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564Y1 - 펜던트링 - Google Patents

펜던트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564Y1
KR200215564Y1 KR2020000026285U KR20000026285U KR200215564Y1 KR 200215564 Y1 KR200215564 Y1 KR 200215564Y1 KR 2020000026285 U KR2020000026285 U KR 2020000026285U KR 20000026285 U KR20000026285 U KR 20000026285U KR 200215564 Y1 KR200215564 Y1 KR 2002155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ring
ball
fixing ho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주
Original Assignee
권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주 filed Critical 권기주
Priority to KR2020000026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5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5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564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신구를 교환할 수 있는 펜던트링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손가락에 끼우는 악세사리용 펜던트링에 있어서, 공지의 원형 링과; 다수의 구형 단위 볼들을 연결핀으로 직렬연결한 볼체인과 상기 볼체인의 일측에 연결되는 장신구로 구성된 장신구어셈블리와; 상기 볼체인의 단위 볼이 진입되도록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를 통해 단위 볼이 진입한 후 상기 연결핀이 압입될 때 양측으로 탄성변형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구에서 일측단부까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며, 일측단부에 절개부를 통해 연결핀이 진입된 후에 개방구를 통해 진입된 단위 볼이 지지되도록 상기 단위 볼보다 작은 직경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링의 상측에 형성되는 안착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개방구가 고정홀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가 개방구의 상측에서 고정홀의 상측까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개방구가 안착구의 저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가 개방구의 일측에서 안착구의 저면을 따라 고정홀의 일측까지 형성된 것이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장신구를 쉽게 교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펜던트링{A finger pendent ring}
본 고안은 펜던트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신구를 탈착함으로써 교환할 수 있는 펜던트링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링(ring-반지)은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필수적인 장신구로 여성들로부터 애용되어 왔으며, 근래에 와서는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들에게도 널리 애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는데, 개성을 강조하는 현시대의 패션(fashion)흐름에 따라 반지의 디자인(design)은 점점 더 화려해지면서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그래서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고가의 보석 반지보다는, 개성이 있으면서도 언제나 경제적으로 부담없이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저렴한 반지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링은 옥반지와 같은 단순한 형태의 원형링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손가락에 낄수 있는 링(ring)의 상측에 보석 등의 장신구를 부착시켜 그 아름다움을 더 빛낸 제품(펜던트링-pendent ring, 장신구가 부착된 반지)이 많은데,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장신구의 디자인의 독특함과 아름다움을 보고 펜던트링을 구입하게 된다.
그러나 펜던트링은 특성상 링 상측의 장신구나 전체적인 형상에 변화를 줄 수 없어 그 디자인이 거의 확정적인데, 상기와 같이 개성을 중시하는 악세사리 소비풍조에서 젊은이들을 비롯한 많은 소비자들은 자신의 펜던트링에 쉽게 매력을 잃고 있으며, 구입후 오래되지 않아 새롭고 개성있는 제품을 구입하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저가의 펜던트링들은 어느 정도의 기간이 지난 후에 쉽게 버려지고 있고, 젊은이들을 비롯한 많은 소비자들은 새롭고 개성있는 펜던트링제품을 구입하기 위하여 새로운 경제적 지출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링 상측의 장신구를 필요에 따라 교환할 수 있는 펜던트링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손가락에 끼우는 악세사리용 펜던트링에 있어서, 공지의 원형 링과; 다수의 구형 단위 볼들을 연결핀으로 직렬연결한 볼체인과 상기 볼체인의 일측에 연결되는 장신구로 구성된 장신구어셈블리와; 상기 볼체인의 단위 볼이 진입되도록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를 통해 단위볼이 진입한 후 상기 연결핀이 압입될 때 양측으로 탄성변형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구에서 일측단부까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며, 일측단부에 절개부를 통해 연결핀이 진입된 후에 개방구를 통해 진입된 단위 볼이 지지되도록 상기 단위 볼보다 작은 직경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링의 상측에 형성되는 안착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개방구가 고정홀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가 개방구의 상측에서 고정홀의 상측까지 형성된 것이다.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개방구가 안착구의 저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가 개방구의 일측에서 안착구의 저면을 따라 고정홀의 일측까지 형성된 것이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장신구를 쉽게 교환할 수 있어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펜던트링의 일실시예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펜던트링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펜던트링의 사용상태 단면도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펜던트링의 다른 일실시예 저면 분리 사시도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펜던트링의 다른 일실시예 저면 사시도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펜던트링의 다른 일실시예 사시도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펜던트링의 다른 일실시예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링 20 : 안착구
21 : 개방구 22 : 고정홀
23 : 절개부 30 : 장신구 어셈블리
31 : 볼체인 32 : 단위 볼
33 : 연결핀 34 : 장신구
이하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참조한 도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펜던트링의 일실시예 분리 사시도와 사시도 및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펜던트링의 다른 일실시예 저면 분리 사시도와 저면 사시도 및 사시도와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10)의 상측에 볼체인(31)을 탈착할 수 있는 안착구(20)를 형성하고, 상기 안착구(20)에 볼체인(31)과 장신구(34)로 이루어진 장신구 어셈블리(30)를 부착시킬수 있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손가락에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된 링(10)은 반지의 기본을 이루는 원형의 고리이며, 제품의 종류에 따라 여러가지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볼체인(31)은 군대에서 사용되는 군번줄의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구형 단위 볼(32)들을 짧은 막대와 같은 연결핀(33)을 이용하여 직렬로 연결하여 이루어 진다. 볼체인(31)은 길이방향으로 약간의 신축이 가능하며, 일반적인 끈과 같이 유연성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볼체인(31)은 그 자체가 하나의 디자인 요소이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일측에 형성되는 장신구(34)를 안착구(20)에 부착시키기위한 매개체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단위 볼(32)의 수를 3개 이내로 형성하여 그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볼체인(31)의 일측에 형성되는 장신구(34)는 하트모양이나 별모양 등 기호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사용자가 언제든지 원하는 모양의 장신구(34)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안착구(20)는 상기 링(10)의 상측에 고정되는데, 상기 단위 볼(32)이 진입하는 개방구(21)와 볼체인(31)을 고정지지하는 고정홀(22)과 연결핀(33)이 압입되는 절개부(23)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개방구(21)는 상기 볼체인(31)의 단위 볼(32)이 진입하는 곳으로 상기 단위 볼(32)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23)는 개방구(21)를 통해 단위 볼(32)이 진입한 후에 상기 연결핀(33)이 압입될때 양측으로 탄성변형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개방구(21)에서부터 안착구(20)의 일측단부까지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러므로 안착구(20)는 상기 절개부(23)를 중심으로 양측이 탄성변형할 수 있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안착구(20)의 일측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홀(22)은 그 크기가 단위 볼(32)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33)이 압입되어 절개부(23)를 경유하여 진입된 후에 최종적으로 위치하게 되는 곳으로 상기 볼체인(31)을 고정지지하게 된다. 즉 연결핀(33)이 고정홀(22)에 진입하게 되면 절개부(23)의 양측이 탄성복원되므로 닫히게 되어,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홀(22)을 사이에 두고 단위 볼(32)과 단위 볼(32)이 지지되는 것이다.
먼저, 장신구 어셈블리(30) 중 볼체인(31)의 단위 볼(32)을 개방구(21)에 삽입하고, 단위 볼(3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핀(33)을 상기 절개부(23)에 대향시킨 후 고정홀(22)측으로 가압하여 밀어넣는다. 그러면 안착구(20)의 절개부(23) 양측이 탄성변형되면서 절개부(23)사이로 연결핀(33)이 삽입되고 최종적으로는 연결핀(33)이 고정홀(22)측으로 인출되어 나온다. 그러나 고정홀(22)은 상기 단위볼(32)보다는 크기가 작으므로 단위 볼(32)이 빠져나오지 못하고 도 2 및 도 3과 도 5 및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단위 볼(32)이 개방구(21) 내측에 안치된 채로 장신구 어셈블리(30)는 안착구(20)에 직각상태로 고정된다.
이번에는 반대로 장신구(34)의 모양에 싫증을 느껴 장신구 어셈블리(30)를 바꾸고자 한다면 볼체인(31)의 연결핀(33)을 고정홀(22)과 연결된 절개부(23)에 대향시키고 개방구(21)측으로 가압하게되면 연결핀(33)이 절개부(23)를 경유하여 개방구(21)로 빠져 나오게 된다. 그리고 교환하고자 하는 모양의 장신구(34)가 달린 장신구 어셈블리(30)를 선택하여 상기의 과정을 거쳐 안착구(20)에 결합시키면 된다.위의 원리 및 과정에 따라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경우 장신구 어셈블리(30)는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을 통하여 안착구(20)에 결합하거나 분리시킬수 있고, 도 4 내지 도 7의 실시예의 경우 장신구 어셈블리(30)는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을 통하여 안착구(20)에 결합하거나 분리시킬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의한 반지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언제든지 원하는 모양의 장신구(34)를 선택적으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명백한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개성있는 다양한 모양의 장신구로 이루어진 각 각의 장신구 어셈블리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링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장신구에 싫증을 느끼게 되면 언제든지 새로운 모양의 장신구가 달린 장신구 어셈블리로 교환해 줌으로써 항상 새로운 반지를 착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새로운 반지를 구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쇼핑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도 많은 절약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손가락에 끼우는 악세사리용 펜던트링에 있어서,
    공지의 원형 링(10)과;
    다수의 구형 단위 볼(32)들을 연결핀(33)으로 직렬연결한 볼체인(31)과 상기 볼체인(31)의 일측에 연결되는 장신구(34)로 구성된 장신구어셈블리(30)와;
    상기 볼체인(31)의 단위 볼(32)이 진입되도록 개방구(21)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21)를 통해 단위 볼(32)이 진입한 후 상기 연결핀(33)이 압입될 때 양측으로 탄성변형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구(21)에서 일측단부까지 절개된 절개부(23)가 형성되며, 일측단부에 절개부(23)를 통해 연결핀(33)이 진입된 후에 개방구(21)를 통해 진입된 단위 볼(32)이 지지되도록 상기 단위 볼(32)보다 작은 직경의 고정홀(22)이 형성되고, 상기 링(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안착구(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던트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21)가 고정홀(22)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23)가 개방구(21)의 상측에서 고정홀(22)의 상측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던트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21)가 안착구(20)의 저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23)가 개방구(21)의 일측에서 안착구(20)의 저면을 따라 고정홀(22)의 일측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던트링.
KR2020000026285U 2000-09-19 2000-09-19 펜던트링 KR2002155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285U KR200215564Y1 (ko) 2000-09-19 2000-09-19 펜던트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285U KR200215564Y1 (ko) 2000-09-19 2000-09-19 펜던트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564Y1 true KR200215564Y1 (ko) 2001-03-15

Family

ID=7308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285U KR200215564Y1 (ko) 2000-09-19 2000-09-19 펜던트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5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5065A (en) Hair barrette with replaceable ornaments
KR200215564Y1 (ko) 펜던트링
US6539749B2 (en) Combination earrings and nape chain and method therefor
US20020092323A1 (en) Decorative bead for bracelets, necklaces and the like
KR102023327B1 (ko) 마찰식 압입구조의 초경량 라이트 장식볼을 갖는 장식줄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장식줄
JP3147796U (ja) 装身具の装飾体
WO2005077221A1 (ja) 変形自在の装身具
WO2012050551A1 (en) Puzzle bands
KR200186243Y1 (ko) 구슬형 보석 착탈용 목걸이
KR200273301Y1 (ko) 퍼즐 반지
KR200276911Y1 (ko) 장식용 반지
KR101967202B1 (ko) 디자인 확장성을 갖는 매듭장식구 결합형 액세서리
JPH11196911A (ja) リング体及びこれを用いた装飾品
JP4721088B2 (ja) 装身具接続金具及び専用プレート
CN209436422U (zh) 饰品组合结构
KR101959518B1 (ko) 매듭장식구 결합형 액세서리
JP3147797U (ja) 装身具の装飾体
US9010146B1 (en) Wearable decorative articles
KR19990011793U (ko) 패션용 악세사리
KR200397718Y1 (ko) 조립식 반지
KR200375097Y1 (ko) 진자운동을 하는 장신구
KR200338527Y1 (ko) 커플용 팔찌
KR200193581Y1 (ko) 장식미를 갖는 목걸이 구조
KR200322652Y1 (ko)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는 장신구
KR200287973Y1 (ko) 장신구 결합 통공이 형성된 머리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