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914Y1 -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 - Google Patents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914Y1
KR200214914Y1 KR2020000025960U KR20000025960U KR200214914Y1 KR 200214914 Y1 KR200214914 Y1 KR 200214914Y1 KR 2020000025960 U KR2020000025960 U KR 2020000025960U KR 20000025960 U KR20000025960 U KR 20000025960U KR 200214914 Y1 KR200214914 Y1 KR 200214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ox
cylinder
work
loading
fix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9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기
Original Assignee
김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기 filed Critical 김인기
Priority to KR20200000259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9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914Y1/ko

Link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력을 이용하여 이동가능한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부의 앞쪽으로 구비되고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적재함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후단측과 적재함의 전단측에 각각 결합되어 적재함의 앞부분을 들어올려 일정각도로 기울이게 되는 제1실린더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단측과 적재함의 후단측에 각각 결합되고 제1실린더와 동시에 작동되어 적재함을 일정높이로 수평상승시키게 되는 제2실린더와, 상기 운전부와 적재함 사이에는 360°회전가능도록 함과 동시에 앞쪽에는 다양한 형태의 작업도구가 착탈식으로 선택 구비되는 포크레인을 포함하는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를 구성함으로서, 수확, 적재, 하역작업이 편리하고도 신속하게 이루어 질수 있는 것임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되며 인력으로 불가능한 각종 작업들이 운전자 혼자서도 손쉽게 이루어 질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A farming machines car}
본 고안은 동력을 이용하여 이동가능한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함의 일정높이로 상승시킬수 있음은 물론 일정각도로 기울일수 있도록 하여 수확, 적재, 하역작업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 지도록 함과 동시에 포크레인을 구비하여 인력으로 불가능한 각종 작업들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한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 농장을 경영할때에 이루어지는 작업은 퇴비를 뿌려 토양을 일구는 작업, 이 토양에 소기의 농작물을 경작하는 작업, 경작한 농작물을 수확하는 작업, 수확한 농작물을 일정장소로 운반하는 작업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작업은 대부분 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작업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되는 것임은 물론 적지 않은수의 숙련된 작업인원이 필요하여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며 과수를 수확시에는 나무에 올라가야 되고 운반시에는 무거운 짐을 들고 운반차량 까지 이동한 다음 운반차량에 실어야 하므로 고된 작업이 이루어 짐과 동시에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항상 내재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목장 및 양계장을 운영할때 축사등에 적체되는 가축의 배설물을 수거할시에도 별도의 수거와 운반을 할수 있는 농기계가 제공되지 않아, 인력으로서 수거한 다음 수레를 이용하여 버리거나 퇴비로서 이용하게 되어 작업자가 배설물을 직접 밟으며 고온 다습하고 악취가 극심한 환경에서 장시간 작업이 이루어 져야 하고 중노동을 하게 되는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상기 운반 문제점은 경운기를 이용하여 어느 정도 해결 되었으나, 이는 운반작업 전용으로서 여타 하역 및 적재작업과 수확작업등에는 이용할수 없는 것이며, 작업과정은 사람이 일차적으로 수확한 다음 경운기의 적재함에 수확물을 싣는 작업을 완료한 후 운반차량이 있는 이동장소 까지 다시 이동한 후 하역한 다음 운반차량에 다시 싣는 고되고 복잡한 작업공정이 이루어 지는 것이며 이러한 작업은 일일이 사람손을 거치지 되지 않으면 작업이 불가능 한 것일 뿐 아니라 3∼5명의 적지 않은수의 건장하고 숙련된 인력이 필요한 것이며 항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적재함의 일정높이로 상승시킬수 있음은 물론 일정각도로 기울일수 있도록 하여 수확, 적재, 하역작업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 지도록 함과 동시에 포크레인을 구비하여 인력으로 불가능한 각종 작업들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한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의 측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의 적재함이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의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의 적재함이 수평상승된 상태의 측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적재함 110 ; 후미도어 200,300 ; 제1,2실린더
400 ; 포크레인 410 ; 작업도구 500 ; 운전부
600 ; 바퀴 700 ; 고정프레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엔진부의 동력으로서 바퀴를 구동시키고 사용자가 운전부를 조작하여 농작물의 수확 및 운반작업을 하게 되는 농기계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의 앞쪽으로 구비되고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적재함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후단측과 적재함의 전단측에 각각 결합되어 적재함의 앞부분을 들어올려 일정각도로 기울이게 되는 제1실린더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단측과 적재함의 후단측에 각각 결합되고 제1실린더와 동시에 작동되어 적재함을 일정높이로 수평상승시키게 되는 제2실린더와,
상기 운전부와 적재함 사이에는 360°회전가능도록 함과 동시에 앞쪽에는 다양한 형태의 작업도구가 착탈식으로 구비되는 포크레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의 측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의 적재함이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의 적재함이 수평상승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도 통상적인 동력운반차량처럼 적재함이 구비되고 엔진부의 동력으로서 바퀴를 구동하며 이동시에 주행방향과 속도등을 콘트롤하게 되는 운전부로 구성되는 맥락은 종래와 같다.
다만 본 고안은 적재함을 운전부의 앞쪽으로 구비하여 적재함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각종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적재, 하차, 수확작업이 한두명의 소수 인원으로서 편리하고도 신속하게 작업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 것이다.
100은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한두사람이 타서 작업이 이루어 질수 있음은 물론 일정량의 짐을 적재할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며, 하기에 설명될 운전부(500)의 앞쪽에 구비됨과 동시에 고정프레임(700)에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프레임(700)에 고정시에는 운전부(500) 쪽을 향하는 전단측 부분은 고정프레임(700)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되면서 고정안착과 이탈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수 있도록 고정되며 후미도어(110)가 구비되는 후단측 부분은 고정프레임(700)에 회전지지되는 형태의 고정안착과 이탈이 선택적으로 이루어 질수 있도록 고정프레임(700)에 안착되는 것이고, 상기 적재함(100)의 후미도어(110)는 통상적인 수동개폐방식과 유압실린더에 의한 자동개폐방식중 선택 구성되어지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적재함(100)은 후미도어(110)만이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도면중에 도시 하였지만, 이는 측방도어를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적재와 하역이 이루어 질수 있는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200은 상기 적재함(100)을 일정각도로 앞부분인 전단측을 들어 올리게 되는 제1실린더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일측부는 고정프레임(700)의 후단측에 회전축상결합되고 타측부는 적재함(100)의 전단측에 회전축상 결합되는 것이다.
300은 상기 적재함(100)의 뒷부분인 후단측을 들어 올리게 되는 제2실린더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제1실린더(200)와는 상호 엇갈리어 지지할수 있도록 일측부는 고정프레임(700)의 전단측에 회전축상 결합되고 타측부는 적재함(100)의 후단측에 회전축상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1,2실린더(200,300)의 작동시 적재함(100)의 상하 움직임이 원활하도록 도면중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전축상 결합되는 부위가 적재함(100) 또는 고정프레임(700)의 길이방향으로 좌우가변되면서 상하 이송될수 있도록 회전축의 좌우이송 가이드레일을 적재함(100) 또는 고정프레임(700)에 형성하여 구성할수 있는 것이고, 적재함(100)의 상승높이는 일반 트럭의 적재함 높이까지 상승하여 하역작업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과수나무에서 과일을 채취할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까지 상승할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제1실린더(200)로서 적재함(100)을 기울일수 있는 각도는 45°가 바람직하지만 이는 작업자가 0°∼80°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루어 임의의 하역장소에 하역을 완료할수 있도록 제1실린더(200)가 구비된다.
400은 적재함(100)과 운전부(500) 사이의 고정프레임(700) 상에 구비되는 포크레인으로서, 이는 고정프레임상에 360°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이며, 이 회전가능한 구성은 구동원인 모터와 일정한 감속비를 이루는 기어박스와 회전판을 상호 유기적으로 동작할수 있도록 하여 달성될수 있는 것이며, 붐의 사이 사이에는 관절부를 구성하고 이 관절부위는 유압실린더로서 작동될수 있도록 구성되고 끝단에는 다양한 형태의 작업도구(410)가 선택되어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것이며, 이는 작업에 따라 작업이 달라지는 것이고 간략히 분류하여 보면은 개토작업, 배수로작업, 굴삭작업에는 끝에 이빨이 달린 버킷, 평탄작업에는 이빨이 없는 버킷, 하역작업 및 적재작업등에는 지게발, 사람을 태워 일정높이의 과수를 수확하는 작업에는 바구니등의 작업도구(41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포크레인(400)을 사용시에 관절부위가 완전히 펼쳐진 형태를 취하여 작업도구(410)의 작업시 중량을 충분히 견딜수 있도록 구비되며, 사용치 않을시에는 완전히 포개진 형태로서 운전부(500)와 적재함(100) 사이의 고정프레임(700)에 안착된 형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500은 상기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를 조작하게 되는 운전부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핸들부를 포함하고 포크레인(400) 운전반과 적재함(100)의 제1,2실린더(200,300)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게 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작업자의 시선이 적재함(100)을 향하도록 의자가 배치된다.
600은 바퀴에 대한 것으로서, 이는 어느정도의 굴곡은 넘을수 있으며 비포장에 적합하고 농기계에 제공되는 통상의 바퀴가 적용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은, 먼저 적재작업을 살펴보면은 모아진 알갱이 및 가루형태의 농작물과 축사등의 사료 및 배설물등은 포크레인(400)의 버킷 작업도구를 이용하여 퍼서 적재함에 싫은 다음 하역장소까지 운반한 후 사용자는 제1실린더(200) 작동레버를 조작하게 되고 그러면 적재함(100)의 후미도어(110)가 있는 후단측을 중심축으로 하여 일정각도로 기울어지게 되고 적재된 화물은 쏟아지는 형태로 하역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여기에서 후미도어(110)는 작업자에 의해 개방되어 있거나 화물 자중이 후미도어(110) 쪽으로 밀리면서 자중에 의해 자동 개방될수 있는 상태를 이루거나 또는 유압실린더로서 개방되는 형태를 취하게 되는데 이는 후미도어(110)를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선택적인 방법으로 개방된 상태를 이룬다.
다른 적재작업의 형태로서 비교적 큰 형태의 포대, 상자, 가마니 등에 포장된 화물은 포크레인(400)의 작업도구(410)를 지게발로서 구비하여 지게발위에 차곡 차곡 쌓아서 적재시키거나 지게발이 들어갈수 있는 화물판에 쌓아둔것을 통째로 들어 적재를 완료한 다음 하역 장소까지 이동한 다음 다시 포크레인(400)의 지게발로서 화물판을 다시 들어 하역시킬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적재작업의 형태로서 포크레인(400) 작업도구(410)를 집게로서 구비하여 적재화물을 집어서 적재와 하역이 이루어 질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적재작업과 하역작업은 포크레인(400)을 사용하지 않고 적재함(100)이 하강된 상태에서 인력으로도 이루어 질수 있는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과수원등에서 본 고안을 이용한 수확작업을 살펴보면은 과수원등에 본 고안의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를 과수나무아래로 이동시킨후 작업자가 적재함(100)등에 선 상태로 과일을 딴 다음 바로 적재함(100)에 적재시키는 것이며, 이후 작업자의 키가 닿지 않는 곳의 과일은 운전자가 운전부(500)의 제1,2실린더(200,300) 작동레버를 조작하여 적재함(100)을 상승 시켜 작업자가 적재함(100)에 선 상태로 계속해서 연속적인 과일 수확작업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적재작업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가 진입할수 없거나 적재함(100)을 상승시킬수 없는 곳의 과일을 수확시에는 포크레인(400)의 작업도구(410)를 사람이 탈수 있는 바구니로 교체하여 작업자를 태운 다음 운전자가 포크레인(400)의 바구니를 과일이 있는 위치까지 근접시켜 수확작업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또한 바구니를 단 포크레인(400)을 이용하여 비닐하우수, 축사등의 지붕 및 난간등을 수리하는데도 사용할수 있는 것이어서 낙반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마무리 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과수지, 농지, 목지등의 평탄작업과 개토작업 및 굴삭작업등에 적합한 작업도구(410)를 포크레인(400)에 선택 결합하여 토지 개량작업, 배수로작업등을 혼자서도 편리하고도 신속하게 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적재함(100)을 제1,2실린더(200,300)로서 수편상태로 승,하강 시킴으로서 적재시에는 하강상태를 이루어 손쉽게 적재가 이루어지고 운반하여 장거리 운반용 트럭등에 하역시에는 트럭의 적재함 높이까지 상승시켜 높이를 맞춤으로서 또한 손쉽게 하역이 이루어질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적재함의 일정높이로 상승시킬수 있음은 물론 일정각도로 기울일수 있도록 하여 수확,적재,하역작업이 편리하고도 신속하게 이루어 질수 있는 것임과 동시에 다양한 작업도구를 선택적으로 부착할수 있는 포크레인을 구비함으로서 인력으로 불가능한 각종 작업들이 운전자 혼자서도 손쉽게 이루어 질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Claims (1)

  1. 엔진부의 동력으로서 바퀴를 구동시키고 사용자가 운전부를 조작하여 농작물의 수확 및 운반작업을 하게 되는 농기계에 있어서,
    상기 운전부(500)의 앞쪽으로 구비되고 고정프레임(700)에 설치되는 적재함(100)과; 상기 고정프레임(700)의 후단측과 적재함(100)의 전단측에 각각 결합되어 적재함(100)의 앞부분을 들어올려 일정각도로 기울이게 되는 제1실린더(200)와; 상기 고정프레임(700)의 전단측과 적재함(100)의 후단측에 각각 결합되고 제1실린더(200)와 동시에 작동되어 적재함(100)을 일정높이로 수평상승시키게 되는 제2실린더(300)와; 상기 운전부(500)와 적재함(100) 사이에는 360°회전가능도록 함과 동시에 앞쪽에는 다양한 형태의 작업도구(410)가 착탈식으로 선택 구비되는 포크레인(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
KR2020000025960U 2000-09-15 2000-09-15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 KR200214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960U KR200214914Y1 (ko) 2000-09-15 2000-09-15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960U KR200214914Y1 (ko) 2000-09-15 2000-09-15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158A Division KR20020021449A (ko) 2000-09-15 2000-09-15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914Y1 true KR200214914Y1 (ko) 2001-02-15

Family

ID=73088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960U KR200214914Y1 (ko) 2000-09-15 2000-09-15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9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52188C2 (ru) Способ захватывания предметов и тракторное наве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US20050091957A1 (en) Harvesting apparatus for tall-growing crops
EP1557081B1 (en) Improved shredding machine.
US9470015B2 (en) Multi-purpose grasping attachment
CN207284323U (zh) 多功能果园作业平台
KR101070405B1 (ko) 수직이송 기능이 구비된 농업용 붐식 고소작업차량
CN207158737U (zh) 一种小型果园升降作业平台
KR100845177B1 (ko) 농기계용 적재함 구동장치
KR200214914Y1 (ko)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
CN112273049A (zh) 一种多功能自走式果园采摘设备
CN108086372A (zh) 一种伐木型推土机
CN205838493U (zh) 一种自走式果园空间管理机
JPH1160177A (ja) 高所作業車
KR20020021449A (ko) 다기능 농업용 농기계
US7204397B2 (en) Cargo container attachment
JP2652747B2 (ja) 加工用トマト収穫作業機
US4635544A (en) Module builder with a flared top and with attachments
RU2094979C1 (ru) Лесозаготовительная машина
US11910751B1 (en) Robotic system for harvesting and maintaining date palms
KR102375267B1 (ko) 리프트 및 덤프 기능이 변환되는 전동차
CN210808148U (zh) 一种带采摘功能的园林管理机
KR200230210Y1 (ko) 경운기 적재함의 승강 제동장치
JP2509321Y2 (ja) トラクタ用リフトダンプアタッチメント
US5788450A (en) Narrow self-propelled transportation apparatus
KR200366594Y1 (ko) 트랙터 로우더용 목초 그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