되고, 상기 사이리스터(SCR)는 입력되는 전압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화재수신기로 소정의 화재감지신호를 연속해서 송출하여 화재가 발생했음을 알려준다.
여기서, 상기 화재감지스위치(P)의 스위칭 전류는 통상 감지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수신기의 내부저항이 약 1㏀정도이므로 '(24V-1.2V)*0.5V/1㏀+R4'로 산출되는 바, 도 3에서 저항 R4가 4.7㏀이라고 했을 때, 그 스위칭 전류는 약 20㎃ 가 흐르게 된다. (24V-1.2V;정류다이오드 순방향 전압강하), 0.5V;스위칭회로의 포화전압)
한편, 상기 사이리스터(SCR)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은 저항 R4와 커패시터 C2의 시정수에 의해 소정 시간만큼 지연되어 전달되게 된다.
계속해서, 화재감지부(110)의 온동작에 따라 상기 사이리스터(SCR)가 구동되며, 이와 아울러 발광다이오드(LED)가 상기 전압으로 점등되어 화재감지기가 동작되고 있음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점등된 발광다이오드(LED)는 상기 사이리스터(SCR)의 특성에 따라 전원이 차단될때까지 점등된다.
이와같이 동작하는 화재감지기의 정상상태여부를 테스트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레이저발생기를 조작하여 화재감지기의 시험신호수신부(130)에 위치해있는 제 1포토다이오드(PD1)(130a)를 향해 일정세기(약 1000LUX이상)의 레이저신호를 소정시간(1-2초정도)동안 조사시키면, 상기 제 1포토다이오드(PD1) (130a)는 입력되는 레이저신호에 의해 온(ON)동작하게 되는바, 이때 상기 화재감지스위치(P)는 단락상태이지만 상기 제 1포토다이오드(PD1)(130a)의 온동작에 따라 상기 화재감지스위치(P)를 도통시키는 것과 같은 동일한 폐회로를 구성하여 신호유지부(120)의 사이리스터(SCR)를 온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사이리스터(SCR)는 화재수신기로 소정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이때 상기 사이리스터(SCR)가 온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발광다이오드(LED)에도 전압이 공급되어 점등상태가 됨으로서 사용자는 화재감지기의 정상상태를 판단할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제 2포토다이오드(PD2)(140a)에만 소정 레이저신호가 조사된다면, 상기한 폐회로가 구성되지 않아 사이리스터(SCR)에 전압이 인가되지않게 됨으로써 화재감지기는 동작되지 않고, 또한 상기 제 1(PD1)(130a), 제 2포토다이오드(PD2)(140a)에 동시에 빛이 조사되는 경우에도 소정 전압은 저항 R1, R3 및 R7를 매개하여 바이패스되어 상기한 사이리스터(SCR)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제 1포토다이오드(PD1)(130a)와 제 2포토다이오드(PD2)(140a)는 약 13mm정도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어(도 4 참조), 상기 제 2포토다이오드(PD2)(140a)는 제 1포토다이오드(PD2)(130a)가 일상적인 빛을 조사받아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바, 상기 시험신호수신부(130)의 제 1포토다이오드(PD1)(130a)에만 빛이 조사될때에만 화재감지기는 정상적인 시험동작이 이루어지며, 보상회로부(140)의 제 2포토다이오드(PD2)(140a)에 조사되거나 제 1포토다이오드(PD1) (130a), 제 2포토다이오(PD2)(140a)에 모두 빛이 조사될때는 상기 화재감지기는 동작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화재감지기의 정상상태여부 및 내부회로의 단선상태를 점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화재감지기에 시험신호수신용센서 (PD1) 및 그 PD1의 오동작를 방지하기 위한 보상회로용 센서(PD2)를 소정 거리 이격시켜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PD1 및 PD2에 광원을 조사하여 화재감지기의 정상여부를 테스트할수 있음으로써, 화재감지기를 분해하거나 화재상황을 연출하지 않고도 화재감지기의 정상동작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정확한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화재감지시 온동작하여 일정전압을 출력하는 화재감지부(110)와, 상기 화재감지부(110)의 온동작에 따라 상기 출력전압에 따른 감지신호를 유지하는 신호유지부(120)와, 상기 신호유지부(120)에 따라 화재감지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LED)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LED)의 점등동작과 아울러 상기 감지신호를 인가받고 화재경보상태를 경보하는 화재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화재수신기로부터 일정 전원을 공급받는 무극성정류부(100)와,
    상기 무극성정류부(100)로부터 상기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 레이저다이오드가 케이스전면에 형성된 레이저발생기로부터 일정 세기의 레이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유지부(120)를 온/오프동작시키는 시험신호수신부(130)와,
    상기 시험신호수신부(130)와 직렬접속되며 소정 세기의 빛에 의해 상기 시험신호수신부(130)가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상회로부(14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기능을 가지는 화재감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신호수신부(130) 및 보상회로부(140)는 소정 세기의 광원을 조사받게되면 각각 온 동작하는 제 1포토다이오드(PD1)(130a)와 제 2포토다이오드(PD2) (140a)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기능을 가지는 화재감지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포토다이오드(PD1)(130a)는 상기 제 2포토다이오드(PD2)(140a)보다 일정 세기 이상의 광원을 조사받게 되는 경우에만 온(ON)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기능을 가지는 화재감지기.
KR2020000027361U 2000-09-29 2000-09-29 테스트기능을 가지는 화재감지기 KR2002158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361U KR200215803Y1 (ko) 2000-09-29 2000-09-29 테스트기능을 가지는 화재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361U KR200215803Y1 (ko) 2000-09-29 2000-09-29 테스트기능을 가지는 화재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803Y1 true KR200215803Y1 (ko) 2001-03-15

Family

ID=73089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361U KR200215803Y1 (ko) 2000-09-29 2000-09-29 테스트기능을 가지는 화재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8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429B1 (ko) 2006-11-21 2008-03-13 주식회사 유성반도체 오동작 방지기능을 구비한 화재 감지기
KR20200105564A (ko) * 2019-02-28 2020-09-08 양성환 화재감지기 점검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429B1 (ko) 2006-11-21 2008-03-13 주식회사 유성반도체 오동작 방지기능을 구비한 화재 감지기
KR20200105564A (ko) * 2019-02-28 2020-09-08 양성환 화재감지기 점검시스템
KR102199240B1 (ko) * 2019-02-28 2021-01-08 양성환 화재감지기 점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97661A1 (en) Alarm having illumination feature
JP4619842B2 (ja) 火災警報器
US20100315224A1 (en) Self-testing notification appliance
KR101911371B1 (ko) 부가기능 확장형 화재감지기
US4823114A (en) Flame scanning system
KR101720410B1 (ko) 비화재보 요인을 제거한 화재감지시스템
KR20180067474A (ko) 점검 표시램프가 구비된 엘이디 조명등
KR200215803Y1 (ko) 테스트기능을 가지는 화재감지기
US20030143503A1 (en) Industrial flame sensor communication system
JP2009187822A (ja) 表示装置
KR101021058B1 (ko) 자가진단형 불꽃감지기
US20130140993A1 (en) Failsafe lighting system
KR200188073Y1 (ko) 화염감지 센서를 이용한 경보장치
JPH0575421A (ja) 多光軸光電スイツチ
JP2002024953A (ja) ライン断線および火災発生監視装置、これを有する火災警報装置ならびにライン断線および火災発生監視方法
US6196703B1 (en) Automatic shutoff system
JPH04351422A (ja) 変流器2次回路の開放検出装置
KR200187082Y1 (ko) 화재 감지기용 테스트장치
KR100775051B1 (ko) 비상조명등용 연기감시장치
CA2512498A1 (en) Hazard detector
KR200445225Y1 (ko)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
KR200162414Y1 (ko) 화재전용 asic 저전류 구동회로
JP3945756B2 (ja) 火災感知器
JPS6349825Y2 (ko)
US3286246A (en) Annunciator for system malfun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