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012Y1 - 금속주조용 슬리브 구조 - Google Patents

금속주조용 슬리브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012Y1
KR200215012Y1 KR2020000023931U KR20000023931U KR200215012Y1 KR 200215012 Y1 KR200215012 Y1 KR 200215012Y1 KR 2020000023931 U KR2020000023931 U KR 2020000023931U KR 20000023931 U KR20000023931 U KR 20000023931U KR 200215012 Y1 KR200215012 Y1 KR 2002150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metal
sleeve
pressure
molding space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미
Original Assignee
문정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미 filed Critical 문정미
Priority to KR2020000023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0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0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012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속주조용 슬리브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리브 하단에 형성된 압탕목 부분을 선택하고 선택된 압탕목 내측에 압탕 내경 보다 직경이 작은 보조압탕목을 형성하며, 보조압탕목 상단에는 압탕에 충진된 용탕이 성형공간으로 자연스럽게 흐를수 있도록 경사면을 일체로 형성한 후, 성형된 주조품에서 압탕을 절단할 때 상기 보조압탕목에 의해 후처리 절단시간이 단축되게 하므로서 생산원가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속주조용 슬리브 구조{A sleeve construction of the casting of a metal}
본 고안은 금속주조용 슬리브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리브 하단 내측에 별도의 보조압탕목을 형성한 후, 성형된 주조품에서 압탕을 절단할 때 보조압탕목에 의해 후처리 절단시간이 단축되게 하므로서 생산원가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한 금속주조용 슬리브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 슬리브의 설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주형도이고, 도2는 종래 슬리브의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주조를 하기 위해서는 도1과 도2에서와 같이 용해된 금속인 용탕을 래들(laddle)을 이용하여 주입구(1)에 부으면 용탕이 탕로(2)를 따라 안내되면서 탕구(3)를 통해 성형공간(7)에 충진되게 하는 주형틀(8)과, 상기 성형공간(8)의 상단에 하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용탕이 압탕(5)까지 충진된 후 성형공간(7)에 충진된 용탕이 액체에서 고체로 변할때 수축이 일어나면 부족한 용탕을 성형공간(7)으로 공급되게 하는 슬리브(4)가 기본적으로 동원되는데, 도1에서와 같이 래들을 이용하여 주입구(1)에 용해된 금속 즉 용탕을 부으면 용탕은 탕도(2)를 따라 안내되면서 탕구(3)를 통해 빈 공간인 성형공간(7)에 충진되고, 성형공간(7)에 용탕이 완전히 충진되면 압탕목(6)을 거쳐 슬리브(4)의 압탕(5)에 충진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성형공간(7)과 압탕(5)에 용탕이 충진 완료되어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탕구계인 주입구(1), 탕도(2), 탕구(3)등이 차례로 식으면서 성형공간(7)내에서 주조품이 응고되기 시작한다.
이때 금속은 액체에서 고체로 변하면 통상적으로 수축이 일어나고, 이 수축으로 인한 부족한 용탕은 압탕(5)으로 부터 공급받으면서 주조품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대부분의 금속은 고체 상태에서 외부로 부터 열을 받아 녹으면 부피 팽창을 하게 되고, 반대로 식으면 부피수축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영향으로 금속주조시 응고할 때 부피 수축으로 인한 내부 공극이 발생하게 되면 불량품이 되므로, 부피 수축시 부족한 용탕을 채워주기 위해서는 주조품의 최상부에 슬리브로 이루어진 압탕을 설치하게 되며, 슬리브는 압탕이 천천히 식도록 발열 보온 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4a, 4b는 다른 형상을 갖는 각각의 슬리브로서, 슬리브(4)와 같이 압탕(5a)(5b), 압탕목(6a)(6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슬리브(6)를 이용하여 부족한 용탕을 성형공간(7)내로 공급하면서 주조품을 성형할 수 있다는 잇점은 있으나, 통상 슬리브(4)는 도2에서와 같이 압탕목이 두껍기 때문에 주조품 성형후 주조품에서 압탕을 절단할 때 후처리 절단시간이 많이 걸려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주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슬리브 하단 내측에 별도의 보조압탕목을 형성한 후, 성형된 주조품에서 압탕을 절단할 때 보조압탕목에 의해 후처리 절단시간이 단축되게 하므로서 생산원가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한 금속주조용 슬리브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슬리브의 설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주형도,
도2는 종래 슬리브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슬리브의 설치 사용상태를 나타낸 주형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슬리브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형틀 11 ; 주입구 12 ; 탕로
13 ; 탕구 14 ; 성형공간 20 ; 슬리브
21 ; 압탕 22 ; 압탕목 30 ; 보조압탕목
40 ; 경사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슬리브 하단에 형성된 압탕목 부분을 선택하고 선택된 압탕목 내측에 압탕 내경 보다 직경이 작은 보조압탕목을 형성하며, 보조압탕목 상단에는 압탕에 충진된 용탕이 성형공간으로 자연스럽게 흐를수 있도록 경사면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압탕 슬리브의 설치 사용 상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압탕슬리브의 단면도 이다.
본 고안도 용해된 금속인 용탕을 래들을 이용하여 주입구(11)에 부으면 용탕이 탕로(12)를 따라 안내되면서 탕구(13)를 통해 성형공간(14)에 충진되게 하는 주형틀(10)과, 상기 성형공간(13)의 상단에 하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용탕이 압탕(21)까지 충진된 후 성형공간(14)에 충진된 용탕이 액체에서 고체로 변할때 수축이 일어나면 부족한 용탕을 성형공간(14)으로 공급되게 하는 슬리브(20) 구성되어 기본적으로 작용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다만 본 고안은 후처리시 절단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도3과 도4에서와 같이 슬리브(20) 하단에 형성된 압탕목(22) 부분을 선택하고 선택된 압탕목 내(22)측에 압탕(21) 내경 보다 직경이 작은 보조압탕목(30)을 형성하며, 보조압탕목(30) 상단에는 압탕(21)에 충진된 용탕이 성형공간(14)으로 자연스럽게 흐를수 있도록 경사면(40)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슬리브(20)의 형태를 원형으로 설명하였지만 도4에서와 같이 타원형, 맹압탕형 타입에 후처리 절단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면 보조압탕목(20)을 형성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3에서와 같이 보조압탕목(30)이 형성된 슬리브(20)를 성형공간(14) 상단부에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래들을 이용하여 주입구(11)에 용해된 금속을 부으면 용탕은 탕도(11)를 따라 안내되면서 탕구(12)를 통해 빈 공간인 성형공간(14)에 충진되고, 성형공간(14)에 용탕이 완전히 충진되면 압탕목(22)을 거쳐 슬리브(20)의 압탕(21)에 충진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친 후 주조품이 응고되기 시작하여 수축이 일어나면 압탕(21)내에 충진된 용탕은 경사면(40)을 따라 자연스럽게 성형공간으로 흘러가 부족한 용탕을 공급하게 되며, 주조품 성형후에는 보조압탕목이 내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처리 절단시간이 그만큼 단축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슬리브 하단 내측에 별도의 보조압탕목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된 주조품에서 압탕을 절단할 때 보조압탕목에 의해 후처리 절단시간이 단축되므로 생산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Claims (1)

  1. 용해된 금속인 용탕을 래들을 이용하여 주입구(11)에 부으면 용탕이 탕로(12)를 따라 안내되면서 탕구(13)를 통해 성형공간(14)에 충진되게 하는 주형틀(10)과, 상기 성형공간(13)의 상단에 하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용탕이 압탕(21)까지 충진된 후 성형공간(14)에 충진된 용탕이 액체에서 고체로 변할때 수축이 일어나면 부족한 용탕을 성형공간(14)으로 공급되게 하는 슬리브(20)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0) 하단에 형성된 압탕목(22) 부분을 선택하고 선택된 압탕목 내(22)측에 압탕(21) 내경 보다 직경이 작은 보조압탕목(30)을 형성하며, 보조압탕목(30) 상단에는 압탕(21)에 충진된 용탕이 성형공간(14)으로 자연스럽게 흐를수 있도록 경사면(4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주조용 슬리브 구조.
KR2020000023931U 2000-08-24 2000-08-24 금속주조용 슬리브 구조 KR2002150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931U KR200215012Y1 (ko) 2000-08-24 2000-08-24 금속주조용 슬리브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931U KR200215012Y1 (ko) 2000-08-24 2000-08-24 금속주조용 슬리브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012Y1 true KR200215012Y1 (ko) 2001-02-15

Family

ID=73058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931U KR200215012Y1 (ko) 2000-08-24 2000-08-24 금속주조용 슬리브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0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663B1 (ko) * 2018-01-15 2019-03-18 김국진 용탕의 흐름이 원활한 주조금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663B1 (ko) * 2018-01-15 2019-03-18 김국진 용탕의 흐름이 원활한 주조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737B1 (ko) 복잡한 형상의 주물을 주조하기 위한 주형 및 그러한 주형의 용도
US20100139884A1 (en) Casting mould for casting a cast part and use of such a casting mould
US10688555B2 (en) Method and casting mould for the manufacture of cast parts, in particular cylinder blocks and cylinder heads, with a functional feeder connection
CN101130206A (zh) 蠕墨铸铁铸件的铸造方法
JPH01245959A (ja) 鋳型の注湯装置
CN108746507A (zh) 一种弯曲水道内腔的锌合金水龙头本体的重力铸造工艺
KR200215012Y1 (ko) 금속주조용 슬리브 구조
JP5299258B2 (ja) ダイカスト鋳造装置及びダイカスト鋳造方法
CN203791613U (zh) 一种具有开放式壶嘴形内衬的浇包
JP2011125920A5 (ko)
CN217964723U (zh) 一种铝合金熔融液铸造用冷却装置
KR101840274B1 (ko) 스프루와 라이저가 일체화된 사형 주조용 사형 몰드
KR200403978Y1 (ko) 분리식 금속주조용 슬리브
CN211965881U (zh) 一种发动机支架压铸模具
KR200403979Y1 (ko) 분리층을 갖는 금속주조용 슬리브
CN212191123U (zh) 浇口杯
JPS6222705B2 (ko)
CN208437631U (zh) 一种锌合金龙头的重力浇铸装置
JP4646412B2 (ja) 鋳造金型及び鋳造品の鋳造方法
KR200382164Y1 (ko) 중공형 주물 제조용 복합주형
CN211360552U (zh) 一种金属铸造模具浇筑保温套装置
CN212398001U (zh) 铸造模具
KR100774844B1 (ko) 선박 엔진용 주강 실린더 커버의 주조 장치
JPH0195858A (ja) プランジャーチップ構造
KR100705117B1 (ko) 다이캐스팅용 용탕컵의 산화물 차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